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합양상

Search Result 68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data association based on multiple model for improving target tracking performance in maneuvering interval in bistatic sonar environments (양상태 소나를 운용하는 자함이 기동하는 구간에서 추적성능향상을 위한 다수모델기반의 자료결합기법 연구)

  • Park, Seung-Hyo;Song, Taek-Lyul;Lee, Seung-H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3
    • /
    • pp.202-210
    • /
    • 2017
  • For the target tracking in cluttered environment using a bistatic sonar whose transmitter and receiver are separately positioned, it is necessary to use data association algorithm via applying a proper measurement modelling to the bistatic sonar. The measurements obtained from the interval of ownship's maneuver have an increased error due to uncertainty of the position of transmitter and receiver. Using the measurements from this interval results in poor target tracking performance. In this paper, an improved tracking performance for the proposed data association based multiple model algorithm is validated by a monte carlo simulation.

생쥐 난자와 초기배아의 렉틴 결합양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계명찬;전용필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1
    • /
    • pp.120-129
    • /
    • 1994
  • 생쥐의 배우자간 인식과 수란관과 난자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수정 전후의 난자와 배아에 형광으로 표지된 5가지 렉틴(UEA-1. LCA, PNA RCA-1, GSL-1)을 처리하여 투명대, 위낭강 원형질 막에서 렉틴의 결합양상을 관찰하였다. 미수정난자 및 수정란의 투명 대에는 UIA-1을 제외한 4가지 렉틴이 결합하였다. PNA RCA-1, GSL-1은 투명대의 의총보다 내층에 강하게 결합되었고 UEA-1과 LCA는 투명대의 전층에서 미약하지만 고르게 결합하였다 배란된 난자의 위난강은 LCA와 PNA에 의해 결합되었으며 UEA-1은 수정 이후부터 GSL-1은 2-세포기 이후부터 위난강에 결합하였다.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체외성숙을 일으킨 난자의 위난강에는 5가지 렉틴 모두 결합하지 않았다. 난자와 배아의 원형질막은 PNA. RCA-1, GSL-1에 의해 결합되었고, LCA 및 UEA기은 수정 이후부터 원형질막에 결합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glucosamine, N-acetylgalactoamine 관기를 함유한 물질이 난구세포에서 생성되어 위난강에 축적되며 배란 후부터 난자의 위난강내 탄수화물관기는 수란관내액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난자 투명대의 탄수화물관기는 내층에 밀집되어 분포하는데 이는 정자의 투명대 관입 조절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수정 후 난자의 원형질막 표면에 fucose와 mannose 등의 탄수화물 잔기가 새로이 노출되며 초기배아 발생동안 위난강에 존재하는 구조물의 렉틴 결합 특성이 유지되었다.

  • PDF

Flexion im Koreanischen - Allomorphie und Konkatenation - (한국어의 굴절 : 변이와 상호결합)

  • Kim Soora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3
    • /
    • pp.185-209
    • /
    • 2001
  • 필자는 이 논문에서 LA-MORPH 개념에 바탕을 둔 한국어 어형 분석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한국어 동사의 활용 현상을 기술하였다. 한국어 동사 활용의 특징인 동사의 다형성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눠서 관찰할 수 있다. 하나는 동사 및 어미의 변이형 형성과 관련된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이들 동사 및 어미 변이형의 상호 결합에 관련된 측면이다. 관찰의 출발점은 동사가 구체적으로 실현되어 나타나는 단어 형태이다. 규칙 활용 및 불규칙 활용 동사의 실현 형태를 어간 및 어미로 분절하고 이 작업을 통해 얻어진 동사 및 어미의 변이형과 그 기본형 사이에 존재하는 규칙성을 토대로 변이형 유도 모형을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어미를 어간과의 결합 유형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해 동사 변이형과의 결합 양상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정서법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동사 활용현상 중 특히 동사 변이형 및 어미 변이형들 간의 결합 양상 및 규칙 등 기존 문법 및 사전이 완전히 기술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ㄹ' 불규칙 활용, '으' 불규칙 활용 등 기존 문법에서 불규칙적이라고 간주되는 활용 현상에도 일정한 정도의 규칙성이 존재함을 보였다.

