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계 특성

Search Result 2,88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ffect of Tributary Inflow on Downstream Water Level of the Han River (한강하류부 지천의 유입량이 한강수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ee, Jong Kyu;Jang, Ki Hwan;Yang, He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66-1370
    • /
    • 2004
  • 한강은 남한 제1의 하천으로 지리적으로 한반도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동에서 서로 흐르는 대하천이다. 매년 발생하는 홍수에 대한 한강하류부의 홍수관리는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강의 지천유입량이 한강본류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은 하천의 지형적 특성과 여러인자들을 반영하여 하천의 흐름을 해석하기 때문에 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 수중보, 지천유입량, 조도계수 등을 적절히 반영하였을 때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부정류 흐름으로 해석하였으며 미국 NWS(National Weather Service)에서 기존의 DWOPER 모형과 댐파괴 모형인 DAMBRK 모형을 통합하여 개선한 FLDWAV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모형의 지배방정식은 연속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으로 구성되어 확장된 Saint-Venant 방정식이고, 수치기법으로는 가중4점음해법을 이용하려 비선형 연립방정식을 Newton-Raphson 방법으로 해석한다. 모형의 상류경계는 팔당댐 시간 방류량을 하류경계로는 전류수위표 지점의 수위를 이용하였다. 한강하류부에는 많은 지천들이 흘러들어 유입되고 있는데 지천유입량이 한강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교적 유역면적이 큰 왕숙천, 탄천, 중랑천, 안양천 등의 지천유입량을 고려하였다. 2000년과 2001년에 발생한 2개의 실측사상을 FLDWAV 모형을 이용하여 계산된 수위값과 검증해 본 결과 실측수위를 잘 재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검증된 모형을 가지고 동일한 사상에 대해서 지천 유입량을 고려하지 않고 모의를 한 결과 지천유입량을 고려하였을 때와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지천유입량에 대한 수위상승량은 $1\~5cm$ 정도로 나타났다. 지천유입량에 의한 수위상승이 어느정도 일어나고 있지만 홍수기간에 이 정도의 수위상승은 한강의 흐름이나 한강하류부에 설치된 구조물의 침수피해에 크게 영향을 주지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강하류부의 수위는 지천유입량의 영향보다는 팔당댐의 방류량에 의해서 좌우되고 있고 홍수시에는 한강의 수위상승으로 인하여 지천에 미치는 배수영향이 훨씬 더 클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s of Hydraulic Properties of Geotextiles with Fiber Composition Factors (섬유 구성인자에 의한 지오텍스타일의 수리학적 특성 평가)

  • Jeon, Han-Yong;Chung, Jin-Gyo;Chang, Yong-Chai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2 no.1
    • /
    • pp.47-55
    • /
    • 2003
  • The effects of fiber composition factors of 14 geotextiles which are thickness, porosity, fiber length and diameter etc. on the transmissivity were examined and in-plane permeability of geotextiles under thickness change, transmissivity, confined load were analyzed by the constitutive equations. And the effects of laminar structure on the permittivity of laminar geotextile composites which were manufactured with fiber packing densities were assessed. Transmissivities were increased with thickness of geotextiles and in-plane permeability coefficients were increased with porosity and fiber diameter. The effects of porosity were decreased with normal stress and slightly increased with fiber length. Transmissivities were increased with fiber diameter and showed same tendensy for the same fiber length. Permittivities of laminar geotextile composites were influenced by the waterhead loss in the inner interface and the connection shape of these composites to water path was interpreted as bell mouth type or soft flux pipe type.

  • PDF

A Study on the Requirement to the Fishing Vessel for Reducing the Collision Accidents (충돌사고 감축을 위한 어선의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Jung, Ch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0 no.1
    • /
    • pp.18-25
    • /
    • 2014
  • In spite of being reduced the numbers of vessel registered, there are increasing the numbers of total marine accidents and collision accidents. For recent 5 years from 2008 to 2012, it was analyzed that the collision accident is highest rank by 37 % among the marine accidents and the fishing vessel is highest by 58 % in these collision accidents and also the small fishing boat under 20tons is highest by 26 % on them. Over the half of the collision accidents by 56 %, they couldn't find each other to just before the collision situation. In this result, it was known that collision accidents almost to be occurred by the poor look-out in each other.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e requirements to the fishing vessels in a side of crew, education and exercise, and navigation equipments to reduce the collision accidents by examining the navigation patterns and concerning laws of them.

