• 제목/요약/키워드: 경과 기간

검색결과 3,711건 처리시간 0.041초

섬망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 처방 유형에 따른 임상 경과의 차이 (Clinical Course according to Antipsychotics Prescription Pattern in Delirium)

  • 박재섭;김재진;박성종;김성민;박진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120-128
    • /
    • 2017
  • 연구목적 섬망의 증상을 조절하기위해 일반적으로 항정신병약물이 사용되지만, 투약 기간 및 용법과 같은 처방 양상과 환자의 임상 경과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이 연구를 통해 섬망을 경험한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양상에 따라 임상 경과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의 일 종합병원에서 섬망으로 자문조정이 의뢰된 입원 환자 중 2016년 7월부터 2017년 2월까지 퇴원한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입원 기간, 사망, 인구통계학적 자료 및 임상적 요인을 조사하였고, CAM-ICU를 통해 섬망 지속 기간을 측정하였다.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유형에 따라 지속투약군, 최적투약군, 필요투약군으로 나누어 임상 경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항정신병약물을 섬망 회복 후에도 지속적으로 투약 받은 지속투약군은 섬망 증상이 있는 기간에만 투약 받은 최적투약에 비하여 입원 기간 및 섬망 이환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퇴원시 불필요한 항정신병약물 처방을 받은 비율이 높았다. 섬망 이환기간에 비해 짧은 기간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한 필요투약군은 다른 두 군에 비해 섬망 이환기간이 길고 사망률이 높았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는 섬망 이환기간에만 항정신병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적절함을 시사한다. 또한 섬망이 회복된 후에 불필요하게 항정신병약물이 처방되는 것을 최소화하기위한 정신건강의학과 자문의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겠다.

Conjugated Linoleic Acid(CLA)가 우육패티의 지방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Oxidation of Lipid in Beef Patties during Cold Storage)

  • 예병화;주선태;이제룡;신택순;김영환;이정일;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1-319
    • /
    • 2000
  • 본 연구는 다기능성 지질신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CLA를 육제품에 첨가하였을 때 제방의 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비육말기 돼지 사료에 LCA를 5% 첨가하여 생산한 동육 등심을 4$^{\circ}C$ 냉장고에에서 11일 동안 저장하면서 CLA 함량에 따른 지방산화정도(TBARS)에 대한 단순 상관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CLA를 우욱 패티 제조에 0.05, r과 2%로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후 4$^{\circ}C$에서 13일동안 저장하면서 pH, TBARS,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을 조사하였다. TBARS의 단순상관도는 저장 11일째에 -0.804(p<0.001)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CLA가 육내에 축적이 되면 저장 기간이 경과 할수록 지방산화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가 육내에 축정이 도면 저장 기간이 경과 할수록 지방산화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가 축정된 우육 패티를 soc장저장하면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대조구에 비햐여 CLA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보였으며,또한 CLA 첨가량이 증가할수옥 pH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p<0.05). TBARS의 변화는 전 처리구에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EK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CLA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보였으며 (p<0.05), EH한 CLA펌가량이 증가할수옥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보여 CLA 가 항상화작용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CLA 우육 패티의 지방산 조성은 CLA 첨가량이 증가할수옥 상대적으로 다른 종류의 지방산 함량이 감소하는 겨과를 보였다. 저장기간이 경과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CLA 함량의 변화는 CLA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아무런 변화가 없어 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이라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CLA는 지방산화를 억제시켜 산화 안정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CLA를 육제품 제조시 첨가할 경우 품질 보존 효과가 잇음과 동시에 고기능성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리아 사료된다.