  • PDF

EFFECT OF SELF-ETCHING PRIMER APPLICATION ON THE CHARACTERISTICS & STRENGTH OF DENTIN BONDING IN PRIMARY TOOTH (자가부식 프라이머의 처리가 유치의 상아질과 레진 간의 결합 형태와 강도에 미치는 효과)

  • Lee, Jun-Haeng;Kim, Yong-Kee;Kim, J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6 no.4
    • /
    • pp.595-60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elf-etching primer which was developed to simplify the bonding procedures by measuring the shear bond strength and observing the interfacial morphology. 90 flat dentinal surfaces were prepared by grinding the buccal and lingual areas of caries-free human deciduous molars. After bonding of composite resin to sample surface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irection and thermocycling,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Instron). Another groups of specimens were treated by hydrochloric acid to secure the resin only and those tags were evaluated under SEM for their length and forms and the morphology of the bonding sites were also observed. The result as follows. 1. Group III showed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group I and II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ed between group I and II(p>.05). 2. Adhesive failure was predominant in group II whereas dentin detachment was the main failure pattern in group I and III. 3. Relating long resin tags of $100-200{\mu}m$ were observed in samples of all groups under SEM. In group I, homogeneously long resin tags were arranged rather tight whereas rather loosely arranged resin tags of various length were found in group II. Lateral branching of resin tags was the characteristic finding observed in group III.

  • PDF

한국어 합성 동사성 명사의 어휘구조와 다중 동사성명사 구문

  • 류병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1.06a
    • /
    • pp.141-144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다중 동사성 명사 구문’(Multiple Verbal Noun Construe-tions)의 논항실현 양상을 이론 중립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 분석을 제약기반 문법 이론인 최근의 핵 심어주도 구구조문법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틀 안에서, 특히 다중계승위 계를 가정하는 제약기반 어휘부를 기반으로 형식화해 논항의 실현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우선 일본어의 유사한 현상을 분석한 Grimshaw & Mester (1988)의 격실현 양상에 관한 일반화를 기반으로 한국어 동사성명사구문의 논항실현 양상을 ‘논항전이’ (argument transfer)라는 이론적 장치를 이용해 형식화할 수 있음을 보이고, 동사성 합성명사의 논항구조를 만들기 위해 ‘논항합성’(argument composition)이라는 이론적 장치를 제안한다. 나아가서 다중 동사성 명사구문의 논항실현 과정에서 보이는 겹격표지 현상을 ‘격 복사’(case copying)를 제안해 동사성 명사의 격표지가 합성 명사에서 분리되어 문장단위에서 실현될 때 동일한 격을 복사해 실현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수동과 능동 등 문법기능의 변화현상에서 하위범주화된 요소들의 격변화가 자의적이 아님을 실례를 들어 보여 주고자 한다. 일본어의 경동사 (light verbs)에 관한 분석 인 Grimshaw Meste, (1988) 이래 한국어에서도 이와 유사한 구문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Ryu (1993b), 채희락 (1996), Chae (1997) 등 참조). 한국어에서 ‘하다’와 동사성명사(verbal nouns)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동사성명사구문’ (Verbal Noun Constructions)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대부분 하나의 동사성 명사가 ‘하다’나 ‘되다등 소위 문법기능을 바꾸는 ‘경동사’들과 결합하여 복합술어가 되는 문법적 현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와 비교해서 동사성 명사의 어근이 두 개 이상 결합하여 동사성명사들끼리 합성명사(compound nouns)를 이루고 그 동사성 합성명사가 문법기능의 변화를 바꾸는 ‘경동사’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복합술어에 대해서는 논의가 거의 없는 형편이다. 특히 이 지적은 핵심어주도 구절구조문법틀 내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합성 동사성명사의 논항구조와 동사성명사에 의해 하위범주화된 논항들의 문법적 실현양상이다.

  • PDF

SHEAR BOND STRENGTH AND FAILURE PATTERN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RESIN BASE IN BRACKET BONDING (브라켓 부착시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에 관한 연구)

  • Kim, Jae-Hyuk;Hwang, Hyeon-Shi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8 no.4 s.69
    • /
    • pp.659-66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the decrease of bond strength due to increased thickness of resin base in indirect bracket bonding technique. Metal brackets were bonded to the resin blocks involving bovine lower incisors and the thickness of resin bases was increased by increments of 0.5 mm from 0.0 mm to 2.0 mm.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is that the thickness of resin base was increased but the loading point from the tooth surface was maintained constantly, the other group is that the loading point from the tooth surface and the resin base thickness were increased concomitantly. The shear bond strength was tested 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the failure patterns were assessed with the adhesive remnant index(AR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the distance from the tooth surface to the loading point was maintained constantly, shear bond strength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distance from the bracket base to the loading point and the increase of resin base thickness. 2. When the distance from the tooth surface to the loading point and the resin base thickness were increased concomitantly, shear bond strength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resin base thicknes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gnorable.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I scor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resin bas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shear bond strength was not much affected by the thickness of resin base, whereas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istance from bracket base to the loading point.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OND STRENGTH OF THE LIGHT ACTIVATED COMPOSITE RESIN BONDED TO THE ETCHED PORCELAIN (부식된 도재와 광중합성 수지와의 접합강도에 관한 실험적연구)

