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견갑하건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3초

수술이 필요한 견갑하건 파열을 예측하기 위한 수술 전 어깨 MRI 소견 (Preoperative Shoulder MRI Findings to Predict Subscapularis Tendon Tear Requiring Surgical Repair)

  • 정지훈;조영훈;김여주;이승훈;류정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71-183
    • /
    • 202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전 MRI의 다양한 간접 소견 중 어떤 소견이 외과적 치료가 필요한 견갑하건 파열을 예측하는 데 가장 주요한 것인지 조사하는 것이다. 대상과 방법 총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MRI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견갑하건 파열의 직접평가, 이두박근 장두의 병리, 상완골두의 후방위, 상완골 회전, 견갑하근의 지방변성과 위축을 평가하였다. En-face 보기에서 부리돌기의 끝과 관절오목의 기저를 연결한 base-to-tip line (이하 BTL)을 이용한 육안 등급 및 두께 측정을 통해서 위축을 평가하였다. 결과 관절경 시술에서 31명(36%)의 환자가 Lafosse type III 또는 IV의 견갑하건 파열을 보여, 재건수술을 받았다. 이두박근 장두의 병리(p = 0.002), 상완골두의 후방위(p = 0.012), 견갑하근의 지방 변성(p < 0.001), BTL 등급(p = 0.003)은 견갑하건 파열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상완골두의 후방위(p = 0.011, odds ratio [이하 OR] = 5.14)와 견갑하근의 지방변성(p = 0.046, OR = 2.81)은 견갑하건 파열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다. 결론 상완골두의 후방위와 지방변성은 견갑하건 파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판독하는 것은 최적의 수술 전략을 계획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견갑하건 부착부의 제1부착면에 대한 초음파 소견의 기술적 연구 (Descriptive Study for Sonographic Morphology of the 1st Facet of Subscapularis Footprint)

  • 손훈상;위찬국;손민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43-352
    • /
    • 2019
  • 목적: 병변이 없는 견갑하건 부착부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통한 견갑하건의 부착부, 특히 제1부착면에 대한 초음파적 영상 소견 및 그 크기를 기술하고 인구통계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3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견갑하건 부착부에서 병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시행된 115예(평균 연령 53.4세, 범위 23-74세)를 최종 평가대상으로 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초음파를 통한 견갑하건의 부착부에 대한 검사상 가장 상부에 위치하면서 제2부착면 이하 부착면들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넓고 평편한 형태와 상방으로 향하고 있는 제1부착면을 확인하였으며 제1부착면의 상완골 간부의 축에 대한 횡축과 종축상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예의 나이, 성별, 키, 체중, 체질량지수 및 팔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측정된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평균 횡적 길이는 12.75 mm (범위 10.54-14.50 mm, 표준편차 0.712), 평균 종적 길이는 12.22 mm (범위 9.20-13.30 mm, 표준편차 0.888)였다. 성별간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크기는 횡적 길이와 종적 길이 모두에서 남성에서 유의하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p=0.001). 양성의 선형 상관관계를 보이는 키, 체중, 체질량지수, 팔 길이 요소들 중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종적 및 횡적 크기 모두에서 키와 가장 강한 양성 선형관계를 보였고(횡적 길이 r=0.749, p<0.001; 종적 길이 r=0.642, p<0.001), 체질량지수와는 약한 양성 선형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외 좌우 부위 및 나이는 제1부착면의 크기와의 통계적 유의성이나 선형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병변이 없는 견갑하건 부착부의 초음파적 영상 평가를 시행하여 그 부착부, 특히 가장 상부의 제1부착면의 구조적 및 형태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견갑하건 파열에 대한 초음파 진단적 검사에 대한 해부학적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외상성 견갑하건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 (Arthroscopic Repair of Traumatic Subscapularis Tendon Tear)

