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조 공기

Search Result 39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Simulation of Rice Drying in a Bin System with an Automatic Gas-Modulating Burner (연료 자동조절 버너를 갖춘 빈 시스템에서의 벼 건조에 관한 시뮬레이션)

  • Chung, J.H.;Verma, Lalit R.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6 no.2
    • /
    • pp.167-177
    • /
    • 1991
  • 곡물 빈에서 벼 건조시 외기 온도에 따른 연료 자동 조절 및 배출공기의 재순환이 에너지 소비, 건조비용 및 건조 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슬램 II(SLAM II : Simulation Language for Alternative Modeing II)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모텔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약 64톤의 벼를 연료 자동조절 버너를 갖춘 곡물빈에서 열풍 건조할 때, 절약 가능한 에너지 양과 공기 재순환의 효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실제의 자료와 비교하여 이 모델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의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출공기를 재순환 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자동 연료조절 버너를 사용할 경우 관행 버너를 이용한 빈 시스템에 비해, 루이지애나 주에서 8월에 25%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12월에는 8%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실제의 건조 실험에서는 8월에 약 30%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었다. 2. 자동 연료조절 버너를 갖춘 빈 시스템에서 제습을 하지 않은 배출 공기의 재순환은 건조 에너지 소비량과 건조 시간을 증가시켰으며 연료 자동조절 장치의 에너지 절약 효과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배출 공기를 재순환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배출 공기를 제습시켜 습도를 재조절 해야만 했다. 또한 제습된 공기의 재순환 효과는 여름보다 겨울에 더 컸다. 3. 연료 자동조절 버너를 갖춘 빈 시스템에서 벼를 건조할 경우 루이지애나 주, 8월에 물벼의 톤당 건조 비용은 $2.13이었으며 관행 버너를 갖춘 시스템에서는 $2.69이었다. 실험에 의한 실제 건조비용은 자동화 시스템에서 $2.17이었고 관행 시스템에서는 $2.62이었다.

  • PDF

A Study on the Closed-Loop Air Drying Technology for Drying Wastewater Sludge (하수슬러지 건조를 위한 폐루프 공기건조 기술에 관한 연구)

  • Lee, Jung-Eun;Cho, Eun-Man;Kang, Dong-Hy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12
    • /
    • pp.821-827
    • /
    • 2012
  • Air drying is a technology to dry sludge at the ejector and multi cyclone as intaking and blowing air from outside. So, this technology has a weak point that operating fluctuation is large according to an outside conditions as well as energy consumption is also large due to open loop structure. This is to develop the closed-loop air drying system to be built the dehumidifier consisted of condenser, cooler and compressor at rear side of separator of air dryer, as a way to solve some problem. Air is circulation by the method of blowing-drying-dehumidifying-blowing within this system. It is analyzed that an air circulated at closed-loop air drying equipment contains the energy of 50% more compared with open-loop air drying and is operated regularly because of quality maintenance of air to dry sludge. And also it is analyzed that the cost of drying sludge of 1 ton by closed-loop air drying equipment is lower about 35% than conventional equipment. Therefore, this is evaluated by useful drying technology to face an unexpected climatic conditions due to regular operation as well as low energy consumption.

Improvement of Drying Performance of Natural Convection Drier Part I : Analysis of Natural Convection Drier (자연대류형 건조기의성능향상을 위한 모형실험 I. 자연대류형 건조기의 분석)

