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겨울산란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ffect of Hatching and Brooding Season of Chicks on Their Heat Stress Response and Production Performances (병아리의 발생시기 및 육성계절이 열 스트레스 반응과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 Cho, Eun Jung;Choi, Eun Sik;Sohn, Sea Hwan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46 no.2
    • /
    • pp.77-86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heat stress response and production performance of chicks hatched in winter and summer. Among the 2,090 Korean native chickens examined, 1,156 hatched in winter and 934 hatched in summer. The amount of telomeric DNA, th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HSP) genes, survival rate, egg production, and body weight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stress response and production performance of chicke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HSP-70, $HSP-90{\alpha}$, and $HSP-90{\beta}$ genes in the winter-hatched chicke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summer-hatched chickens during the growing and laying period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telomeric DNA between summer- and winter-hatched chickens. Th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mmer-hatched chickens than in the winter-hatched chickens at the laying period (P<0.01). The hen-day egg production and egg weight in the summer-hatched chicken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winter-hatched chickens (P<0.05). In contrast, age of sexual maturity of winter-hatched chickens was significantly earlier than that of summer-hatched chickens (P<0.01). The body weights from birth to 24 weeks were significantly lighter in the summer-hatched chickens than in the winter-hatched chickens, however, it was reversed after 28 weeks (P<0.05). In conclusion, the chicks hatched in the summer are more resistant to heat stress, with better productivity than the chicks hatched in the win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icks grown at high temperatures have greater adaptability to the thermal environment.

Influence of marine environment in main fishing ground and spanwning ground on the squid catch in the East Sea (오징어 산란장 및 주 어장의 해양환경이 동해의 오징어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

  • Lee, Chung-Il;Choi, Kwang-H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8.05a
    • /
    • pp.143-145
    • /
    • 2008
  • Squid catch in the East Sea has annual, 3-5 years and decadal periodicity. Position of main fishing ground depend on the patter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Marine environment in spawning ground has close correlation with the variation of squid catch in the East Sea.

  • PDF

Distribution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Spawning in Shelikof Strait, Gulf of Alaska, Based on Acoustic and Ichthyoplankton Surveys 1981, 1984 and 1985 (알라스카만 쉘리코프 해협에서 산란하는 명태, Theragra chalcogramma,의 분포에 대하여 : 1981, 1984~85년의 음향학적 조사 및 난치자어 조사)

  • KiM Suam;NUNNALLEE Edmund P.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3 no.6
    • /
    • pp.425-438
    • /
    • 1990
  • Acoustic and ichthyoplankton data collected from Shelikof Strait in 1981, 1984 and 1985 were examined to determine spawning ground and period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Walleye pollock in the Gulf of Alaska migrated into Shelikof Strait for spawning during late winter and early spring. They entered Shelikof Strait via the warm and saline deep layer (continental slope water mass) in the southwestern channel, and major fish schools concentrated for spawning along the deep trough (250~300m) in the western part of the central strait. Peak spawning activity occurred there from late March to early April. Peak spawning time and area in Shelikof Strait varied little between years, despite difference in hydrography. Geographical advantages together with some oceanographic phenomena (reduced water transport and reduced mixed layer depth in spring) made that area an optimal spawning ground in the Gulf of Alaska during early April. After early April, spawning intensity decreased rapidly and the spawning area tended to expand to the northeast and southwest.

  • PDF

Optimal Conditions for the Bioassay Using Sperms of a Starfish, Asterias amurensis (아무르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정자를 이용한 생물검정의 최적조건)

