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측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1초

소아 악성 골종양의 치료에서 확장형 종양대치물의 이용 (Use of Expandable Prostheses in Malignant Bone Tumors in Children)

  • 한일규;이상훈;조환성;오주한;김한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16
    • /
    • 2008
  • 효과적인 항암 약물요법의 발달과 사지의 절단술에 따르는 기능적인 경제적인 비효율성은 뼈의 원발성 암 환자에서 사지 구제술의 발달을 가져 왔다. 소아에서의 사지 구제술은 종양의 광범위 절제 시 성장판이 같이 절제되어 건측과의 사지 길이 차이가 발생하게 될 수 있고 소아 환자들의 왕성한 활동성 때문에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재건술이 필요하다. 소아 환자에서 악성 골종양의 절제 후 성장한 만큼 대치물의 길이도 같이 늘일 수 있는 확장형 종양 대치물(expandable tumor prosthesis)을 이용한 재건술이 시행되어 왔으나 모든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오진 못하였다. 최근 들어 확장형 종양 대치물의 발달로 합병증의 발생을 줄이면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사지 길이를 맞추고 종양 대치물의 수명을 길게 하는 시도들이 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형 종양 대치물의 적응증, 특성 및 합병증 등에 대해서 짚어 보고자 한다.

  • PDF

유인등대를 활용한 친수공간의 시설, 프로그램, 제도에 관한 연구 - 영남권 유인등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cility, Program, Institution of Water-familiar Space developed on the Manned Lighthouse - Focused on the Manned Lighthouse in Young-Nam Area -)

  • 안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5-282
    • /
    • 2005
  • 한국의 등대는 1903년 6월 팔미도에서 점등된 것을 기점으로 지난 2003년에 건립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등대는 본래 천혜의 자연조건 속에 입지해 있고, 바다와 관련된 시적 감흥을 간직하고 있으며, 태양에너지 등을 동력원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건측시설이다. 이처럼 등대는 그 잠재석 가치와 개발 가능성이 높은 시설이다. 그 가운데 적절하게 개발된 유인등대는 이제 전통적인 기능과 역할에 충실한 항로표지일 뿐만 아니라 온 국민이 향유하고 체험하는 새로운 사설이자 공간이 되였다. 따라서 유인등대를 친수공간으로 개발할 경우 보다 체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건축사설, 운영프로그램 그리고 관련제도 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의 친수공간개발사업이 실시된 이래 전국의 유인등대가 보다 더 적절하게 활용되기 위해 다각도로 검토되어야 할 논제들을 밝히고자 의도하였다.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과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an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김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20-5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과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이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과 경두개 직류전류자극을 실시한 실험군 13명,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만 실시한 대조군 13명으로 나누어 총 4주간, 50분씩, 주 5회 실시하였으며, 캐나다 작업수행 평가(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가속도계 (Accelerometer), 퍼글 마이어 검사(Fugle-Meyer Assessment;FMA), 운동 홛동 척도(Motor Activity Log;MAL)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은 작업 만족도와 수행도, 환측과 건측의 사용량, 상지 기능의 회복과 움직임의 질에서 모두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으며, 특히, 환측 사용량에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과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의 결합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편마비 환자의 상지 재활 기기 운용을 위한 관절 각 추정 기법에 관한 연구 II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the Joint for the Operation of 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Hemiplegic Patients II)

  • 송기선;엄수홍;이응혁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313-318
    • /
    • 2014
  • 본 논문은 편마비환자들의 상지재활 기기 운용방법으로 건측에서 관성측정장치를 기반으로 한 관절각 추정 기법과 착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측정축 뒤틀림을 보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자 왼팔의 상완과 전완에 관성측정장치를 부착하였으며, 임의의 자세를 촬영하여 검출한 실제 관절 각과 관절각 추정한 각과 비교하여 검증 하였다. 그리고 측정축 뒤틀림을 보정하는 기법을 적용 전/후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측정축 뒤틀림 보정을 적용전은 관절각 일치율이 89.16%로 저조한 일치율을 보였으나, 측정축 뒤틀림을 보정한 후에 관절각 일치율은 93.28%의 일치율로 4.12% 개선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 PDF

슬관절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발생한 이식 건의 일과성 석회화 - 증례 보고 - (Transient Calcification of Autogenous Grafted Patellar Tendon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A Case Report -)

  • 정현기;최충혁;김종헌;김재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0-34
    • /
    • 1999
  • 30세의 남자환자로 자가 슬개골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이식건에 발생한 일과성 석회화 1례를 보고 하고자 한다. 환자는 양측 절개술의 관절경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았으며 술 후 6개월 방사선 필름 상, 이식 건 주위로 석회화 음영이 나타났으며 술 후 13개월 석회화 음영이 사라졌다. 술 후 2개월 Lachman 검사와 pivot shift 검사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KT-1000 Arthrometer 검사 상 20 Ibs에서 건측과 1mm의 차이를 보였으나, 술 후 6개월에 이식 건 주위로 석회화 음영이 나타났을 때는 경도의 전방 불안정성이 관찰되었으며, 이후 석회화 음영이 없어지면서 슬관절의 전방 불안정도 회복되었다.