Classification of Single-interface Surface Plasmons by Using Complex Differential Diagram (복소차분도표를 이용한 단일경계 표면플라즈몬 모드 이해)

  • Lee, Dong-Jin;Lee, Seung-Gol;O, Beom-Hoa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2 no.2
    • /
    • pp.108-113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mplex differential diagram to classify surface plasmon waveguide modes with single interface. To date, surface plasmon waveguide modes are classified using the sign change of the group velocity in the dispersion relation that describes the interrelations between the real wavenumber of the propagation direction and the photon energy. The surface plasmon waveguide modes have the wavenumbers of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at in which the wave propagates as well as of the propagation direction, so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modes using all of these wavenumbers. The complex differential diagram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with variable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 component and the imaginary component of the wavenumber. Using this diagram, the specific mode classification is possible, and it is easy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wavenumber as the function of the photon energy.

Numerical Simulation of Turbulent Flow around 2-D Airfoils in Ground Effect (CFD에 의한 2차원 지면 효과익 주위의 난류유동계산)

  • H.H. Chun;R.H. Chang;M.S. Sh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9 no.3
    • /
    • pp.28-40
    • /
    • 2002
  • Turbulent flows around two-dimensional wing sections in ground effect are analysed by incompressible RANS equations and a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Baldwin-Lomax algebraic turbulence model is used to simulate high Reynolds number flow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two-dimensional ground effect and its flow characteristics due to different ground boundary conditions, i.e., moving and fixed bottom boundary. As a first step, to validate the present numerical code, the computational result of Clark-Y(t/C 11.7%) is compared with published numerical results and experimental data. Then, NACA4412 section in ground effect is calculated for various ground clearances with two bottom boundary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omputational results, the difference in the lift and moment simulated with the two bottom boundary conditions is negligible, but the drag force simulated by the fixed bottom is to some extent smaller than that by the moving bottom.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rag force measured in a wind tunnel with the fixed bottom could be smaller than that with the moving bottom.

분할영상의 계층적 구조를 이용한 주제도 갱신방법

  • 조현국;이승호;김철민;김경민;원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47-347
    • /
    • 2004
  • 임상도는 항공사진을 판독하여 얻어진 산림에 관한 정보를 지형도(1/25,000)에 도화 작성한 도면으로 전국 산림조사와 연계하여 10년을 주기로 순환제작 되며, 현재 제 4차 수치임상도가 제작 중에 있다 임상도는 여러 산림관련 주제도 중 가장 많이 활용되는 도면으로 산림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10년을 주기로 제작되므로 부분적으로 현실과 부합하지 않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각종 계획수립 및 활용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임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하다. 그러나 임상도의 부분적 갱신을 위하여 별도의 항공사진을 촬영하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최근 고해상도 위성영상이 활용 가능하게 됨에 따라 임상도의 갱신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인 IKONOS를 이용하여 수치임상도를 갱신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제 4차 임상도의 수치화가 완료된 전라북도 완주 지역으로 1:25000 지형도의 도엽명 대아와 읍내의 일부지역이다. 영상자료는 2001년 8월 18일에 촬영된 IKONOS Multispectral 자료를 이용하였다. 영상의 기하보정을 위하여 RPC Model과 1:25000 수치지형도로부터 만들어진 DEM을 사용하였다. 기하보정된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분할(Segmentation)을 실시하여 서로 중복되지 않는 동질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때 기존의 수치임상도를 Super-Object로 사용하여 영상을 분할할 때 형성될 수 있는 가장 큰 Segment로 제한하였으며 Super-Object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는 보다 작은 Sub-Object를 만들도록 하여 분할영상의 계층적 구조를 형성하였다. 어느 한 임상내에서 변화가 발생하면 변화가 발생한 지역은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과 서로 다른 분광특성을 나타내므로 별도의 Segment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임상도의 경계선으로부터 획득된 Super-Object의 분광반사 값과 그 안에서 형성된 Sub-Object의 분광반사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임상도의 갱신을 위한 변화지역을 탐지하였다.

  • PDF

Dynamic Boundary Element Analysis of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Multi-Layered Half-Plane Fundamental Solutions (2차원 다층 반무한해를 이용한 지하구조계의 동적 경계요소 해석)

  • 김문겸;이종우;조성용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1 no.4
    • /
    • pp.59-68
    • /
    • 1997
  • In analysis of underground structures, the effects of artificial boundary conditions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differences from experimental results. These phenomena can be overcome by using the boundary elements which satisfy the multi-layered half space conditions. The fundamental solutions of multi-layered half-space for boundary element method is formulated satisfying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of waves at each layer interface and radiation conditions at bottom layer. The governing equations can be obtained from the displacements at each layer which are expressed in terms of harmonic functions. All types of waves can be included using the complete response from semi-infinite integrals with respect to horizontal wavenumbers using expansion of Fourier series and Hankel transformation. Two dimensional Green's functions are derived from cylindrical Navier equations and potentials performing infinite integration in y-direction. In this case, it is effective to transform into two dimensional problem using semi-analytical integration and sinusoidal Bessel function. Some verifications are given to show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developed method, and numerical examples to demonstrate the dynamic behavior of underground with various properties.