  • PDF

$\pi$-Water 처리를 통한 닭고기의 신선도 유지 효과 (A Effect on the Maintenance of Chicken Freshness through $\pi$-Water Treatment)

  • 김윤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97-206
    • /
    • 2002
  • 생체수 파이-워터($\pi$-water)가 닭고기의 신선도 유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파이-워터의 희석농도를 달리 하여 닭고기육에 인젝션한 후 닭고기 신선도의 판정지표와 관련한 이화학적 성질이 보관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닭고기의 지방산패정도(TBA-Value)는 Control군의 경우 보관기간 3일 경과 시점부터 경시적인 변화를 보이며 불쾌한 냄새 등으로 인하여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였으며 20% 희석군과 5% 희석군의 경우 보관기간 5일 경과 시점부터 경시적인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7일 경과 시점까지는 제품에 이상이 없었다. 2. 닭고기의 pH는 도계직후 평균 pH가 5.50수준이나 본 실험을 위한 원료육의 pH는 8.0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원료육에 주입한 염지액(pH : 8.38)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며 보관기간의 경과에 따른 pH의 경시적 변화현상은 볼 수 없었다. 장시간 보관에 따른 닭고기의 신선도 판정지표로써 pH 변화 측정은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3. 닭고기의 일반세균수 변화는 Control군의 경우 1일 경과 시점부터 일반 균수가 증가하기 시작 보관기간 3일 경과 시점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20% 희석군과 5%희석군의 경우 4일 경과 시점까지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보관 5일경과 이후부터 일반 세균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4. 관능검사는 닭고기의 육색과 냄새를 평가하였으며 육색은 Control군의 경우3일경과 시점부터 품질의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여 5일 경과 시점에는 녹변 현상을 보였고 냄새는 3일 경과시점부터 암모니아 냄새와 같은 불쾌취를 발생 초기 부패과정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희석군의 경우 육색은 7일 경과 시점, 냄새는 5일 경과 시점부터 초기부패과정을 보였으며 5%희석군의 경우 육색은 10일 경과 시점, 냄새는 7일 경과시점부터 초기 부패과정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체수 파이-워터는 닭고기의 신선도 유지와 관련하여 지방산패를 억제하고 일반세균의 증식을 막아줌으로써 제품의 신선도를 연장시킬 수 있으며 희석농도의 차이에 따른 유의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사슴 발효육의 숙성중 육질 변화

  • 류현지;김일석;진상근;송영민;하경희;박기훈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253-256
    • /
    • 2004
  • pH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고추장소스(T1)와 불고기소스(T2)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P<0.05), 전단력에서 T1은 전 숙성 기간 동안, T2는 숙성 20일까지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염도와 당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염도와 당도는 숙성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T1이 T2보다 전 숙성기간 동안 높게 나타났다.

  • PDF

오리엔탈 백합의 순화재배시 자구크기, 저온처리, 배양기간이 경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lblet size, low temperature treatment and time of incubation on stem emergence during of Lilium oriental hybrids.)

  • 박노복;홍성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3권1호
    • /
    • pp.79-84
    • /
    • 2001
  • 오리엔탈 나리의 기내 인편배양 자구의 경출엽 유기를 위한 제요인 구명으로 자구의 크기, 저온처리기간, 기내 배양기간에 따른 경출현 발생과 자구비대를 실험한 결과 대자구가 중, 소자구보다 경출현이 좋았으며 구근비대도 양호했다. 'Acapulco' 대자구에서 95%로 가장 높았고 'Casablanca' 품종의 소자구에서는 전혀 경출현이 되지 않았다. 휴면타파를 위한 저온처리는 최소한 9주이상 소요되었으며 저온처리 6주에서는 경출엽현이 낮고 자구의 비대도 저조하였다. 배양기간이 길어질수록 경출현 발생이 높았고 자구중도 많이 나갔다.