  • PDF

편측 대퇴절단자의 보행 시 건측 하지 관절 모멘트 분석 (Analysis of Joint Moment in the Intact Limb With Uni-Transfemoral Amputee During Level Walking)

  • 장윤희;이완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4-7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joint moment in the intact limb of uni-transfemoral amputees an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knee osteoarthritis. As an experimental method, three-dimensional gait analysis was performed on 10 uni-transfemoral amputees and 10 healthy males. Kinematics and kinetics at the hip, knee, and ankle joint were calculated. As a statistical method, independent t-tests were conducted to perform a comparison between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ernal knee adduction moment increased in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22 Nm/kg)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13 Nm/kg) at terminal stance (p=.008). External knee flexion moment also increased in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24 Nm/kg)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ternal hip flexion moment increased in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1.35 Nm/kg)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45 Nm/kg) at initial stance, and external hip extension moment decreased in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26 Nm/kg)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76 Nm/kg) at terminal stance. Although external ankle plantarflexion moment of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increased, it wa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act limb joint moment of the uni-transfemoral amputees during walking can be different from that of healthy subject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link between the increase of external knee adduction moment and the prevalence of knee osteoarthritis in uni-transfemoral amputees. This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some objective data for rehabilitation programs related to knee osteoarthritis in transfemoral amputees.

  • PDF

보행 가능한 편마비 환자에서 편측 및 건측 하지 발목 관절의 인대와 힘줄의 초음파 비교 (The Comparison of Sonographic Features of Ankle Ligament and Tendon in Affected Side With Non-Affected Side Ambulatory of Hemiplegic Patients)

  • 박지웅;안재기;박용범;배원식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0-66
    • /
    • 2010
  • In chronic ambulatory hemiplegic patients, structural changes might be developed at both ankles possibly due to unequal and repetitive weight bearing on tendons and ligaments. We examined ankles by sonography to find out structural changes of tendons and ligaments of both ankles in ambulatory hemiplegic patients. Nineteen ambulatory hemiplegic patients over 1 year were included as study subjects. All subjects had no previous trauma or disease history in their ankle joints and they were able to walk independently or with supervision but had spastic ankles with equinovarus tendency. We examined both ankle joints by sonography to see joint effusion and measure width, thickness, and area of tendons of the tibialis anterior, tibialis posterior, and Achilles, and also ligaments of the anterior talofibular and calcaneofibular. We compared sonographic features of the hemi-side ankle with the sound-side ank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emi-side and sound-side ankles in almost all measured parameters of tendons and ligaments. However, the width of the hemi-side tibialis posterior tendon ($7.24{\pm}1.52$ mm) was narrower than the sound-side tendon ($8.61{\pm}1.37$ mm). With the amount of active joint motion and weight bearing possibly preventing ligament and tendon atrophy even though marked weakness, spasticity occurred during the chronic hemiplegic phase.

장기간 지팡이의 사용이 뇌졸중 환자의 건측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tor Functions of Ipsilateral Upper Limb Induced by Long-Term Cane Usag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손성민;최용원;김중선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4권2호
    • /
    • pp.151-15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dverse effects of sensorimotor function at the shoulder joint according to long-term cane usage in stroke patients without apraxic behavior, in terms of the presence of shoulder joint pain, accuracy of tracking task, proprioceptive joint position sense, and nine-hole pegboard. Methods: Nineteen stroke patients with long-term cane usage (cane usage group) and nineteen stroke patients without cane usage (non-cane usage group) were recruited. All subjects were tested in pain presence, a tracking task for visuomotor function, joint reposition, and nine-hole pegboard in the shoulder joint regarding the non-affected side. Results: In the accuracy index for tracking task and the nine-hole pegboard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cane usage group and the non-cane usage group. However, although a higher emergence of shoulder pain and a lower accuracy for joint reposition sense were detected in the cane usage group in comparison to the non-cane usage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long-term cane usage could induce to decrease in delicate movement and coordination in the non-affected upper arm in stroke patients. In addition, they could experience high frequency of shoulder pain and poor joint reposition sense. Therefore, careful evaluation and observation will be required concerning stroke patients with long-term cane usage.

견봉 쇄골 관절의 급성 완전탈구에 대한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the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 이광원;황인식;최원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권2호
    • /
    • pp.175-179
    • /
    • 1998
  • 저자들은 1990년 1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을지의과대학병원 정형외과에서 급성 견봉쇄골관절 탈구로 진단 받고 Phemister 방법, Bosworth 방법, Weaver와 Dunn의 방법 등으로 수술 받은 70례의 환자에 대하여 이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60례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상 후 평균 오구쇄골 간격은 건측과 비교시 평균 7.l㎜의 차이를 보였는데 수술 방법에 상관없이 수술 후에는 평균 1㎜의 과교정, 최종 추시 시에는 평균 2㎜의 차이를 보였다. 2. 임상적 평가에서는 우수 23례(38%), 양호 31례(52%), 보통이 6례(10%)를 보여 대부분 좋은 결과를 얻어 최종 추시 시의 오구쇄골 간격 증가의 정도가 임상적 결과를 좌우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P>0.05)

  • PDF

수정된 건측억제-환측유도치료(mCIMT)가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Uppe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방대혁;최성진;신원섭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45-252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mCIMT) on uppe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eople with sub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Eighteen participants, with subacute stroke that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n=9) or the control group(n=9). For subjec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was performed. exercise program, the patient trained i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with restricted non-affected side for 1 hour and using in activity daily living for 4 hours for five times per week, during 4 weeks. For subjects from the control group, conventional upper extremity training was performed. Outcomes such as the box and block test(BBT), 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FMA), and modified Barthel index(MBI)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raining. Between-group and within-group comparisons were analyzed by using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pectively. RESULTS: These finding suggest that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increase in BBT, FMA, MBI(p<.05). In comparison of two group, experimental group was high upper function and activity daily living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experimental group can be used to improve upper function and activity daily living than control group. Thus it indicates that mCIMT will be more improved through the continued upper extremity exercise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