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검사 도구 개발

Search Result 66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 Instructional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vention' Uni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기술 혁신과 발명' 단원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 Seo, Joung-Wan;Lee, Yong-ji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41 no.1
    • /
    • pp.108-127
    • /
    • 2016
  • We confront incessant choices in life. A person or a group stands at a crossroad continuously and make decisions under limited conditions in each time in order to achieve a goal. These series of processions are referred to as decision making and dominates our actions. Based on this view, the decision making is crucial and it secures its own position in school education as well as in rea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cision making skills instructional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improve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ical subjects. Th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ical education was problem recognition, problem identification, alternative production, alternative assessment, optimum selection, optimum evaluate. An instructional models for improvement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y education and examination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ic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kills developed a teaching material to experience each step. And in the teaching material was to verify the improved decision-making skill. Accordingly, a decision making instruction model in technolog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e students' decision making skills.

Development and Field Validation of Safety Personality Tests for Safe Behavior and Accident Prediction (안전행동과 사고 예측을 위한 안전 성향 검사의 개발 및 현장 타당도 검증)

  • Lee, Jong-Hyeon;Kim Jimin;Moon, K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11-21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행동과 사고 발생을 예측하고 관리하기 위해 안전성향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안전 심리 분야에서 근로자의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안전 리더십과 안전 문화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다. Lewin에 따르면 Behavior = Person * Environment으로 환경은 물리적 환경(기계, 장비 등)과 심리-사회적(psyco-social) 환경(안전 리더십/문화)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근로자 개인 특성이 안전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개인 특성 중 일관되게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이 성격이고, Lee 등(2018)은 개인 성격이 안전/불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칠 확률은 35% 이상이며, 불안전 행동으로 한정해 보면 50% 이상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불안전한 행동으로 인한 사고는 비교적 소수의 직원에 의해 발생한다고 하였다(Clarke & Robertson 2008). 따라서 안전/불안전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성격 특성을 검증하여, 직원 선발이나 재직자 코칭에 활용한다면 산업 재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The Effect of Inquiry Instruction Strategy Enhancing the Activity of Making Variables to Improve on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변인 탐색 활동을 강화한 탐구 수업 전략이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 Park, Jieun;Kang, Soonhee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8 no.5
    • /
    • pp.478-489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eaching strategy enhancing the activity to explore variables and to examine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n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this study, a model using listing-excluding-controlling variables (DPAS model) was designed and applied to the existing 'Teaching model for the enhancement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it was implemented t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the one semester.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 especially in recognizing problems, making hypothesis, controlling of variables and interpreting & transforming of data (p<.05). In addition, the strategy contributed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skills, especially in making hypothesis and making conclusion & generalization (p<.05).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MCPSAT)에 대한 중${\cdot}$고등학교 급별 적합성 분석

  • Lee, Gang-Seop;Hwang, Dong-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191-19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6년 전에 개발된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MCPSAT; 한국교육개발원(김흥원 외, 1997))에 대한 현시점의 적합성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검사의 중학교 1-3학년용 A형 1부 검사와 고등학교 1-2학년용 A형 1부 검사를 해당 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사도구의 양호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문항 내적 일관성 신뢰도(Cronbach ${\alpha}$)의 계수가 약간 떨어져 있지만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변별도는 점이연 상관 계수가 0에 가까운 문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문항이 학생들의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변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내적 타당도는 중학교의 경우 관대하게 본다면 수용할 만 하고, 고등학교의 경우 아직은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즉, 중학교 문항 1과 문항 4는 적합도 지수 1.2를 상회하였으나 Infit과 Outfit 모두 1.5를 넘는 문항은 없었다. 고등학교의 문항 4는 문항의 적합도 지수 1.2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Infit과 Outfit 모두 1.2를 상회하지 않았다. 난이도 측면에서 볼 때, 이 검사의 계속 사용은 염려스러운 면이 있다. 즉, 중학교에서는 6년 전 보다 쉬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바 이것은 현재의 학생들이 이러한 유형의 문항을 많이 접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고등학교에서는 6년 전 보다 조금 더 어려워 졌다고 볼 수 있다. 위의 사항을 종합할 때,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에서 중학생용은 현재의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재 표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등학생용은 개발 당시의 신뢰도, 난이도, 변별도 등에서 유사하므로 당분간 계속 사용하여도 될 것이다.

  • PDF

Current Knowledge on Fatigue in Advanced Cancer Patients (진행된 암환자에서 피로의 최신지견)

  • Kim, Jung-Hyun;Choi, Youn-Seo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1 no.4
    • /
    • pp.175-180
    • /
    • 2008
  • 진행된 암환자에서 피로는 70% 이상이 경험하게 되는 흔한 증상이며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된 요인이다. 피로에 대한 선별검사는 "피곤하거나 지친감이 있나요?"라는 단순한 질문으로 가능하며 이미 개발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동반 질환이나 피로의 원인을 알기 위한 병력청취와 검사실 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며 결과에 따라 가역적 인자를 치료하는 과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적절한 약물치료를 시행하여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며 이중 methylphenidate는 암 연관 피로를 호전시키고 마약성 진통제에 의한 진정에 효과가 입증되었다. 환자의 여명에 따라 부신 피질 호르몬제도 사용할 수 있고, 운동 및 환자의 교육과 영양관리 또한 중요하다.

