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적 평면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1초

인터뷰 - "건축사의 사회공헌 활동, 건축의 공적 역할 확대·강화에 필수" (Interview - "Necessary for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an architect, and an expansion and strengthening of the public role of a construction")

  • 육혜민
    • 건축사
    • /
    • 통권620호
    • /
    • pp.16-19
    • /
    • 2020
  • 최근 서울시가 쪽방촌 주거환경 업그레이드를 위한 표준 평면을 전국 최초로 발표하고, 이를 쪽방 정비사업 공공주택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한다고 밝혔다. 발표된 표준평면 유형은 '주거기본법'에 따른 최저주거기준인 14제곱미터 이상으로, 1인가구를 기본으로 거주자 특성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이번 일로 국내 공공복지 건축이 한 발 더 도약했다는 평이 주를 이룬다. 지난 11월 27일 표준 평면을 개발한 한영근 건축사(주.아키폴리건축사사무소 대표_프랑스 국가공인 건축사/대통령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를 만나서, 관련 내용과 더불어 공공복지 건축 및 건축사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그의 생각을 들어봤다.

  • PDF

프리폼 구조의 노드 기술 현황 분석 (State-of-the-art Node of Freeform Structure)

  • 이경주;오진탁;김상대;주영규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53-153
    • /
    • 2011
  • 현대 건축은 기능적이고 합리적이었지만 획일적이었던 박스형 건축에서 탈피해 형태와 공간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별한 건축물의 실현을 위해 각 나라의 기술력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고, 보다 더 독특한 건축물에 대한 관심은 비정형 건축물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비정형 건축물에 적합한 구조로써 프리폼(Free-Form) 구조가 있다. 프리폼 구조로 입체골조(Double Layered Structure)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최근 유리로 되어 투명하고 기하학적 모양의 건축물을 추구함에 따라 평면골조(Single Layered Structure)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평면골조는 축력 지배형과 모멘트 지배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프리폼 구조의 구성 요소 중 가장 취약하고 중요한 부분은 노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폼 구조 중 가장 큰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평면골조 모멘트 지배형의 노드에 대한 국내외 기술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입체골조는 하나의 노드에 여러개의 부재가 3차원으로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골조 시스템에 비해 노드부가 복잡하지만, 건축물의 외관을 유리로 하여 투명하게 하고 비틀리고 구부러진 구조물에 대한 건축적 요구가 많아짐에 따라 평면골조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건물의 구조적, 기하학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드 시스템이 개발 중이며, 가해지는 하중의 특성에 따라 축력 지배형과 모멘트 지배형으로 구분하여 노드의 양상을 분류할 수 있다. 축력 지배형의 대표적인 시스템은 다이아그리드(Diagrid)이다. 축력 지배형 프리폼 구조의 노드는 전체 구조물의 하중을 축력으로 받아 모두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크기가 크고 가새가 2~4개층에 걸쳐서 설치되기 때문에 중량이다. 모멘트 지배형 노드를 갖는 프리폼 구조의 형태는 대부분 지붕 구조로써 지붕 자체의 하중만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노드부와 노드에 붙는 부재들이 가볍기 때문에 사람이 들 수 있고 노드의 크기가 작아 시공성이 좋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노드의 형태는 힘의 흐름과 쓰임에 따라 다양하다. 평면골조 모멘트 지배형의 노드는 접합방식에 따라 Splice node connection과 End-Face node connection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Splice node connection은 각 부재의 종축으로 노드와 구조부재 사이에 이음재를 두어 연결하고, 연결 형태에 따라 전단력을 전달할 수 있는 1~2개의 접촉면이 생긴다. 전단응력을 받는 볼트로 이음재를 이어 조립하거나 용접으로 접합할 수 있다. 대표 노드로, SBP-1, SBP-2와 POLO-1 등이 있다. End-Face node connection은 각 연결된 부재의 단부와 노드 사이의 연결면은 종축방향의 수직이고, 인장응력을 받는 볼트를 사용하거나 용접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대표 노드로 SBP-4, WABI-1, MERO-1(Cylinder), MERO-2(Block), MERO-4(Double Dish) 등이 있다. 본 기술 현황 분석을 통해 현재 개발된 노드를 분류하고 가장 관심이 높은 Single Layer 모멘트 지배형 노드를 비교, 분석하였다. 최근 건물의 경향을 반영한 프리폼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노드의 개발은 국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그 기술이 개방되어 있지 않다. 국내에서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에 새로운 노드를 적용하고 고려대학교에서 모멘트 지배형 노드를 개발하는 등 발전 가능성을 보이고 있지만 국외 사례들에 비하면 아직 초기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용접을 지양하고 공장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며, 프로젝트 별로 상이한 노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요구를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구조 효율성을 향상시킨 노드 상세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원룸 평면 구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사례조사 기반의 10개 평면 유형을 중심으로 (Autonomic Responses Related to the Floor Plan Configurations of One-room Units: Focus on 10 Types of Floor Plan Configurations)