  • 류관희;정도섭;정창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4 no.2
    • /
    • pp.25-31
    • /
    • 1979
  • 본연구는 건조에 필요한 열과 공기를 열원으로부터의 자연대류만에 의존하는 간역화력건조기의 성능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옥수수를 대상으로 모형실험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건조기 화구의 공기열입구의 크기는 송풍량에 영향을 미치며 공기의 유입속도가 16m/min 이하가 되도록 충분히 만들어야 한다. 2. 곡물층을 통과하는 송풍량은 곡물층의 두께가 클수록 증가하며 송풍량과 곡물층 두께와의 관계는다음식으로 나타났다. $q=CD^{-k}$ 3. 송풍량은 실험범위내에서는 열원으로부터 곡물층의 높이와 가열공기의 온도상승에 따라 각각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4. 송풍량은 곡물층의 두께, 열원으로부터의 곡물의 높이 및 가열공기의 온도상승에 의하여 옥수수층의 경우 다음과 같이 추정될 수 있다. $ q=0.00265H(\Delta T) D^{-0.76}$ 5. 바람이 송풍량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커서 8km/hr의 풍속을 가진 바람이 유입구측으로부터 볼 때 송풍량은 바람이 없을 때보다 무려 5배나 증가하였다. 6. 건조실의 전후방간의 가열공기의 온도차이는 열원으로부터 곡물층의 높이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이 현상은 바람이 불 때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7. 건조기의 벽면을 통한 열손실은 열원으로부터 곡물층의 높이와 가열공기의 온도상승에 따라 각각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Air Drying Technology for Dewatered Cake from Wastewater and Waterworks Sludge (상.하수 슬러지 탈수케이크의 공기건조에 관한 연구)

  • Lee, Jung-Eun;Cho, Eun-Man;Kim, Bong-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11
    • /
    • pp.1154-1161
    • /
    • 2006
  • Air drying equipment was built as a device for reduction of dewatered cake from wastewater and waterworks sludge and to reproduce it by reusable matter. Dewatered cake was supplied into the air drying equipment which operated by air velocity of 80 m/sec, air rate 30 $m^3/min$ and air temperature of $40^{\circ}C$, and dried to produce the dried powder. The air drying equipment was composed of the air ejector which made high-speed fluid field, and cyclone which made circling fluid field. Dewatered cake was crushed at the high-speed zone as first step, and formed into dried powder of sphere shape by the collision between particles at the circling fluid zone.. Wastewater sludge with water content of 82.5 wt% was supplied 1.0 kg/min into air drying equipment and produced the dried powder which had the water content of 62.3 wt% and mass median diameter of 2.4 mm after process. At that time, it was analyzed that water removal rate was 0.1 $H_2O{\Delta}kg/min{\cdot}DS$ kg and air consumption was 170 $m^3/DS$ kg. Under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when waterworks sludge was dried, water content of dried powder decrease to 47.5 wt% and mass median diameter decrease 2.1 mm and water removal rate increase 0.13 $H_2O{\Delta}kg/min{\cdot}DS$ kg. Air consumption increase 180 $m^3/DS$ kg with comparison to the results of wastewater sludge. Therefore, this technology was evaluated that drying the dewatered cake of waterworks sludge was more efficient than wastewater sludge, and also economical sludge handling technology due to drying the cake by only air.

Development of A Drying Unit of High Moisture Food Wastes (고수분 음식물 건조장치 개발)

  • Jung, Dae Hong;Yoon, Jong Hyun;Choi, Sung Min;Lim, Ki Hyun;Song, Dae 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7-117
    • /
    • 2017
  • 2012년 국내 총 폐기물(지정폐기물 제외) 발생량은 382,009 톤/일 으로 이 중 12.8%를 차지하는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 채소류폐기물 발생량은 13,209 톤/일 으로 이중 음식물 폐기물은 탈수 후 사료 제조 또는 매립 처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수분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필요한 건조장치를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500 kg/hr인 실험실용 열분해장치를 제작하였다. 회사 구내식당 및 창원시에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실험 원료로 사용하였다. 건조공기 투입 온도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특성을 파악하였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실험 결과, 총 건조소요시간은 약 20시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건조속도는 약 2.90 %/hr로 나타났다. 건조시간은 연구 목표치인 1회당 15시간보다 5시간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투입 및 배출에 소요되는 예열 및 냉각 시간을 제외하면 약 16시간으로 연구목표치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다. 투입건조공기 온도에 따른 건조시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특히 $155^{\circ}C$에서 21시간으로 나타나 향후 폐열 활용 시 $200^{\circ}C$ 이상의 고온의 공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건조작업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건조시간 단축을 위해서는 투입공기의 온도보다는 투입공기와 음식물 쓰레기의 접촉 면적이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A Drying Unit of Agricultural Wastes (농업폐기물 건조장치 개발)