  • PDF

Effects of the Strategy for Perceptual Arousal on Attention Improvement (지각적 주의 환기 전략이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분석)

  • Oh, Suk;Jin, M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323-3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수업에 지각적 주의 환기 전략이 학습동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지각적 주의 환기 전략으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Keller의 ARCS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IMMS를 수업의 특성에 맞게 수정한 검사지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여 지각적 주의 환기 전략을 적용하기 전 사전과 적용한 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통해 학습동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적 주의 환기 전략으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교수법이 스마트 기기에 익숙한 대학생들에게도 사전, 사후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 하위범주 중 주의력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sign of Ontology Implementation Process for the Identification of Non-serviceable Soldiers (복무부적응 용사 식별을 위한 온톨로지 구현 프로세스 설계)

  • Nam, JiHee;Kang,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171-174
    • /
    • 2019
  • 군 내 복무부적응 용사들로 인한 병영사고는 대군 신뢰도 저하, 비전투력 손실로 인한 전투력 약화 등의 문제와 더불어 병영기피와 군에 대한 거부감까지 초래하고 있다. 군은 복무부적응 용사들을 사전에 식별하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심리검사체계로 신인성검사를 자체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지만, 이는 피검자의 의도적인 결과 왜곡이나 검사 결과에 대한 맹신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무부적응 용사들의 행동 양식 및 증상들을 온톨로지로 설계하여 사고 우려자 식별을 위한 보조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온톨로지 구현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복무부적응 용사 식별을 위한 온톨로지 구현을 통해 사고 우려자를 식별하는데 객관적인 기준 제공 및 정보 공유로 사고 예방에 효과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utrition literacy assessment tool for young adults (젊은 성인의 영양정보이해력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Ahn, Seokyoung;Kim, Bogyeong;Um, Mihyang;Park, Yookyung;Kye, Seunghe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3 no.2
    • /
    • pp.175-189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validate, and assess the reliability of a questionnaire for nutritional literacy among young Korean adults. Methods: The draft questionnaire contained 65 items in 7 domains (i.e., dietary guideline, nutrition and health, nutrients, 5 food groups [food bicycle], nutrition labeling, portion size,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disease prevention). The authors developed a draft questionnaire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fter multiple drafts, 52 items were retained and 13 were eliminated in the 7 domains according to professional advice from 5 nutrition experts. A panel of experts (n = 20) comprised of clinical dietitians and nutrition professors completed the content validity assessment, inclu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eedback. As the results, all items of the portion size were eliminated from the questionnaire. A sample of 211 young adults completed the test-retest reliability assessment. Test-retest reliability was evaluat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nd inter-item reliability by Cronbach α coefficient. Results: The final questionnaire contained 30 items with 5 questions each on the dietary guideline, nutrition and health, nutrients, 5 food groups (food bicycle), nutrition labeling,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disease prevention. The Lawshe content validity ratio for domains ranged from 0.60 to 1.00. The ICC scores for questions ranged from 0.64 to 0.86. Cronbach's α for domains ranged from 0.83 to 0.90 and for the overall questionnaire was 0.87. Conclusion: The questionnaire showed strong content validity, test-retest reliability, and high inter-item reliability, indicating that it is a useful tool for assessing nutritional literacy of young adults.

A Study on ICT Literacy Capability Measurement for University Freshmen of Education (교육대학교 신입생 대상 ICT 리터러시 능력 측정 분석)

  • Noh, HyunA;Jeong, InKee;Lee, WonGy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7 no.3
    • /
    • pp.277-290
    • /
    • 2013
  • As the deployment of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has been accelerating in rapid chang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 tool is required to practically measure and evaluate the level of information education (IE) for freshmen in the University in order to propose an appropriate direction of IE in a teachers college. According to such current trends, ICT literacy is a tool to assess a specific level of capabilities such as a variety of real-world problem-solving skill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analytic reaso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has developed a test tool to measure ICT literacy competence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test questions defin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It was used to measure ICT literacy competence of 360 university freshmen of education and analyze if there is a difference among them depending on overall ICT literacy levels and genders, content areas, competence factors, and completion of IE course in high school.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IE for freshmen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o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basic data of the direction for IE course that university students need to essentially acquire in preparation for the coming future.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s to Assess Attitudes Toward Science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학생과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 Choi, Sung-Youn;Kim, Sung-Yeon;Kim, S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7 no.3
    • /
    • pp.272-28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cales of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he validation of instruments for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se instruments include three scales: cognition about value of science, affection toward science & science learning, and conative participation in scientific activities. A sample of middle school students (N=198) and their parents (N=153) was selected.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struments developed in this study had proper validity and reliability measures (${\alpha}=0.93$ for student questionnaire, ${\alpha}=0.88$ for parent questionnaire). The results reveal that both students and parents were well aware of the academic/vocational and social value of science, but they had low awareness of the individual value. In spite of that, students have positive feelings regarding enjoyment toward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their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were low. And parents' responses were observed to support their kids in general field but not in science. Especially, female students had low participation in scientific activities and also their parents had low support for scientific activities (p<.0.1). Final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heir parents' affection toward science & science learning and conative participation in science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