  • Chang-Hoon Lee;Jin-Woo Choi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18 no.2
    • /
    • pp.77-87
    • /
    • 2003
  • 성게의 정자를 이용한 생물검정은 해양환경의 독성평가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산 성게류의 경우 산란기가 3~11월로 겨울에는 생물검정 실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겨울에 산란이 가능한 아무르불가사리(Arterias amurensis)를 생물검정용으로 개발하였다. 불가사리류의 생식과 발생과정은 성게류와 유사하므로 성게류를 이용한 실험 방법을 아무르불가사리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생물검정 실험 결과의 유효성은 실험조건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건들 즉. 수정막의 발달 시간, 정자와 알의 비율, 정자의 활력이 유지되는 시간, 정자의 노출 시간, 그리고 시료의 염분 범위 등을 최적화 하고자 하였다. 수정막의 발달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최소 시간은 60분이었고, 시료에 주입할 정자와 알의 비율은 3,000이상일 때 수정률이 높게 유지되었다(70%이상). 정자의 활력은 해수에 희석한 후 3시간 이상이 경과하면 급격히 감소하였다. 정자의 노출시간은 20~60분의 범위에서 구리에 대한 $EC_{50}$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변동계수: 17%).실험에 적절한 시료의 염분 범위는 26~38 psu이었다. 아무르불가사리 정자의 민감도는, 일반적으로 해양환경 평가에 흔히 사용되는 생물들의 민감도 범위의 중간 정도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아무르불가사리의 정자는 해양환경 평가를 위한 생물검정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여겨진다.

Comparative Early Developments in Winter Spawned Three Pre-larval Fishes(Gadus macrocephalus, Liparis tanakae, Hexagrammos agrammus) (겨울철 산란하는 대구, 꼼치, 노래미 전기 자어의 발달 비교)

  • Shin, Min Gyu;Lee, So-Gwang;Lee, Jeong-Tae;Gwak, Woo-Seok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30 no.1
    • /
    • pp.9-17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larvae of three winter-spawning fishes are adapted in a cold water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morphology, digestive system, and swimming ability of larvae from three winter-spawning species (Gadus macrocephalus, Liparis tanakae, Hexagrammos agrammus). Data were collected at hatching and first feeding.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repored data on several non-winter-spawning species. Mean total lengths at hatching (${\pm}SD$) were $4.35{\pm}0.11mm$, $5.26{\pm}0.08mm$, and $7.48{\pm}0.35mm$ for G. macrocephalus, L. tanakae, and H. agrammus, respectively. Three winter-spawning fishes had well-developed digestive tracts after hatching than those of non-winter-spawning fish larvae. Yolks were intact until 5 days post-hatching in all three species, indicating that they had longer mixed-feeding periods compared with fishes spawned during other seasons. G. macrocephalus, L. tanakae, and H. agrammus larvae had superior cruise and burst speeds (measures of swimming ability) than non-winter-spawning larvae. We conclude tha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se three winter-spawning species are naturally selected adaptations under lower water temperature in winter.

Ovi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Orthoptera: Tettigoniidae) (갈색여치(Paratlanticus ussuriensis)의 산란 특성)

  • Bang, Hea-Son;Na, Young-Eun;Han, Min-Su;Kim, Myung-Hyun;Roh, Kee-An;Lee, Jung-Tae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7 no.3
    • /
    • pp.274-278
    • /
    • 2008
  • Paratlanticus ussuriensis oviposited from early July to mid-September under laboratory condition. A female laid on average 145 eggs during the period of reproduction and over 54% of the eggs were laid within 2 weeks after the first laying. The average depth of egg-laying in soil was 19.4 mm under surface. The average major axis of an egg was 5.7 mm and the minor axis was 2.0 mm. Just before hatching, the egg swelled about twice the weight of a newly laid. In tests of ovipositional preference in different types of media, more eggs were laid in soil than in vermiculite or in $Oasis^{(R)}$ floral form. Females also prefer shaded places in the field for reproduction, away from sunshine. In terms of the strategy for egg survival, adult moves to the hill-side adjacent to orchard farm to find a proper place for their egg laying and its survival in winter.