  • Song, Dae Bin;Lim, Ki Hyeon;Jung, Dae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5-115
    • /
    • 2017
  • 2013년 국내 시설(비닐, 유리 온실)에서 재배되는 토마토, 풋고추, 파프리카의 생산량은 총 632,315 톤으로 잎, 줄기 등 발생되는 부산물은 수확량의 약 30%에 해당되는 189,695 톤으로 추정되며 대부분 노지에 방치 유실되거나, 소각 처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단순 폐기되는 농업폐기물을 재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필요한 건조장치를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100 kg/hr인 실험실용 건조기를 제작하였다. 경상남도 진주시 농업기술원 온실에서 재배되는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 가지, 고추 등의 부산물을 실험원료로 사용하였다. 원료성상, 원료이송방식, 송풍량, 건조온도, 건조시간에 따른 부산물 건조특성을 파악하였다. 원료를 비교적 짧게 절단하고 열풍이 배출되는 다공판위를 견인형 컨베어로 이송시키는 형태의 경우 건조실험 결과 세절된 원료에서 추출된 내부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어 원료들 사이의 공극을 채워 건조공기가 원료층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특히 $100^{\circ}C$ 이상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 원료표면에 잔류하는 유출 수분이 건조되면서 막을 형성하여 내부 원료들은 전혀 건조가 되지 못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원료내부의 공극형성 불량으로 국부적으로 공기가 통과되는 부분만 집중적으로 급격한 건조가 진행되고 공급된 건조공기 대부분이 이 부분으로 유출되어 효과적인 건조가 전혀 진행되지 못하였다. 피건조물 사이의 공극형성을 위해 원료를 절단하지 않고 수행한 건조실험 결과 건조 풍량 및 온도에 따라 건조속도 및 처리용량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송풍량과 압력을 증가 시킨 건조 결과로 건조 상하층 간 불균일 건조 해소 및 건조속도, 건조능력에서 연구목표 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특히 건조공기온도 $150^{\circ}C$ 이하에서 풍량을 증가시켜서 원하는 건조작업 수행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In-bin Drying and Storage System (In-bin 건조 및 저장체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고학균;정창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5 no.2
    • /
    • pp.15-25
    • /
    • 1980
  • 본 연구는 현재 국내 농촌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벼의 건조와 저장방법을 개선하기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써 Grain bin의 이용에 따른 기술적인 적용가능성을 구명하는데 있었으며 건조열원으로서는 상온공기와 Solar collector 에 의한 보충가열공기를 사용하였다. 건조시험에서는 벼의 건조속도, 층별함수율의 변화, 동력소모량, 도청수율 등을 측정 비교하였으며 건조가 완료된 후에는 저장시험도 아울러 실시하였다. 본 시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시험에 사용된 Solar Collector 는 집열면적이 $27.7m^2M$의 Flat-plate 형식이며 내부에 태양열의 저장모체로서 약 $7m^2M$의 검은 돌을 사용하였다. Collector 의 효율은 35%이었으며 Collector를 통과하여 Bin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는 외기온에 비하여 주간에는 약 $4^\circ C$, 야간에는 약 $8^\circ C$, 정도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상온공기와 Collector를 이용한 건조험결과 안전저장함수율에 도달하는 데 약 7일과 약 5일이 소요되었다. 3. 태양열 건조는 상온통풍건조에 비하여 곡물층간의 함수율차이가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건조속도가 빠를뿐만 아니라 동력소모량도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4. 건조시험이 완료된 직후 이차에 걸쳐 Bin 내에서 저장시험을 실시한 결과 저장기간중 벼의 안전보전이 가능했으며 평균함수율이 12.0~14.5%범위에서 유지되었다.

