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혼동맹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청대만몽동맹관계(淸代滿懜同盟關係)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chu-Mongol Alliance during the Qing Dynasty Era)

  • 임종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165-170
    • /
    • 2020
  • 본 논문의 국어제목은 "청대만몽동맹관계(淸代滿懜同盟關係)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17세기 초반 동아시아 명청전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청나라를 건국한 만주족이 어떻게 국력의 열세를 극복하였는지에 관해 서술하였다. 청나라는 총 12명의 황제를 배출하였다. 그 시호들을 살펴보면 한족의 이름, 몽골족의 이름, 만주족의 이름이 각각 독립된 개체로써 기록된다. 본론에서는 만주족들이 몽골과의 동맹에 대해 서술될 것이다. 연구결과, 만주족의 건주여진들은 명나라와의 전쟁을 진행하기 위해 몽골귀족들과 혼인을 통해 전략적인 동맹을 맺었다. 또한 팔기제도라는 것을 통해 사회구성원들을 전투에 최적화된 집단으로 재편하는데 성공했다. 이 팔기군 안에는 동맹을 맺은 몽골족과 전투중인 명나라의 귀순병들까지 포함시켜 명나라와 대적할 만한 전투 집단을 만들었다. 만주족들은 이 팔기제도와 몽골과의 혼인동맹을 통해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도 열세였던 명나라를 제압하고 결국에는 중국 전체를 통일하는 저력을 발휘했다.

가족동맹 모델과 그 검증 - 여성의 경제적 지위와 가족관계 만족도 - (The Alliance Model of the Family and Its Empirical Test - Women's Economic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

  • 태재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59-87
    • /
    • 2009
  • 본 연구는 가족 구성원들이 가족과 사회에서 지위 극대화를 위해, 가족 내외적으로 동시적 경쟁을 하는 상황을 이론화한 가족동맹 모델을 한국복지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해서 검증하였다. 이 검증을 위해, 아내의 경제적 지위와 각 배우자의 가족관계 만족도 사이의 관계가 조사되었다. 분석 결과, 대체로 조사 가설들이 지지되었다. 아내들은 남편 대비 자신의 상대 소득이 높을 때, 가족관계 만족도가 낮았고, 이는 저소득층 아내들 사이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남편들의 가족관계 만족도와 아내의 상대 소득 사이의 양-방향의 관계가 중산층 남편들 중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이 양-방향의 관계가 저소득층 남편들 중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family therapy about conflict between mother and the eldest son)

  • 박태영;김태한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호
    • /
    • pp.263-302
    • /
    • 2008
  • 본 연구는 홀어머니와 성인인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사례로써, 가족관계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자아분화의 문제에 대한 가족치료적 개입방법과 효과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하여 부인(며느리)이 상담을 의뢰하여 시작되었고, 13회기동안 개인 및 가족상담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상담 축어록과 치료자가 기록한 메모를 중심으로 한 내용을 부호화(coding)작업을 통하여 개념과 하위범주, 그리고 상위범주로 나누었다. 또한 코딩작업을 통하여 발견한 범주들을 Miles와 Huberman(1994)이 제시한 관계망(network)와 매트릭스(matrix)를 활용하여 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버지가 사망하자 어머니는 큰아들이 가족을 부양해주기를 원하였지만, 큰아들은 어머니의 기대와 달리 결혼을 하여 분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로의 감춰진 불만이 드러나고 모자갈등이 표면화되었다. 이런 갈등의 저변에는 가족의 경계선문제, 미분화된 자아,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치료자는 모자갈등의 악순환고리를 끊기 위하여 치료적 동맹관계를 형성하였고, 의사소통방식의 지도, 반복되는 패턴의 조명, 재명명, 비유법을 활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어머니와 큰아들은 자아분화, 기능적 의사소통의 활성화, 인식의 변화, 경계선의 변화를 경험하였고, 모자갈등의 소거와 더불어 가족관계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책임감과 기대감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점과 유효한 개입방법들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