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조 농산물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63 seconds

A Study on the Adsorption of Heavy Metals by Chestnut Shell (밤 껍질에 의한 중금속 흡착에 관한 연구)

  • 신성의;차월석;서진종;김종수
    • KSBB Journal
    • /
    • v.14 no.2
    • /
    • pp.141-145
    • /
    • 1999
  •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biomaterials such as Chestnut shell which was wasted tremendously as an agricultural by-products. This biomaterials were examined for their removal rate of heavy metal ions as adsorbents in wastewater by batch adsorption experiments. In this experiment, the heavy metal ions used were $\Cd^{2+},\;Fe^{2+},\;Cr^{6+},\;Mn^{2+},\;Cu^{2+}$ and $Pb^{2+}$. The range of time for the removal rates of heavy metal ions were observed about 10 min. The range of high pH for the removal rates of $\Cd^{2+},\;Fe^{2+},\;Mn^{2+},\;Cu^{2+}$ and $Pb^{2+}$ ere observed 7.0-9.0. The range of high pH for the removal rate of $Cr_{6+}$ was observed 2. In the case of raw chestnut shell, the removal rates of $\Fe^{2+},\;Mn^{2+},\;Cu^{2+}$ and $Pb^{2+}$ were above 70 percent. The removal rates of heavy metals in formaline pretreated chestnut shells except $Cd_{2+}$ were above 50 percent and in phosphorylating chestnut shells except $Cr_{6+}$ were above 60 percent. Chestnut shells pretreated by formaline and phosphorylating were not so good enough for improvement of removal rates with pH change in mixed heavy metal solution.

  • PDF

최소가공 과일의 갈변저해를 위한 저해제의 탐색

  • 박연주;최소영;김영언;문광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19.1-119
    • /
    • 2003
  • 단체 급식의 증가와 더불어 편의식품을 선호하는 소비 경향에 맞추어 최소가공한 과일의 갈변저해를 위한 저해제를 탐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과일은 배와 감으로 각각 박피하여 속심을 제거한 후 배는 8조각으로 절단하고 감은 1~2cm 두께로 slice 하였다. 저해제는 1% ascorbic acid, citric acid, NaCl, MgCl$_2$, CaCl$_2$, oxalic acid, EDTA, raffinose, salicylic acit, sporix를 사용하였다. 또한 열수 추출한 오약, 계피, 황기, 당기, 건칡, 진피, 천궁, 감초 등도 저해제로 사용하였다. 최소가공한 과일은 저해제에 3분간 침지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tray에 포장하여 실온에서 저장하면서 colorimeter를 이용하여 갈변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갈변 정도를 나타내는 $\Delta$E 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배의 경우 변화 정도가 크지 않았다. NaCl, MgCl$_2$, CaCl$_2$를 처리한 배의 갈변 정도가 가장 적었다. cysteine을 처리한 구에서는 황화합물 냄새가 났다. 또한 oxalic acid를 처리한 구에서는 연화가 빠르게 일어났으며 저장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이 용출되었다. 한약재는 자체 색으로 인해 배의 색변화를 증가시켰으며 이취가 발생했다. 또한 저장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건조가 빠르게 일어나 관능적으로도 좋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감에서는 CaCl$_2$, MgCl$_2$를 처리한 구에서 색의 변화가 가장 적었으며 cysteine은 색변화는 적었으나 배의 경우과 같이 이취가 발생하였다. 한약제는 계피와 진피를 처리한 감에서 색의 변화를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다.를 처리하였을 경우 당귀, 천문동을 처리한 구에서 효과를 보였다. oxalic acid는 갈변저해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의 용출이 증가하였으며 물성의 변화도 컸다. 또한 ZnCl$_2$를 처리한 구에서는 이취 발생과 수분 용출이 컸으며 색의 변화도 컸다.내었다. 고온 단시간 처리구의 경우 저온 장시간 처리구와는 달리 저장 1일 후부터 그 농도가 다소 상승되었다가 다시 감소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열처리하여 냉각시킨 직후 및 저장1주 후 사과의 pH, 산도, 당도, 경도, 과육의 갈변도 등을 조사하였던 바 대조구 및 처리구간에 일부 항목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수분함량은 기계적 검사보다 관능검사와 더욱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내었다. 항균활성이 우수한 생약재를 농도별로 활성을 조사한 결과, 물 추출물과 10% Ethanol 추출물 모두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취와 함께 점질성 갈변물질이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BAAG의 처리는 BAAC의 경우보다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항균력은 우수한 천연 항균복합제재로써 농산물 식품원료에 적용하여 선도유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W1]_{XO-}$ $[W1]_{XO}$ ]