  • PDF

Comparis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air permeability in the sawdust during wetting and drying procedure (습윤 및 건조과정에서의 톱밥내 물리적 성상과 공기투과성의 변화)

  • Kim, Byung Tae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7 no.4
    • /
    • pp.103-111
    • /
    • 2009
  • Moisture i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factors that affects to the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and air permeability in the composting matrix.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oisture during the wetting and drying procedure on physical properties like bulk density, particle size, free air space and air permeability in the sawdust used as the bulking agent in composting process. During both procedures of wetting and drying of the water,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 bulk density and particle size increased, but FAS decreased. In the range of near 40 to 60% moisture content on a wet basis, particle size and FAS in wetting procedure were larger and higher than those in drying procedure. During wetting procedure, pressure drop continuously decreased ranging from near 20 to 60% moisture content, despite of decreasing FAS as a consequence of increasing moisture, and then over the range of 60% moisture content, pressure drop rapidly increased to the saturated moisture condition while the pore space was filled with the water. On the other hand, during drying procedure, pressure drop decreased from the saturated condition to 40% moisture content. In the recommended range of 50 to 60% moisture content for composting operation, pressure drop in wetting procedure were lower than in drying procedure. For the enhancement of the air permeability in the composting matrix, the wetting procedure was proper than the drying procedure, and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for the efficient composting operation was appeared to be near 60%.

  • PDF

A numer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heat pump assisted dryer (열펌프 건조기의 성능에 관한 수치해석)

  • Kim, I.G.;Park, S.R.;Koh, J.Y.;Kim, Y.J.;Kim, J.G.;Yim, C.S.
    • Solar Energy
    • /
    • v.18 no.2
    • /
    • pp.91-104
    • /
    • 1998
  • This study carried out a numerical analysis on a heat pump assisted dryer using HFC134a. Under the constant degree of superheat and that of subcooling, we analyzed the performance of heat pump assisted dryer with varying an air mass velocity, bypass air ratio, compressor speed and an inlet bulb temperature of dryer.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so they were maximally agreed in the range of 10%. There was the proper bypass air ratio with varying an air mass velocity. As for the effect of SMER having the inlet temperature $35^{\circ}C$ and compressor speed 1360rpm, bypass air ratio was 30% at the front velocity 0.5kg/s, 40% at the front velocity 0.7kg/s and 50% at the front velocity 0.9kg/s and 1.1kg/s. As the compressor speed was increased, SMER decreased and COP increased. As the inlet bulb temperature was increased, SMER and COP decreased.

  • PDF

A Study on the Delay Analysis Methodologies in Construction of Korea High Speed Railway (경부고속철도 건설사업의 공기지연분석에 관한 연구)

  • Yun Sung-Min;Lee Sang-Hyun;Chae Myung-Jin;Han Seu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4.11a
    • /
    • pp.250-255
    • /
    • 2004
  • To analyze delay, Seoul - Daegu line of Korea High Speed Railway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and analyzed independently by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on the project delay reasons was performed on macro and micro scales. This analytic method was named as 'Macro-Micro Delay Analysis Method (MMDAM)'. The macro scale analysis has three approaches, which are (1) scheduling, (3) structural characteristic, (3) and responsibility of project administrative works. Micro analysis also has three, methodologies which are (1) As Planned Method, (2) As Built method, (3) Modified Time Impact Analysis for analyzing the most influential section which the largest delay occurred. Using elicited project delay reasons from above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for analyzing the influence of project delay reason. The reasons of the delay were driven from two different aspects (1) structural characteristic and (2) responsibility of the people involved in the project. The reasons that were identified from aforementioned three sections are the factors of the delay of the large-scale government driven projects. Finally, the author suggested the methodology of identifying the project delaying factors. The author also analyzed delay reasons in both the overseas and domestic cases of high rapid railway construction and has elicited some benchmarks for the future proj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