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속적 사회자본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초

SNS를 통한 사회적 관계 형성과 청소년의 삶의 만족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 through SNS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 박소영;조성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371-379
    • /
    • 2015
  •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가 매우 낮은 상황에서 SNS 이용 증가로 인한 사회적 관계 형성은 중요해지고 있다는 인식 하에서 본 연구는 SNS를 통해 형성된 교량적 사회적 자본과 결속적 사회적 자본, 실질적 정치사회 참여가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2년 실시한 2012년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데이터 중 주요변수에 모두 응답한 4,70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여학생에 비해서 남학생의 삶의 만족이 높고, SNS를 통해 형성된 교량적 사회적 자본과 결속적 사회적 자본, 정치사회참여의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이 증가했으며, 세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결속적 사회적 자본, 정치사회참여, 교량적 사회적 자본의 순으로 더 큰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Social Capital Construction through Social Media: Focused on college students)

  • 이병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97-107
    • /
    • 2016
  • 본 연구는 개방형 네트워킹 사이트라고 할 수 있는 페이스북과 카카오스토리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이용과 이용동기, 그리고 소셜미디어 신뢰를 중심으로 사회자본(연결적 사회자본과 결속적 사회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IBM SPSS 21 프로그램과 IBM AMOS 21 프로그램을 적용,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모형을 기반으로 한 경로분석 등을 수행하여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와 연결적 사회자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셜미디어 이용과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중 즐거움/추억, 그리고 소셜미디어 신뢰가 연결적 사회자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미디어와 결속적 사회자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중 정보/교류, 소셜미디어 신뢰가 결속적 사회자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기기와 SNS 활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mart Device and SNS on Social Capital)

  • 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1-18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및 SNS의 활용이 사회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기기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교량적 사회자본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고 있다. SNS는 오프라인에서 형성된 사회적 관계를 온라인으로 확장시킴으로써 결속적 사회자본을 강화하고 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을 통한 사회적 관계의 확장을 이끌어내어 교량적 사회자본을 증대시키고 있다. 반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SNS의 활용은 사회자본의 증대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람들의 사회활동의 참여를 활발하게 함으로써 복합적인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 이용정도 및 이용동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개방형/폐쇄형 소셜미디어 비교 (The Impact of Social Media Use and Motive on Social Capital: Comparison of Open/Closed Social Media)

  • 이창호;정낙원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5권
    • /
    • pp.5-26
    • /
    • 2014
  • 본 연구는 전국의 고등학생 및 대학생에 대한 대규모 조사를 통하여 소셜미디어 이용정도 및 이용동기가 교량적/결속적 사회자본 및 참여를 증진시키는 데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고찰했다. 특히 소셜미디어를 네트워크 성격에 따라 개방형 네트워크와 폐쇄형 네트워크 서비스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 전자는 교량적 사회자본의 강화에, 후자는 결속적 사회자본의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이용동기는 교량적/결속적 사회자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정치 사회적 참여에는 소셜미디어 유형별 이용정도와 이용동기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소셜미디어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효과는 어떤 성격의 매체를 이용하고 그것을 어떠한 목적으로 이용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 PDF

소셜미디어 사용의 지각된 성과와 사회자본과의 관계 -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Outcome of SNS Use and Social Capital: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Victim and Offender Experiences)

  • 김소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48-460
    • /
    • 2020
  •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상에서의 부정적 경험이 소셜미디어 사용을 통한 사회자본의 증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소셜미디어에서의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이 소셜미디어로부터의 지각된 성과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긍정적 역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는 2019년 11월에 실시되었으며, 총 846명의 응답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평균중심화 기법을 활용한 2단계 회귀분석 결과, 첫째, 피해경험은 교량적 사회자본에의 의미 있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성과와 피해경험이 교량적 사회자본에의 부적인 조절효과를 보였다. 둘째, 피해경험은 결속적 사회자본에 지각된 성과와의 부적인 조절 효과를 보여주어 지각된 성과가 가지는 결속적 사회자본에의 정적 영향력이 피해경험으로 인해서 감소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셋째, 가해경험은 교량적 사회자본 및 결속적 사회자본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피해경험과 다르게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자본증진에 부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피해예방을 위한 교육이 필수적이며, 신뢰 위해 요소들을 완화하기 위한 법제화가 요구된다.