특집 2 - 환절기 사양관리 포인트 -환절기 육계 사양관리 중점 포인트 _환절기 스트레스를 줄이기위한 사양관리

  • Kim, Hui-Seong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3 no.9
    • /
    • pp.122-125
    • /
    • 2011
  • 최근 4~5년 전부터 우리나라의 하절기 온도상황 및 호우 경향이 많이 달라지고 있다. 평년에 비해 6월 경 혹서기가 시작 되는가 하면, 지역별로 차이는 있으나 장마는 짧게 지나가고, 국지성 집중 호우 이후 혹서기가 반복되는 상황이다. 당연히 케이지 사육이 주로 이루어지는 산란계에 있어서는 습한 환경에 고온이 더해져 그 스트레스가 더욱 가중되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부분은 섭취량 저하 및 생산성 저하로 연계되고, 질병 또한 평년에 비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금번 환절기의 산란계는 혹서기로 인한 체력 저하 및 환경 적응력이 미진한 상황에서 일교차 증가와 온도 저하, 일조시간 변화 및 호르몬의 변화 등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무엇보다 가을 환절기는 극심한 온도의 일교차 변화와 함께 시설과 농장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환기 부분에 있어서 기본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환기 부분은 겨울철로 향해 갈수록 관리가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 시점이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사료 섭취량 및 체내 영양소 균형과 대사과정에도 변화가 연계되면서 생산성의 저하, 면역력의 약화 및 활력의 저하가 동반되며 호흡기 및 다양한 질병(IB, ND, AI 등)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관리해야 할 몇 가지 주요 포인트를 점검해 보고자 한다.

MG백신접종과 경제성분석

  • 김종택
    • KOREAN POULTRY JOURNAL
    • /
    • v.25 no.12 s.290
    • /
    • pp.123-127
    • /
    • 1993
  • 겨울철이 되었다. 일반 계사는 밀폐되고 윈도레스계사 또한 휀 속도를 줄이게 되어 계사내는 먼지와 오염된 공기로 차게된다. 온도 또한 떨어진다. 얼른 떠오르게 되는 것이 호흡기질병이며 무엇인가 대책이 없을까 하는 것이다. 호흡기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기, 보온, 소독, 백신, 약제투여란 5박자에서 환기, 보온, 소독과 약제는 다 아는 사실이나 백신 응용에 관한 문제는 아직까지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경제성 문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그러나 경제성에 대한 국내의 실제 성적은 아직까지 농장에서의 데이타가 미비하여 정확한 수치로 산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일본의 3군데 가족보건위생소에서 발표한 현장성적과 정리되지 않은 국내 사정을 참고하여 보면서 생산성 향상에 보탬이 될 수 있는 방법이 되었으면 한다. 닭이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컴(MG)에 감염되면 호흡기 증상의 유무에 관계없이 산란저하와 중지란, 사롱란의 발생이 많이 일어나 경제적 피해를 입게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MG생독과 사독을 미국에서 먼저 개발하였으며 이를 여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중이나, 일본에서는 1989년 사독백신을 개발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백신은 닭에게 MG감염을 완전히 막아 주는 것은 아니나 호흡기 증상이나 기도 병변 형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산란저하, 부하율저하 현상을 경감시켜주는 역할을 해내고 있다.

  • PDF

A simulation model for the analysis of direct and diffuse solar radiation in glasshouse - Effect of orientation on the transmissivity of direct solar radiation in glasshouse - (유리온실내의 직달일사 및 산란일사 해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 동방위가 온실내의 직달일사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 -)

  • 김용현;이석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11a
    • /
    • pp.1-7
    • /
    • 1997
  • 온실이란 식물 생육에 요구되는 태양광을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투명한 피복재가 사용된 구조물을 일컫는다. 온실내로 투과되는 일사량은 온실이 설치된 지역의 위도, 온실의 동방위 및 형상, 구조물의 재원, 피복재의 광학적 특성, 년중일수, 기상 조건, 지붕면의 경사각 등에 따라 변화된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온실내의 일사량은 식물의 정상적인 생육에 제약이 되는 요소로 작용한다. (중략)

  • PDF

동해 주요 수산자원 장기 변동 특성

  • 전영열;허영희;황선재;김복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88-289
    • /
    • 2000
  • 일반적으로 수산자원생물은 본능적으로 자기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환경에서 생활하게 되며 또한 이런 적합한 환경이 재생산력을 높여 각 개체군의 번영을 조장한다. 각 개체군은 수온, 염분, 투명도, 해류, 해저지형, 저질, 먹이생물 등의 호적한 조건을 가진 장소로 찾아 이동하거나 모이게 되며, 주로 성장기의 먹이를 찾는 색이회유나 성숙에 따른 산란회유, 겨울을 지나기 위한 월동회유 등을 계절에 따라 반복하게 된다(Hardoen Jones, F.R., 1968).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