  • 명지연;김규범;전한종
    • 감성과학
    • /
    • 제22권2호
    • /
    • pp.101-10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심전도를 활용하여 원룸형 평면 계획 구성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측정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생리 신호는 대부분 제한된 건축요소에 대해 개별적으로 측정되었고, 이 결과들은 실제의 전체 원룸공간에서 측정된 데이터와는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보다 동적인 환경에서 인간의 감성을 추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했다. 먼저, 무작위로 수집 된 43 개의 원룸은 욕실과 주방의 위치에 따라 10 가지 유형의 평면 구성으로 분류되었다. 그 다음 건강한 10명의 피험자로부터 평면 구성 변화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측정하였고, 쾌적성 및 선호도에 대한 주관 평가가 시행되었다. 결과적으로 평면 구성 따른 유형별 LF/HF의 평균 비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본 연구 결과는 평면의 구성이 원룸의 공간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를 제공하며, 이 접근법이 일인가구의 정신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앞으로 피험자수를 늘려 보다 정확한 통계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건축 밀도의 변화 - 송도경제자유구역 내 아파트를 중심으로 (Changes on Building Density after Legalization of Balcony Expansion - Focused on Apartment in Songdo Economic Free Zone)

  • 이범훈;장동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98-30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발코니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발코니 활용에 따라 기본형 평면과 확장형 평면의 출현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제 사례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건축 밀도의 변화를 실질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인천광역시 현 도시 관리측면의 정책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첫째, 건축법 시행령 내 발코니의 다양한 정의와 특성을 분석하고 이후 2005년 합법화에 따른 발코니 확장을 기준으로 하여 기본형 평면과 확장형 평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발코니 확장에 따른 밀도에 관한 문제를 다양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제기하였고 대상지의 밀도 관리 측면의 계획적 시도를 살펴보았다. 셋째, 인천광역시 송도경제자유구역 사례를 대상으로 실질적인 건축면적과 연면적 그리고 용적률 등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일부 구역에서 실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구단위계획의 밀도 관리를 준수하지 못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중국 고건축 기행(1) - 산서성을 중심으로

  • 김도경
    • 건축사
    • /
    • 7호통권327호
    • /
    • pp.74-81
    • /
    • 1996
  • 역사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건축은 중국건축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중국이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수용하면서 개방되자마자 중국건축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많은 사람들이 중국을 방문하게 되었다. 그리고 여러 사람들에 의해 중국건축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중국은 워낙 방대한 영토를 지니고 있고, 아직은 중국을 여행하는데 교통이나 안전 등 많은 문제가 있어서 국내에 소개된 중국건축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지난해 9월 28일부터 10월 25일까지 산서성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일부를 답사한 바 있다. 이번 답사 지역 중에는 기왕에 국내에 잘 알려진 곳도 있고 그렇지 않은 곳도 있다. 이번 기회에 그 답사내용을 사진과 평면 스케치를 곁들어 소개하고자 한다. 중국건축에 대한 이해와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지역응급의료센터의 평면유형 및 면적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Plan Type and Area Composition in Medical Emergency Center)

  • 권용택;노지화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55-64
    • /
    • 2012
  • Recently, our country is caused with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nd city intensive brazier being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 crime accident and suicide of traffic facility, it is caused by with Western dietary life and the emergency patient is to an increase tendency. And the life increases with medical development and the medical emergency demand of the old people are increasing. Approximately 80% of the patients are non-emergent patients who receive ambulatory care and the rest 20% of the patients are serio us- emergent patients Emergency patients because non-strategy it is doing with function as imported medical treatment and provides, equipment, the operation is being impossible with manpower tribal etc.

병동부 평면유형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Typical Plan Type in Ward)

  • 김길채;최광석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6권10호
    • /
    • pp.59-65
    • /
    • 2000
  • Wards are the biggest part in hospital buildings and the flow of medical personnels and material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ward design.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wards and is esscential for the optimum design considering function, environment, patient psychology, etc. This study attempts to classify ward pattern and analys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survey the ward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the design guideline of the wards To achieve this goal, ward type by using corridor form were introduced and then each type was systematically analyzed. A evaluation method are developed from studied factors and are applied to existing wards to check the reliability.

  • PDF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감정적 반응 - 다른 평면 구성을 가진 1인 주거에 대한 뇌파 반응을 중심으로 - (Emotional Responses toward 3D Space based on Virtual Reality - Focus on EEG Response to Single-Person Housing with Different Plan Configuration -)

  • 명지연;전한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2호
    • /
    • pp.55-6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ffection of plan configuration on human emotion using Virtual Reality. A total of four different plan configuration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prior study and built using Virtual Reality. The EEG was measured and then calculated using FFT to measure human emotion in different plan configurations. The measurements were shown to lea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four types of brainwaves between the plan types(p<0.05).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plan configuration may exacerbate psychological disorder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and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counteract those stress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by changing the plan configuration in the earlier designing stage.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노형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장려상 서무영, 배충열, 이대범_ 강원대-SAC조와 Cable 현수 구조를 이용한 초고층 건물

  •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 건축구조
    • /
    • 제12권4호
    • /
    • pp.80-81
    • /
    • 2005
  • 고층화의 최대 장점은 과밀한 수평 밀집 환경을 건축물의 수직적 확장으로 과밀 현상에서 다층 보행자 시스템으로 대지의 공지를 활용하는데 있다. 이러한 초고층 건물은 특성상 건물의 강도, 강성,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가 이루어졌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비교적 건물 내의 대공간 확보와 평면의 자유를 얻기 힘들었다. 그래서,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그 대안으로 SAC조와 현수교 구조(Cable)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