  • PDF

무순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 한진희;문혜경;김종국;김귀영;강우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98-98
    • /
    • 2003
  • 무순에는 비타민 C가 많이 들어 있어 겨울철 비타민 공급원뿐만 아니라 디아스타제라는 효소가 들어 있어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외에도 거담제 및 건위제 작용을 하고 음주로 인한 토혈해소, 천식에도 좋아 약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가치는 적지만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 할 수 있으며 소화를 촉진시키는 무순, 또는 무싹기름이라고 일컬어지는 무순을 추출용매에 따라 생리활성 효과 분석하고 영양학적 가치가 가장 높은 시기의 무순을 선택함으로써 올바른 섭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그 기능성을 확인하여 기능성 식품소재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을 검토하고자 하고자 한다. 무순을 4일, 8일, 12일에 따라 incubator에 배양하여 시기별로 채취하여 동결건조 한 후 70% Ethanol, 80% Methanol, 75% acetone, 열수로 환류 추출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 용매 추출물에 대해 DPPH free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는 acetone 추출물에서 89.18%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냈으며 각각의 추출용매에서 성장 4일과 12일의 무순에서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pH 1.2의 조건에서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고, 열수 추출물에서 89.70%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pH 4.2조건에서는 열수추출물의 소거능이 가장 좋았고, pH 6.0 조건에서는 가장 낮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Ethanol 과 Methanol 추출물에서 23.55∼37.41%의 소거능을 보였다. SOD유사활성은 성장 8일에서 모두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성장 4일과 성장 12일의 무순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Methanol 추출물중 성장 12일에서 27.41%의 SOD유사활성을 보였다.ic acid는 28.8∼51.7 mg%, 미강에서 321.4∼438.4 mg%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준 페놀화합물로 카테친을 사용하고 비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오대 현미의 폴리페놀 함량은 78.4 mg%, 남평 현미 88.8 mg% 였다. 도정한 백미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0.3∼56.9 mg%, 미강이 541.5∼472.6 mg%의 범위였다. 이상과 같이 쌀에는 phenolic acid 및 총 폴리페놀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배유보다는 강층에 많이 존재하므로 이들 성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쌀의 섭취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백편의 조직감은 Compression force 와 Work ratio로 대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수분함량은 기계적 검사보다 관능검사와 더욱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내었다. 항균활성이 우수한 생약재를 농도별로 활성을 조사한 결과, 물 추출물과 10% Ethanol 추출물 모두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취와 함께 점질성 갈변물질이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BAAG의 처리는 BAAC의 경우보다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항균력은 우수한 천연 항균복합제재로써 농산물 식품원료에 적용하여 선도유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

  • PDF

Development of Vacuum Cooling for Agriculture Products (농산물 진공예냉장치 개발)

  • Lee, W.O.;Yun, H.S.;Chung, H.;Lee, H.D.;Cho, K.H.;Lee, K.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95-201
    • /
    • 2002
  • 입고ㆍ예냉ㆍ출고까지 전 공정을 자동화하고 진공압력을 작물의 품온에 따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진공챔버내에 콜드트랩을 설치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킨 진공예냉장치를 개발하여 고랭지 배추와 느타리버섯, 상추를 대상으로 예냉성능을 평가하고 예냉이 이들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 새로 개발된 진공식 예냉장치는 공급컨베이어, 좌우 자동 슬라이딩 문, 이송컨베이어, 진공챔버, 진공펌프 콜드트랩, 냉동기로 구성되어 있다. 팔레트를 공급컨베이어에 올려놓고 작동을 시작하면, 입구문이 열리고 팔레트가 진공챔버내로 이송되면,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챔버내의 압력을 떨어뜨리고, 콜드트랩과 냉동기가 작동되어 예냉이 시작된다. 예냉이 완료되면 출구문이 열리고 이송컨베이어가 역회전하여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나. 제작된 예냉장치의 예냉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느타리버섯, 고랭지 배추, 상추를 대상으로 냉각속도, 냉각균일도, 예냉후 저장중 품질변화시험을 실시하였다. 다. 시험결과 냉각소요시간은 느타리버섯의 경우 초기품온 15.2$^{\circ}C$에서 $1.5^{\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24분, 고랭지배추는 13.5$^{\circ}C$에서 3.7$^{\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18분, 상추는 13.4$^{\circ}C$에서 2.$0^{\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24분 소요되었다. 평균냉각속도는 느타리버섯이 34.3$^{\circ}C$/h, 고랭지배추 32.6$^{\circ}C$/h, 상추 28.5$^{\circ}C$/h로 나타났다. 라. 또한 각층간의 냉각균일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포장상자내에서 표면 품온과 내부품온변화를 조사한 결과 차이가 거의 없어 균일한 냉각이 가능하였다.생기 양단의 온도차는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낮게 나타났다. 재생기 축열재로서 철망-철선을 사용할 경우 철선-철망 ø1.2-150이 전열 표면적은 작으나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가장 낮게 나타나 공시 철망- 철선 혼합 축열재중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4.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축열재의 경우, 철망사이에 삽입한 철선의 직경이 큰 것이 철선의 직경이 작은 것보다 재생기의 양단의 온도차가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차는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것 중 성능이 우수한 것은 150-ø2. 0-150으로 나타났다. 5. 실험한 재생기 축열재들 중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들을 비교한 결과, 복합 철선 ø1.2-1 50이 가장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적외선.열풍 복합건조방법이 높게 나타나 이것은 곡물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에의한 복사열이 전달되어 열장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금후 더 연구하여 적정 열풍온도 및 방사체 크기를 구명해야 할 것이다.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

