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적 환경

검색결과 1,834건 처리시간 0.033초

환경 친화적 도서관 건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n environment friendly library architecture)

  • 김효숙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3년도 제1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5-364
    • /
    • 2003
  • 20세기의 도서관은 확산된 인터넷의 보급으로 대출형 도서관의 연장선상에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관종이나 지역간 협력을 통한 네트워크 운영으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 이후, 도서관의 발전단계는 다양한 서비스를 즐기며 오랜 시간을 관내에 머무를 수 있는 체재형(滯在型)도서관이라고 표방되고 있다. 이는 도서관이 오랜 시간 머물며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사회적, 시대적 요청에 의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니버설(universal) 디자인과 에콜로지(ecology) 디자인의 개념을 수용한 환경 친화적 도서관 건축에 대한 사안(私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초고층 건축물 거주환경성능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of Dwelling Environment Performance at Skyscraper)

  • 박현구;양승희;고성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9-89
    • /
    • 2009
  • 과밀 도심의 주거공간 확보 해결책으로 2000년 초부터 도심지내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초고층 건축물의 건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주거유형의 하나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도심 주거시설로써 초고층 건축물의 필요성은 과밀화 현상의 해결 효과와 함께 도시의 상징을 표현하는 랜드마크로서의 의미가 높다. 그러나 무분별한 초고층 건축물의 시공은 거주자의 생활환경을 보장해주지 못하며, 설계, 시설기준 등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는 한 위험요소를 항상 내포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제 초고층 건축물은 단순한 이미지와 상징성을 떠나 미래의 주거공간을 구성하는 도시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도시와 건축의 유기적인 상호관계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거주환경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AHP 분석을 통해 각 영역/범주별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정립하고, 향후 초고층 건축물 계획시 거주환경성능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1세기 한국건축의 비전(Ⅰ)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12호통권368호
    • /
    • pp.31-45
    • /
    • 1999
  • 숨가쁘게 달려오던 한국사회는 문득 21세기의 문턱 앞에 서 있다. 지난 한 세기는 한국 뿐만 아니라 세계건축계에도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이렇다 할 준비없이 우리가 맞이하는 21세기는 정보와 문화가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밀레니엄에 대한 기대와 세기적 전환시대를 맞는 현 시점에서 그동안 한국건축은 급격한 경제성장과 아울러 새로운 서구적 건축의 유입으로 인해 우리는 건축문화에 대한 관심을 기울일 시간도 없이 양적인 성장을 계속해 왔다. 외래건축의 유입으로 인해 한국건축이 겪었던 문화적 충격은 단순한 문화적 충돌이 아니라 기존 도시구조의 대대적인 변형과 파괴에 시달려야 했으며, 이로 인한 불균형한 개발은 급조된 건축물을 생산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고, 이와 함께 우리 건축문화의 모습은 기형적인 도시환경의 모습으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가올 21세기는 WTO세계무역기구의 발전과 더불어 국가간의 개방정책이 불가피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회 전분야에 걸쳐 새로운 시도는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건축분야 역시 문호 개방원칙에 따라 국가간 건축사자격 상호인증에 대한 각국간의 심도있는 논의와 그에 따른 교육 및 시험수준, 경력의 요구조건, 제반규제사항 등 각국의 상호 차이점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가 올해 열린 UIA(세계건축사연맹) 북경 총회에서 승인되어 표준안이 공포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건축사자격 상호인증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공청회개최 등을 통해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제 우리 건축계도 새로운 세기를 맞는 시점에 서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건축계는 급변하는 세계속에 우리의 건축문화를 계승 발전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밀레니엄 특집으로 '21세기 한국건축의 비전'이란 주제로 한국건축의 새천년의 미래를 내다보고 이를 통해 우리 건축이 담고 있는 현실과 문제의 실마리를 풀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이번 특집이 계획되었으며, 또한 한국건축이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짚어 봄으로써 한국건축의 활로를 모색하고 세기적 전환시대를 맞는 우리 건축의 미래지향적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 PDF

해수에 노출된 칼슘 알루미나계 그라우트의 기계적 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f calcium aluminate grout exposed to sea water environment)

  • 손다솜;박지윤;이종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가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83-184
    • /
    • 2023
  • Considering the actual marine environment construction, this paper monitors the mechanical properties (Flexural, Compressive strength) by exposing alumina cement to seawater.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ngth decreases by about -25% when curing in seawater, but the target strength of the product is met, so it is believed that exposure to the actual marine environment will not be significantly affected.