한국인 모유의 수유기간별 비중, 충고형분 및 단백질 함량의 변화 (Changes in Specific Gravity, Total Solid and Protein Contents of Human Milk During the Course of Lactation in Korean Women)

  • 이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1권2호
    • /
    • pp.129-133
    • /
    • 1988
  • 수유기간의 경과에 따른 모유중의 비중, 총고형분, 단백질 함량 변화를 살펴 보고자 수유부 27명을 대상으로 분만후 15일부터 150일까지 추적하여 채취한 총112개 모유시료로 부터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모유 비중의 경시적인 변화는 15일경에 1.0298(S.D. 0.0044, n=25), 30일경에 1.0304(S.D. 0.0046, n=24), 60일경에 1.0270(S.D. 0.0035, n=20) 90일경에 1.0293(S.D. 0.0055, n=18), 120일경에 1.0254(S.D. 0.0038, n=16), 150일경에 1.0268(S.D. 0.0039, n=9)로서 나타났고 수유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고형분은 모유 100$m\ell$중에 15일 경에 12.48g(S.D. 1.23, n=25), 30일경에 12.31g(S.D. 1.31, n=24) 60일경에 12.47g (S.D. 1.45, n=20), 90일경에 11.81g (S.D. 1.85, n=18), 120일경에 11.44g(S.D. 0.92, n=16) 150일경에 11.88 (S.D. 0.89, n=9)으로 나타났고 수유기간의 경과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모유 100$m\ell$중 단백질함량은 1.07~1.46g의 범위였고, 수유기간별 변화는 15일경에 1.46g (S.D. 0.20, n=25), 30일 경에 1.32g (S.D. 0.19, n=24) 60일경에 1.15g (S.D. 0.10, n=20), 90일경에 1.09g (S.D. 0.17, n=18), 120일경에 1.11g (S.D. 0.17, n=16), 150일 경에 1.07g (S.D. 0.18, n=9)으로 수유기간이 경과 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수유기간 15, 30, 50, 90, 120, 150일에 수집한 모유시료 전체의 총평균 단백질함량은 1.20g (S.D. 0.14, n=27, 총시료수 112)로 나타났다.

  • PDF

달맞이꽃 종자유를 첨가한 혈중 HDL-cholsterol 향상 우유에 관한 연구

  • 황지현;이수정;유상훈;곽해수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349-35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beta}-CD$를 이용하여 우유에서 콜레스테롤을 제거한 후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를 위해 EPO을 첨가하였다. EPO의 첨가량에 따른 우유의 저장 중 이화학적 변화와 관능적 특성들을 살펴보았으며 동물실험을 통해 랫트 사료의 섭취량에 따른 체중 증가량,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과 중성지질, HDL-cholesterol의 함량 변화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증명하였다. 우유의 지방산화도는 EPO의 첨가량이 증가되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저장 기간동안 EPO를 첨가한 우유는 소량 첨가시 매우 양호 하였으나 첨가량이 많을수록,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동물실험에서 EPO를 첨가한 우유를 매일 섭취시킨 랫트에서 HDL-cholesterol의 증가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beta}-CD$로 콜레스테롤을 제거한 후 EPO를 첨가시킨 우유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에 적은 변화가 있었고 관능평가에서도 적은 영향을 주었으며 동물실험에서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이 있는 HDL-cholesterol의 수치가 대폭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EPO를 첨가한 우유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기능성 우유로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숙성에 따른 증류주의 성분함량 및 향기성분

  • 민경찬;이진순;김동원;이선희;박영심;최병범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 심포지엄
    • /
    • pp.81-81
    • /
    • 2003
  • 우리 민속전통주의 참나무 oak통을 이용한 저장주의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상법에 의하여 쌀로 제조한 증류주를 용량 10L의 수입 참나무(oak)통에서 실온 25로 5개월부터 9개월까지 숙성한 숙성주와 숙성하지 않은 증류주의 성분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기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다만 7개월 이상 숙성주에서 acetic acid 가 0.023 ∼ 0.033%로 미량 검출되었다. 2)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 휴젤유 함량을 측정한 결과 숙성 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으며 휴젤유 중 가장 많은 성분은 isopropyl alcohol이었다. 4)휘발성 향기성분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취를 생성할 수 있는 aldehyde나 ketone류가 감소하였고 신선한 과실향이나 꽃향기 등의 향기 성분인 ester류가 증가하여 숙성 5개월째에는 oak 숙성주로서 가장 독특한 향을 갖는다고 예측할 수 있었다. 5)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료들의 향기특성을 관능 평가하여 동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green 및 herb note가 우세한 숙성기간 8개월 숙성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전체적인 색상 비교 결과 기준값이 되는 oak 숙성을 하지 않은 증류주보다 숙성기간이 오래 경과된 숙성주일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UCS graph에서 보면 기준값 보다 숙성된 시료가 탁하다는 것을 나타냈고 색상 선에서는 기준시료보다 R(red)에 가까웠다. 숙성기간이 긴 발효주일수록 명도는 낮았다.