  • 조수현;조형래;구정회;황태혁;박만준;최재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0-187
    • /
    • 2010
  • 목적: 회전근 개 파열 중 견갑하건의 파열은 극상건이나 극하건의 파열 보다는 드물다. 저자들은 외상 후 발생한 견갑하 건의 단독 파열에 대해 관절경하 봉합술 후 기능적 결과 및 구조적 연속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2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외상 후에 발생한 편측 견갑하건 파열로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한 15예(남자 13예, 여자 2예, 평균 연령 46.2세, 범위: 35~52세)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 예에서 견갑하건 이외의 다른 회전근 개의 손상의 동반은 없었고 견갑하건의 완전 파열이 9예, 상부 2/3의 파열이 6예였으며 술 후 최소한 2년간 추시 하였다(평균 28개월, 범위: 25~38개월). 술 후 최종 추시 상에서 기능적 평가는 Constant 점수와 미국 견주관절 학회 점수(ASES index)로 판정하였고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봉합부의 연속성을 판정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결과 평균 기능적 결과 지수와 근력에 있어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Constant 점수는 술 전 41.5점에서 술 후 81.3점으로(P<0.05) ASES 점수는 술 전 46.4점에서 89.6점으로 향상되었다(P<0.05). 13예(87%)에서 술 후 결과에 만족하였으며 완전 파열의 경우가 부분 파열보다 기능적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술 후 평균 13개월에 촬영한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15예 중 12예(80%)에서 봉합부가 치유된 것으로 판정되었고 봉합부의 연속성이 있는 경우보다 재파열된 예에서 술 후 견관절 기능적 점수가 의미 있게 감소되었다(P<0.05). 결론: 외상성 견갑하건 단독 파열환자에서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한 결과 동통, 견관절 운동역 및 근력의 유의한 향상 을 보였다. 술 후 봉합부의 연속성은 견관절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으며, 비록 완전파열의 경우가 부분파열보다 기능적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견관절 오구돌기 골절의 고정 후 발생한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 - 증례 보고 - (Subcoracoid impingement After the Fixation of the Fractured Coracoid Process -A Case Report-)

  • 구정회;조형래;조수현;황태혁;박만준;최재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2-195
    • /
    • 2010
  • 상완골두의 전상방부와 전방 오구견봉 궁 사이의 비정상적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은 견관절 전방부 동통을 유발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이는 견관절부의 수술적 치료로 인해 오구돌기와 소결절 사이의 해부학적 관계가 변형되어 견갑하근과 점액낭을 포함한 주변 연부조직의 충돌을 유발 하게 된다. 저자들은 오구돌기 골절을 유관나사를 이용해 고정한 환자에서 오구돌기하 공간의 협소화로 인해 견갑하건 파열을 동반하는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을 경험하였다. 관절경하에서 유관나사 제거 및 견갑하건 봉합 시행 후 술전 환자의 증상은 소실되었다.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은 견관절 수술 후 지속적 견관절 동통을 유발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 PDF

관절경하 견갑하건 봉합술 - 8 례에 대한 예비보고 - (Arthroscopic Subscapularis Tendon Repair - Preliminary Report of 8 cases study -)

  • 윤호현;문기혁;장종훈;유연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4-131
    • /
    • 2004
  • 목적: 관절경으로 견갑하건을 봉합하여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었으므로 그 수기를 소개하고 그 적용범 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관절경하 견갑하건 봉합술을 시행했던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ll개월이였다. 견갑하건의 단독 손상이 2예, 후상방회전근개의 소범위 단순파열과 동반된 손상이 4예, 후상방 회전근개의 광범위 파열과의 동반이 2예이었다. 견갑하근의 파열형태로서 상방부의 전층파열이 6예, 관절면에 국한된 부분파열이 1예 그리고 완전파열이 1예이었다. 결과판정은 최종 추시시점에서의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 상방 전위된 상완골두의 하방이동 여부 그리고 임상적 평가로서 Constant - Murley 기능평가법 이용하였다(Table 1) 결과: 술 후 평균 11개월에서의 견관절 기능평가는 술 전 55점에서 술후 75점으로 증가되었고 광범위 후상방파열이 동반되었던 2예를 제외한다면 술 후 평균 71점으로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상완골두의 상방이동은 술 전평균 0.7 cm에서 술 후 0.5 cm로 감소하였으나 상방이동이 오히려 가속된 1 예를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경우에서 뚜렷한 하방 이동을 보였다. 최종 추시 시점에서의 술 후 만족도에서는 만족이 5예, 보통이 1예 그리고 불만족이 2예 이었고 불만족인 1예에서는 술 후 6개월에 관혈적 방법으로 견갑하건을 봉합하였다.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견갑하건의 봉합은 광범위파열과 동반된 견갑하건의 파열이 있을경우 퇴축이 심하지 않다면 피부절개와 삼각근의 절개범위를 줄일 수 있어 술 후 통증이나 삼각근의 약화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줄일수 있으며, PASTA 병변을 포함해서 후상방 파열과 동반되지 않은 견갑하건의 부분 파열은 매우 적합한 관절경하복원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봉추나요법 후 유발된 견갑하건 부분파열을 동반한 급성 외상성 삼각 근하 점액낭염의 약침과 자가혈 분리 재생약침 시술 1례 (Pharmacopuncture and Autohemo-Seperated Regeneration Pharmacopuncture for Acute Traumatic Subdeltoid Bursitis with Patial Tear of Subscapularis Tendon After Bongchuna Treatment - A Case Report -)