  • PDF

물리적 환경과 치매거주노인의 행동·심리적 건강과 삶의 질 - 노인요양시설 치유환경 디자인 요소 도출과 연계된 중재적 의료성과의 이해확장을 위한 후속연구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Behavioral·Psycholog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 A Follow-up Study of Empirical Research, conducted on the Context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to Identify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an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Related Clinical Outcomes)

  • 최영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7-20
    • /
    • 2023
  •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a body of research evidence that articulates the impact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behavioral·psycholog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who resid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is follow-up study of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aims to further identify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improve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published in recent five years an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clinical outcomes as mechanism that mediate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on improving behavioral·psycholog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Methods: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empirical studies that link the design of dementia care facilities to health- and quality of care(QOL)-related outcomes and this follow-up review scrutinized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in recent five years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2),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and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Results: The review identified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that articulates environment-related factors that improve behavioral·psycholog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living long-term care facilities. 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e review can be translated to design implications and design decisions to promot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지역건축탐방(3) - 아산ㆍ부여ㆍ공주

  • 정무웅
    • 건축사
    • /
    • 3호통권347호
    • /
    • pp.72-76
    • /
    • 1998
  • 본 특집은 지방시대에 지역건축문화가 어떻게 변화하고 정착되고 있는가? 그 지역만의 갖고 있는 도시+건축문화의 아이덴티티는 무엇이고, 현대화과정에서 그 지역의 고유한 문화경관요소가 개발과 보존이라는 병립된 사회요구속에서 어떻게 적응되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봄을 의도하고 있다. 특히 백제문화권의 중심도시인 아산, 부여, 공주의 도시특성을 이루고 있는 도시공간구조 및 구성요소와 그 속에 내포되어 있는 문화경관요소의 현황을 살펴본다. 본고는 현대화하는 과정 속에서 전통성이 있는 문화요소를 지역성의 개념과 상관적으로 관련시켜 정리하기 위한 것이다. 문화가 지역을 초월하여 국제적으로 교류되면서, 생활의 편익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은 국가와 민족의 차이를 넘어 동일한 지구문화형성의 과정으로 급속히 진행하고 있다. 현대화는 서구화라는 등식은 서구문화의 간결한 편익성이 낳은 전세계적 현상이다. 따라서 현대화를 생활의 변화로 이해할 때에 전통논의의 여유가 있고, 전통논의에 대한 객관성이 있으며, 편협된 전통관으로부터 자유로와질 수 있다.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생활이 변하고, 특히 생활을 담는 그룻으로서 건축환경이 변한다. 오랜 시간을 통해서 서서히 건축환경이 변하지만, 누적된 변화는 커다란 차이로서 나타나고, 이에 따라 적응과정에서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많이 논의되어온 보전과 보존의 방법론적 세분화에 의한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서 '전통성을 갖춘' 도시ㆍ건축구조물을 단순한 유적, 유물로 보존할 것인가, 실생활과 관련된 생활과 함께 하는 문화현상으로 적응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점이 우리의 과제인 것이다.