  • PDF

친환경 유기농 채소가 첨가된 저지방 햄버거 패티의 제조

  • 김현수;정의룡;정구용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241-245
    • /
    • 2006
  • 본 연구는 유기농 채소와 돈지방, 올리브유를 각각 3%씩 첨가하여 저지방 햄버거 패티의 제조 및 포장방법을 달리하여 $7{\pm}1^{\circ}C$에서 25일간 저장하면서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성상을 조사하였다. 모든 처리구들의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저장 15일째를 중심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저 장기 간 동안 올리브유를 첨 가한 T2시료구가 대조구 및 다른 시료구에 비하여 높은 pH를 유지하였다(p<0.05). TBARS는 대조구에 비하여 각 시료구들이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식물성 저지방 햄버거 패티의 시료구가 저장기간 동안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대조구와 모든 시료구들이 5일 이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대조구는 저장 15일, 각 시료구는 저장 20일 경과 후 가식권을 벗어났다. 하지만 올리 브유를 첨가한 식물성 저지방 T2시료구의 TBARS value는 저장 20일 이후 가식권을 넘었다. 총균수의 변화를 보면, 각 처리구 중 대조구는 저장 15일 이후부터 7 log CFU/g로 가식권을 넘어섰으며, 각 시료구의 경우에는 저장 20일 경과 후 가식권을 벗어난 것으로 보아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저장기간이 연장됨 을 알 수 있다.

  • PDF

조리방법을 달리한 구기엽의 저장기간별 항산화 효과 및 비타민 C 함량의 변화 (Effect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Vitamin C during Storage of Lycii folium Extracts Prepared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 김태수;박원종;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78-1582
    • /
    • 2007
  • 본 연구는 구기엽(Lycii folium)의 조리방법을 달리한 저장기간에 따라 가공적성 및 구기엽의 생리활성, 유효성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구기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추출물들의 비타민 C 함량, 총 페놀화합물, 전자공여능 및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조리방법을 달리한 저장기간에 따른 구기엽의 활성도는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15일 경과 후 NaCl 0%에서 1.34 mg/mL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1일째 높은 페놀함량을 보였던 Dry군에서는 Control, NaCl 0%군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SOD유사활성은 모든 시료에서 85% 이상의 높은 활성이 측정되었으나, 총 페놀화합물과 마찬가지로 NaCl 0%에서 95.03%로 15일의 저장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전자공여능에서는 1일째 Dry 처리한 것이 전자공여능이 65.48%로 가장 높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26.98%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NaCl 0%, NaCl 1%는 Control에 비해 10% 이상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15일 경과 후에는 그 활성이 Control보다 낮게 측정되어, 시료를 건조하여 보관하였을 때 활성 감소가 다른 처리를 했을 때보다 적을 것이라 사료된다. 비타민 C 함량에서도 15일의 저장기간이 경과한 후 Dry 처리한 시료에서 1.70%로 가장 높은 값이 측정되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감소량 또한 다른 시료에 비해 적었다. 위 실험 결과 구기엽의 가공적성에 적합한 처리방법은 Dry, NaCl 0% 처리한 후 보관하는 것이 생리활성도와 유효성분 함량을 유지하는데 좋은 방법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