  • 오원교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1-74
    • /
    • 2011
  • This is a case report about effect of syeom pharmacopuncture, bee venom and autohemo-seperated regeneration pharmacopuncture(ASRP) for acute traumatic subdeltoid bursitis with partial tear of subscapularis tendon, which was diagnosed by symptoms and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caused by bongchuna treatment. We evaluated the patient using Visual Analogue Scale(VAS) every two or four days and range of movement(ROM), physical examination of shoulder about one per ten days and observed improvement with reexamination by ultrasonography and MRI as well. Pharmacopuncture rapidly reduced pain and improved range of motion and function of shoulder in patients with acute sub-deltoid bursitis even though it was severe symptom. Our result suggest that autohemo-seperated regeneration pharmacopuncture might be effective in regenerating the tear of soft tissue such as subscapularis tendon.

상완 이두근 장두 활차 병변 (Lesions of the Long Head Biceps Pulley)

  • 김철홍;이명진;강민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1호
    • /
    • pp.47-52
    • /
    • 2013
  • 상완 이두근 장두 활차의 병변은 종종 견관절 통증과 기능저하의 원인 되기도 한다. 이 병변으로 인하여 상완 이두근 장두의 불안정성과 견갑하건 및 극상건의 관절내 부분 파열이 야기되기도 한다. 이러한 활차 병변에 대하여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는 것에 대하여는 이견이 존재하는데, 이는 상완 이두근 장두의 건 절단술이나 건 고정술이 더 예측 가능한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종설의 목적은 상완 이두근 장두 활차의 구조와 손상 기전 및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외상 후 발생한 양측성의 견관절 잠긴 후방 탈구 - 증례 보고 - (Bilateral Traumatic Locked Posterior Dislocation of the Shoulder - A Case Report -)

  • 임종민;서정탁;안재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26-231
    • /
    • 2009
  • 목적: 외상 후 발생한 양측성의 견관절 잠긴 후방탈구는 매우 드물며, 국내문헌에 이에 대한 수술적 치료에 대한 보고는 없다. 대사 및 방법: 외상 후 발생한 양측성의 견관절 잠긴 후방 탈구 1예에서 관혈적 정복술 후 우측에 대해 소전자 이전술, 좌측에 대해 견갑하건 이전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및 결론: 수술 후 24개월간 추시하여 만족스러운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얻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봉합이 불가능한 회전근 개 광범위 파열에 대한 건 이전 수술 (Tendon Transfer for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

  • 염재광;이희성;박성범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161-166
    • /
    • 2010
  • 목적, 대상 및 방법: 봉합이 불가능한 회전근 개 광범위 파열에 대한 치료로는 보존적 치료, 변연절제술, 부분 봉합술, 건 이전술, 인공 건 이식술 및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등이 있으나 비교적 젊은 연령이거나 활동성이 높은 환자에서는 견관절의 생역학적 재건으로 force couple을 향상시켜서 견관절의 기능을 호전시키는 건 이전술이 보다 효과적인 치료로 사료된다. 결과 및 결론: 따라서 저자들은 봉합이 불가능한 회전근 개 광범위 파열에서 후상방형 결손에 대해서는 광배근 이전술을 그리고 견갑하건 결손에 대해서는 대흉근 이전술을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