  • PDF

Effects of Pear Extracts Cultured Under Conventional and Environment-friendly Conditions on Cell Proliferation in Rat Hepatocytes (친환경 배 및 관행재배 배 추출물이 간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

  • Yoon, Byung-Chul;Kim, Kil-Yong;Park, Soo-Hyu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9 no.3
    • /
    • pp.233-237
    • /
    • 2006
  •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d the functional analysis of pear extracts cultured in conventional and environment-friendly conditions in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ATP synthesi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treatment with environment friendly cultured pear powder but not by conventional group. In addition, cell proliferation using $[^3H]$-thymidine incorporation was also stimulated by environment-friendly cultured pear extract compared to conventional group. Moreover, the expressions of CDK-2 and CDK-4 were increased but p21WAF1/Cip1 and p27 Kip1 decreased by environment-friendly cultured pear extract but not by conventional group. In conclusion, environment-friendly cultured pear powder has stimulatory effect on cell prolifer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group in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Cytotoxic Effect of Extracts from Styela clava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암세포주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 Jung, Eun-Sil;Kim, Ju-Young;Park, Eun-Ju;Park, Hae-Ryong;Lee, Se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5 no.7
    • /
    • pp.823-827
    • /
    • 2006
  •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cytotoxic effect from Styela clava (Korean name : miduduk) extracts. S. clava was treated with methanol, ethanol, acetone, and water, then cytotoxic effect of the extracts were evaluated by the MTT reduction assay. The ethanol extracts from S. clava showed the cytotoxic activity on the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The ethanol extracts was further fractionated with n-hexa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wat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polarity. The diethyl ether fraction showed high cytotoxic activity of HT-29 cells. however, the other fractions showed low cytotoxicity. The diethyl ether layer also showed the cytotoxic activity against SW620, HeLa, and MCF-7 cells. These studies support that extracts from S. clava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as a possible chemotherapeutic agent against human cancer cells.

Monitoring Hazards to Verify the Safety of Plant-Based Meat Alternatives (식물성 대체육의 안전성 검증을 위한 위해요소 모니터링)

  • Ayeong Ma;Eun Sung Shin;Seon-A Son;Tai-Sun Shin;Hyun-Jung Chung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9 no.2
    • /
    • pp.83-94
    • /
    • 2024
  • The proportion of plant-based meat alternative (PBMA) consumers has recently increased in Korea. This is due to several reasons including protecting the environment, satisfying preferences, maintaining health, and improving eating habits. Accordingly, many companies produce and sell alternative meat using various materials. Alternative meats are classified into plant (such as soybeans and wheat), seaweed, insect, and cultured meats,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s used in manufacturing. PBMA is sold after undergoing processes such as grinding, seasoning, and molding. Therefore, monitoring the presence of any hazardous elements during this process is essential.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harmful components of nine domestically distributed PBMA that are most easily accessible to consumers. After extracting fat from the samples and analyzing the rancidity level, samples F, G, and I were highly rancid. Trace amounts of aflatoxin were detected in samples A and B, but confirmed to be within the range. Cd and Pb were not detected in any sampl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methods to ensure the safety of domestically sold PBMA.