  • PDF

도시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저류조 펌프용량 산정 (Estimation of Pump Capacity in Detention Reservoir for Reducing Urban Inundation)

  • 이용식;이의훈;;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4-4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 저감을 위한 여러 구조적인 시설물 중에서도 빗물저류조의 펌프 적정 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규모로 설치되어 자연 방류를 하는 온라인 빗물저류조와 달리 우수 관망 내 설치된 오프라인 빗물저류조의 경우 도심지에 위치하여 규모에 한계가 있으며 신설이나 증대 등에도 제한이 있다. 따라서 기존 빗물저류조 능력의 최대화가 필요하다. 현재 빗물저류조 펌프 운영시스템은 일정 수위 이상이거나 강우 종료 후 토출을 시작하므로 연속강우에 대한 대처가 취약하다. 연속강우에 대한 빗물저류조 능력의 최대화를 위해서는 기존 배제시간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펌프 적정 용량을 산정함으로써 도시침수 저감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림3 어린이공원 빗물저류조를 대상으로 여러 기왕강우를 적용하여 도시침수를 저감할 수 있는 펌프의 적정 용량을 산정한다.

  • PDF

가강수량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발생 판단의 정확성 검토 및 향상 (Applicability of Precipitable Water for Investigation and Enhancing Radar Accuracy on Identification of Rain and No Rain)

  • 강민석;노용훈;김길도;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65-465
    • /
    • 2015
  • 강우/무강우 정보는 재해의 관점에서는 중요성이 덜하지만 농업, 건설 등의 산업분야나 우리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발생을 판단하는데 있어 그 정확성을 살펴보고, 아울러 이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가강수량의 역할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악산 레이더 자료, 관악산 레이더 반경 내 위치한 30개 AWS지점의 강우 자료를 분석하였다. 30개 AWS지점은 관악산 레이더 반경을 전체적으로 포괄할 수 있도록 임의로 선정하였다. 또한, 오산과 백령도 고층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가강수량을 레이더 강우발생 판단에 적용하여 정확성 개선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를 2차원 평면에 나타내어 공간적인 변화를 비교하였다.

  • PDF

단일편파 레이더자료를 이용한 Z-R관계식의 유효 영역 탐색 (Searching the effective range of Z-R relationship using single polarization radar data)

  • 강민석;나우영;김길도;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4-19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수평반사도를 이용한 강우추정 관계식을 유효성 측면에서 재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강우추정 관계식의 유도과정을 다시 살펴보고, 관측자료를 가지고 강우입자분포의 매개변수를 추정할 수 있도록 식의 형태를 변환하였다. 이 식을 이용하여 비슬산 레이더에서 관측된 반사도-강우강도의 쌍 자료에 대한 강우입자분포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정된 매개변수 대푯값을 다시 강우추정 관계식 유도에 사용하였다. 이렇게 결정된 강우추정 관계식이 관측된 수평반사도-강우강도 자료를 얼마나 잘 대표하는지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레이더 반사도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강우추정 관계식의 이론적 배경과 관측자료의 괴리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우입자분포를 지수분포로 가정한 형태의 강우추정 관계식이 모든 반사도 구간에서 유의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유역 출구에서의 첨두유속과 Clark 모형 매개변수 간의 관계 검토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ak velocity at a basin outlet and parameters of the Clark model)

  • 이진욱;이문석;김소은;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2-33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유역 출구에서의 첨두유속과 Clark 모형 매개변수 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첨두유속과 집중시간의 관계가 먼저 검토되었으며, 이후 집중시간과 저류상수의 관계가 검토되었다. 이를 위해, 다년간의 수위 관측 및 유속 및 유량 측정 성과가 있는 지점들이 선정되었다. 분석을 위해 관측 수위 및 수위-유량 곡선이 존재하는 호우사상들이 고려되었으며, 이 중 첨두유속 자료가 존재하는 사상들이 첨두유속과 집중시간 관계 검토를 위해 고려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호우사상 규모가 커짐에 따라 첨두유속은 크게, 집중시간은 작게 나타나며, 이 둘은 선형적인 관계를 가진다. (2) 집중시간과 저류상수는 호우사상 규모에 관계없이 유역별로 어느 정도 일정하게 나타나며, 이는 유역의 상사성과 높은 상관을 가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