SNS에서의 사회적 자본이 외식상품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상품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Food Product Purchase Intention and SNS-WOM - Mediating Role of Trust -)

  • 한지수;이형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4-268
    • /
    • 2016
  • 본 연구는 SNS 상에서 사회적 자본이 외식 상품 구매 시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사회적 자본과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 간에 외식 상품에 대한 신뢰가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2월 15일부터 2월 29일까지 실시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SNS를 통해 외식상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유효한 자료 291부를 최종자료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계층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SNS 상에서의 사회적 자본 중 연결적 자본이 결속적 자본에 비해 외식상품 신뢰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상에서의 외식상품 신뢰는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상에서의 외식상품 신뢰는 연결적 사회자본과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이용과 사회적 자본의 상관관계에 있어서의 성별 및 지역 차이 (Effects of Gender and Reg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eenagers' Use of Social Network Sites and Social Capital)

  • 이혜림;조재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83-89
    • /
    • 2016
  •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이용과 사회적 자본 사이의 관계가 성별과 지역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가에 대해 조사해보고자 했다. 한국 청소년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유의미한 성별과 지역별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도시에 거주하는 남자 청소년들의 경우,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의 이용은 결속적 그리고 교량적 사회자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사용이 청소년들의 개인적인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위험이슈 노출과 사회자본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isk Issue Exposure and Social Capital on Risk Perception in Social Media)

  • 곽은아;최진호;한동섭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8권
    • /
    • pp.7-34
    • /
    • 2016
  •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수용자의 현실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텔레비전, 인터넷, 페이스북)를 통한 위험이슈 노출 및 결속적, 교량적 사회자본이 사회적 개인적 현실 위험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전염성 질병, 성범죄, 방사능 오염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위험이슈별로 미디어 유형과 사회자본에 따라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염성 질병과 방사능 오염 이슈에 대해 교량형 사회자본은 사회적 위험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결속형 사회자본은 개인적 위험인식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성범죄 이슈에 대해서는 결속형 사회자본이 사회적 개인적 위험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노출량과 사회자본 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위험이슈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 위험인식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미디어 변인과 소셜 미디어 연구에서 중요하게 취급되는 사회자본 변인을 함께 고려하여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디지털 기기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적 자본 관점 (Effect of Social Relation on Digital Device Usage: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 구윤모;오주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3호
    • /
    • pp.131-149
    • /
    • 2019
  •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보급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접근'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정보의 효과적인 '활용'과 능동적인 '생산', '공유'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가 중요한 것은 디지털 기술의 활용 행태가 개인의 인적, 물적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사회적 불평등 구조를 재생산하거나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가 두 가지 유형의 사회적 자본(결속형, 가교형)을 매개로 디지털 기기의 경제적 활용과 사회참여적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문리서치 업체를 통해 수집된 740건의 설문조사 데이터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수평적일수록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의 사회적 관계는 두 가지 형태의 디지털 기기 활용(경제적, 사회참여적)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사회적 자본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교형 사회적 자본의 경우 두 가지 형태의 디지털 기기 활용 모두에 대해 매개효과가 존재했지만, 결속형 사회적 자본은 경제적 활용에 대해서만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에 대한 해석과 함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SNS 사회적 자본이 외식상품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위험과 SNS 수신자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SNS Social Capital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of Food Product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SNS Receiver Characteristics)

  • 이형주;한지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31-14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NS 사회적 자본이 외식상품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특히 지각위험과 SNS 수신자 특성의 조절효과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6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해서 서울 경기 지역에서 SNS를 경험해 본 외식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23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연구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설문지를 제외한 유효한 자료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SNS 상에서의 사회적 자본(연결적 사회자본, 결속적 사회자본)이 모두 외식상품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위험은 SNS상에서의 사회적 자본과 신뢰 간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상품에 대한 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 수신자 특성은 외식상품에 대한 신뢰와 구매의도간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