  • Lee, June-Kyu;Kay, Kee-Su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25 no.1
    • /
    • pp.363-378
    • /
    • 1987
  • 도재소부전장관에서 금속이 노출되지 않고 도재만이 파절시, 구강내에서 직접 행할 수 있는 심미적 수복 방법으로서 복합성 수지를 이용한 수복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본실험의 목적은 도재와 광중합성 수지간의 접합강도를 비교 측정코저 함에 있다. 본 실험에서는 주사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도재의 부식액 (5% 불화수소산용액, Excelco's porcelain etching gel) 및 부식 시간(2.5분, 5분, 10분, 20분)에 따른 부식양상을 먼저 관찰하였다. 그다음 각기 다른 시간에서 부식 처리된 도재와 대조군으로서 미부식 처리된 도재에 광중합성 수지를 부착시킬시, 첫째 Silane coupling agent(Scotch-Prime)도포후 광중합성 수지를 결합 시켰고 둘째 bonding agent(Scotch bond)도포후 광중합성 수지를 결합시켰으며 셋째 Silane coupling agent(Scotch-Prime)에 bonding agent(Scotch bond)를 도포후 광중합성 수지로 결합 시킨후, 인장강도 측정기 (Shimadzu universal testing machine)를 사용하여 결합력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식처리된 도재가 미부식 처리된 도재 보다 결합력이 높았다. (p<0.05, P<0.001) 2. 부식 처리된 도재나 미부식 처리된 도재에 있어서 silane coupling agent 도포후 bonding agent로 처치한 경우 가장 결합력이 높았으며 그다음 silane coupling agent로 처치한 경우, bonding agent로 처치한 경우의 순이었다. 3. 도재부식 시간의 증가에 따른 결합력의 차이는 5% HF용액으로 부식 처리된 도재와 Excelco로 부식 처리된 도재에 있어서 5분 정도 까지는 결합력의 증가를 보였으나 그 후에는 결합력에 있어서 거의 증가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4. Excelco로 부식 처리된 도재와 5% HF 용액으로 부식처리된 도재간의 결합력 차이에 있어서 bonding agent만으로 처치한 경우에는 두결합력 사이에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5) silane coupling agent만으로 처치한 경우와 silane coupling agent 도포후 bonding agent로 처치한 경우에는 두결합력 사이에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P<0.001) 5. Excelco로 부식처리된 도재가 5% HF 용액으로 부식처리된 도재보다 부식정도가 더 현저하였다.

  • PDF

The shear bond strength and adhesive failure pattern in bracket bonding with different light-curing methods (브라켓 접착시 광중합방식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 비교)

  • Shin, Jai-Ho;Lim, Yong-Kyu;Lee, Dong-Yul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4 no.4 s.105
    • /
    • pp.333-34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a plasma arc light and light emitting diode (LED), compared with shear bond strength and the failure pattern of brackets bonded with visible light in direct bonding. Brackets were bonded with Transbond XT to 60 human premolars embedded in the resin blocks according to different light-curing methods. Then, the shear bond strength of each group was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and the adhesive failure pattern after debonding was visually examined by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isible light and light emitting diode, but the plasma arc light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shear bond strength compared with the visible light and light emitting diode. 2. In the visible light and light emitting diode, adhesive failure patterns were similar. Bond failure occurred more frequently at the enamel-adhesive interface. 3. The bonding failure of brackets bonded with plasma arc light occurred more frequently at the bracket-adhesive interf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lasma arc light, light emitting diode and visible light are all clinically useful in the direct bonding of orthodontic brackets.

Microshear bond strength of a flowable resin to enamel according to the different adhesive systems (접착시스템의 종류에 따른 유동성 레진과 법랑질의 미세전단 결합강도)

  • Kim, Jeong-Ho;Cho, Young-G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6 no.1
    • /
    • pp.50-58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uSBS) of two totaletch and four self-etch adhesive systems and a flowable resin to enamel. Materials and Methods: Enamels of sixty human molars were used. They were divided into one of six equal groups (n = 10) by adhesives used; OS group (One-Step Plus), SB group (Single Bond), CE group (Clearfil SE Bond), TY group (Tyrian SPE/One-Step Plus), AP group (Adper Prompt L-Pop) and GB group (G-Bond). After enamel surfaces were treated with six adhesive systems, a flowable composite resin (Filek Z 350) was bonded to enamel surface using Tygon tubes. the bonded specimens were subjected to uSBS testing and the failure modes of each group were observed under FE-SEM. Results: 1. The uSBS of SB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all other groups, and the uSBS of OS, SE and AP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TY and GB group (p < 0.05). 2. The uSBS for TY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for GB group (p < 0.05). 3. Adhesive failures in TY and GB group and mixed failures in SB group and SE group were often analysed. One cohesive failure was observed in OS, SB, SE and AP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adhesives using the same step were applied the enamel surface, the uSBS of a flowable resin to enamel was diffe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