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혼 적응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1초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적응 특성 (Trait of Local Community Adaptation of Migrant Women by Marriage)

  • 성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07-3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 4월부터 5개월간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연구 중 Colaizzi방법론을 채택하였는데, 심층면접을 통하여 녹취한 진술을 텍스트화 한 후, 유의미한 진술내용을 코딩하여, 주제(themes), 주제묶음(theme cluster)으로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 '내적역량의 강화', '문화적응', '제한적 수혜자 되기', '인적네트워크 없음', '미래를 낙관할 수 없음' '지역사회 안착을 염원함', '한국을 떠날 수 있음'으로 총 7개의 주제묶음과 17개의 주제, 47개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에서 결혼이민여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국제결혼한 필리핀 이주여성의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of Filipino Marriage-Migrant Women)

  • 정애화;김혜진;정현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09-5517
    • /
    • 2011
  • 본 연구는 국제결혼한 필리핀 이주 여성의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대상자가 한국 사회에 건강하고 행복하게 적응하기 위한 건강증진과 건강관리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D시와 C시 외국인 중 국제결혼을 통하여 한국에 거주하며, 한국어로 소통이 가능하거나 영문해독이 가능한 필리핀 출신 기혼여성 110명을 대상으로 2009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건강상태는 100점 만점에 평균 83.47점, 사회적 지지는 5점 만점에 평균 3.48점,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5점 만점에 평균 2.37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는 연령, 거주기간, 결혼 경로, 한국 친구 유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연령, 결혼 경로, 한국 친구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연령, 거주기간, 결혼 경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그룹별로 살펴봤을 때,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은 그룹일수록 건강상태 점수는 낮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점수 또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상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지는 변수간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도시와 농촌 지역의 차이 (Moderating Effect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dapt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 김순옥;임현숙;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53-26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거주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적응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가 거주 지역 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거주 지역 특성에 맞는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04명(도시 148명, 농촌 156명)이다. 연구결과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적응도, 삶의 질은 농촌이 도시보다 낮았고, 거주 지역별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적응도는 삶의 질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가 있었고, 도시보다 농촌에서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거주지역과 상관없이 결혼이주여성이 결혼생활을 잘 영위하여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농촌과 도시의 특성에 맞는 거주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배우자지지,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맞춤형 중재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결혼생활 적응을 위한 결혼 전 상담 프로그램 효과검증 연구 (Evaluation of a Premarital Counseling Program for Marital Adjustment)

  • 김미경;송정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77-87
    • /
    • 2006
  • This study focused on a premarital counseling program and examined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consisted of eight sessions and was conducted with twelve premarital couples: six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six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premarital counselling program influenced the relationships of the premarital couples such as communication, sexual attitude, conflict solution, financial management, openness, interpersonal trust, and intimacy. Second, the male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more than the female group in the areas of communication, conflict solution, and sexual attitude. The effects of the program continued to be effective after three months.

결혼 초기 여성이 체험한 결혼생활 적응의 의미 (Subjective Meanings of Marital Adjustment for Married Women)

  • 이지선;천혜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41-5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married women about marital adjustment. Eleven women were interviewed, creating interview texts that were analyzed by van Manen's wholistic and selective approaches. These women explained marital adjustment in five aspects: being realistic, accepting their identity as married women, taking the middle, acting craftily, and building up their characters. In conclusion, these women experienced the growth and transition while they adjusted to their marital life in the early stage of marriage.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Factors to Mental Heal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 이은희;추연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19-1624
    • /
    • 2012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수준과 함께 그들의 정신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응스트레스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지역에 거주하는 239명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이며,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도 및 백분율을 그리고 문화 적응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성결혼이민자들의 17.6%가 정신건강상 문제가 있는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단계별 투입에 의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요인들 가운데 '문화적 충격', '두려움', 그리고 '죄책감'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relationship among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marriage migrant women participating in Korean traditional dance

  • Kim, Dong-Kun;Cho, Byung-Jun;Lee, Moon-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71-17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통무용 참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내재된 변인인 자아존중감이 갖는 매개효과에 대해 규명할 것을 제안한다. 연구대상은 D시의 이주여성 지원센터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결혼이주여성(실험집단:28명, 통제집단:30명)으로 3개월간(주 2회, 50분씩)의 한국전통무용프로그램 참가 전, 후의 수집된 설문자료를 SPSS 21.0을 이용하여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한국전통무용참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자아존중감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전통무용참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과 동시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통해서도 생활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