  • PDF

Indoor 3D Modeling Approach based on Terrestrial LiDAR (지상라이다기반 실내 3차원 모델 구축 방안)

  • Hong, Sungchul;Park, Il-Suk;Heo, Joon;Choi, Hyunsa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5D
    • /
    • pp.527-532
    • /
    • 2012
  • Terrestrial LiDAR emerges as a main mapping technology for indoor 3D cadastr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and, building management in that it provides fast, accurate, and reliable 3D data. In this paper, a new 3D modeling method consisting of segmentation stage and outline extraction stage is proposed to develop indoor 3D model from the terrestrial LiDAR. In the segmentation process, RANSAC and a refinement grid is used to identify points that belong to identical planar planes. In the outline tracing process, a tracing grid and a data conversion method are used to extract outlines of indoor 3D models. However, despite of an improvement of productivity, the proposed approach requires an optimization process to adjust parameters such as a threshold of the RANSAC and sizes of the refinement and outline extraction grids.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model curvilinear and rounded shape of the indoor structures.

Dynamic Response Analysis of Nonlinear Sloshing in Two Dimensional Rectangular Tank using 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2차원 사각탱크내 비선형 슬로싱 동응답 해석)

  • 조진래;이홍우;하세윤;박태학;이우용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6 no.1
    • /
    • pp.33-42
    • /
    • 2003
  • This paper deals with the FEM analysis of nonlinear sloshing of incompressible, invicid and irrotational flow in two dimensional rectangular tank. We use laplace equation based on potential theory as governing equation. For large amplitude sloshing motion, kinematic and dynamic free surface conditions derived from Bernoulli equation are applied. This problem is solved by FEM using 9-node elements. For the time integration and accurate velocity calculation, we introduce predictor-corrector time marching scheme and least square method. Also, numerical stability in tracking of free surface is obtained by direct calculation of free surface location to time variation. Numerical results of sloshing induced by harmonic excitations, while comparing with those of linear theory and references, prove the accuracy and stability. After verification of our program, we analyze sloshing response characteristics to the fluid height and the excitation amplitude.

Reexamination of the combustion instability of solid propellant with radiative heat transfer (복사 열전달을 고려한 고체 추진제의 연소 불안정 현상에 관한 재해석)

  • 이창진;변영환;이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10-11
    • /
    • 1997
  • 고체 추진제를 사용하는 추진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가장 커다란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추진제의 연소 특성을 이해하는 일이다. 그 중에서도 연소실의 압력 진동과 추진제 벽면으로 흡수되는 복사 열전달에 의한 연소율(burning rate)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소 불안정에 대한 이해는 아직도 완전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고체 추진제의 연소 불안정에 대한 이론적 해석은 준-정상 1차원 해석(Quasi-Steady Homogeneous One-Dimension) 방법에 의하여 단순화된 지배방정식을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이다. 이 가정은 고체 추진제가 연수되는 영역을 두께가 매우 얇은 영역의 표면반응영역(surface reaction layer)과 화학반응이 없는 응축상태영역(condensed phase zone) 그리고 기체상태의 연료와 화염이 존재하는 기체상태영역(gas phase zone) 등의 3영역으로 구분하며, 기체상태영역에서 발생하는 교란에 대한 응축상태영역의 반응시간 크기(response time scale)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응축상태영역의 반응은 준 정상적으로 일어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그러나, 연소실의 온도가 $3000^{\circ}K$ 정도의 높은 온도이어서 복사 열전달에 의한 고체 추진제의 가열이 중요한 열전달 방법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를 무시한 이론적 해석은 물리적인 중요성이 약하여질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복사 열전달은 투명(transparent)한 표면반응영역을 통과하여 응축상태영역에서 모두 흡수되며 추진제 표면에서의 복사열방출(emission)을 고려하였다. 또한 연소불안정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표면반응영역에서의 경계조건은 선형교란량으로 대치하는 Zn(Zeldovich-Novozhilov)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기체상태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없이도 연소불안정 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잇다. 즉 응축상태영역에서의 연소율과 표면온도는 각각 기체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구배와 연소압력, 그리고 복사 열전달의 함수관계이므로 선형교란에 의한 추진제표면에서의 교란경계조건을 얻을 수 잇으며, 응축영역의 교란지배방정식과 함께 사용하여 압력교란과 복사 열전달의 교란에 대한 연소율의 교란 증감 여부를 판단하여 연소 불안정 현상을 해석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