Microbial Hazard Analysi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for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농산물우수관리를 위한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 Kim, Yeon Rok;Lee, Kyoung Ah;Kim, Se-Ri;Kim, Won-Il;Ryu, Song Hee;Ryu, Jae-gee;Kim, Hwang-Yong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9 no.3
    • /
    • pp.181-188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icrobiological hazard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on the post-harvest processing. Samples from processing equipments (cleaner, water, cart, table, tray and packaging machine), personal hygiene (hand) and harvested crops (before washing, after washing, after sorting, and after drying) were collected from four farms (A, B, C, and D) located in Chungchengbuk-do, Korea.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sanitary indication bacteria and pathogenic bacteria. First,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in processing facilities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0.93~4.86 and 0.33~2.28 log CFU/$100cm^2$ and/mL respectively. In particular, microbial contamination in hand (5.43~6.11 and 2.52~4.12 log CFU/Hand) showed higher than processing equipments. Among the pathogenic bacteria,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at the levels of 0.33~2.41 log CFU/$100cm^2$, 1.48~3.27 log CFU/Hand and 0.67~3.65 log CFU/g in equipments, hands, and plant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detected in cleaner, table, hand and harvested crops (before washing and after sorting) by qualitative test.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ersonal hygiene and processing equipments should be managed to reduc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A. membranaceus Bunge. Therefore, management system such as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criteria is needed for hygienic agricultural products.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 in Korean fruits and vegetables : Examining water, protein, lipid, ascorbic acid, and ${\beta}-carotene$ contents (한국인 상용 과일과 채소의 계절별 영양성분 변화 : 수분, 단백질, 지방, 아스코르브산, 베타-캐로틴 함량)

  • Kim, Mee-Jeong;Kim, Ju-Hyeon;Oh, Hyun-Kyung;Chang, Moon-Jeong;Kim, Sun-Hee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3 no.4 s.100
    • /
    • pp.423-43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asonal variations in water, protein, lipid, ascorbic acid, and ${\beta}-carotene$ contents of 17 vegetables and 4 fruits that are available all the year round and frequently consumed by Koreans. The water contents of the fruits ranged from 83-89%, and the vegetables contained more water than the fruits. The apples and pears had more water in the spring and summer than in the fall and winter. The tangerines showed a high water content in the winter, whereas the strawberries contained more water in the fall. The vegetables also showed seasonal variations in water content. The protein contents of the fruits were lower than 1%; the cucumbers contained 0.1% protein, which was the lowest level, but spinach, lettuce, bean sprouts, sesame leaves, and mushrooms had more than 1% protein. The ascorbic acid and ${\beta}-carotene$ contents of the apples, pears, and tangerines were higher in the fall and winter than in the spring and summer. The vegetables, in general, contained more ascorbic acid than the fruits. The cabbage and radishes showed higher ascorbic acid contents in the fall and winter than in the spring and summer, indicating that vegetables as well as fruits are more nutritious during their harvest season. The zucchini, spinaches, and green peppers had higher ${\beta}-carotene$ contents in the winter than in the other seasons.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easonal differences in the ascorbic acid and ${\beta}-carotene$ contents of the fruits and vegetables. In addition, the fruits and vegetables had a tendency to contain more ascorbic acid and ${\beta}-carotene$ in the season they were harvested. Therefore, we recommend the consumption of those fruits and vegetables during their harvest season.

Simultaneous estimation of fatty acids contents from soybean seeds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gas chromatography by multivariate analysis (적외선 분광스펙트럼 및 기체크로마토그라피 분석 데이터의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대두 종자 지방산 함량예측)

  • Ahn, Myung Suk;Ji, Eun Yee;Song, Seung Yeob;Ahn, Joon Woo;Jeong, Won Joong;Min, Sung Ran;Kim, Suk Weo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v.42 no.1
    • /
    • pp.60-70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can be applied to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atty acids contents in different soybean cultivars. Total 153 lines of soybean (Glycine max Merrill) were examined by FT-IR spectroscopy. Quantification of fatty acids from the soybean lines was confirmed by quantitative gas chromatography (GC) analysis. The quantitative spectral variation among different soybean lines was observed in the amide bond region ($1,700{\sim}1,500cm^{-1}$), phosphodiester groups ($1,500{\sim}1,300cm^{-1}$) and sugar region ($1,200{\sim}1,000cm^{-1}$) of FT-IR spectra. The quantitative prediction modeling of 5 individual fatty acids contents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from soybean lines were established using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algorithm from FT-IR spectra. In cross validation,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R^2{\geq}0.97$) between predicted content of 5 individual fatty acids by PLS regression modeling from FT-IR spectra and measured content by GC. In external validation, palmitic acid ($R^2=0.8002$), oleic acid ($R^2=0.8909$) and linoleic acid ($R^2=0.815$) were predicted with good accuracy, while prediction for stearic acid ($R^2=0.4598$), linolenic acid ($R^2=0.6868$) had relatively lower accuracy. These results clearly show that FT-IR spectra combined with multivariate analysis can be used to accurately predict fatty acids contents in soybean lines.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PLS prediction system for fatty acid contents using FT-IR analysis could be applied as a rapid and high throughput screening tool for the breeding for modified Fatty acid composition in soybean and contribute to accelerating the conventional br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