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 자동화 서비스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3D Image Scan Automation Planning based on Mobile Rover (이동식 로버 기반 스캔 자동화 계획에 대한 연구)

  • Kang, Tae-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8
    • /
    • pp.1-7
    • /
    • 2019
  • When using conventional 3D image scanning methods, it is common for image scanning to be done manually, which is labor-intensive. Scanning a space made up of complicated equipment or scanning a narrow space tha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enter, is problematic, resulting in quality degradation due to the presence of shadow area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scan an image using a rover equipped with a scanner in areas where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enter. To control the scan path precisely, the 3D image remote scan automation method based on the rover move rule definition is described. Through the study, the user can automate the 3D scan plan in a desired manner by defining the rover scan path as the rule base.

Development and Rationalization of Maritime Traffic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해양교통시설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및 합리화 방안)

  • Jeon, Min-Su;Lee, Joong-Wo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6
    • /
    • pp.587-595
    • /
    • 2013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ids to Navigation in the process of port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re crucial factor of maritime safety and collision prevention. According to the IMO SOLAS Chapter 5, regulation 13,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aritime safety facilities are mandated for the competent authorities. The facilities of Aids to Navigations are moving to a concept of e-Navigation with state-of-the-art technology of radio navigation equipments such as AIS, DGPS and e-Loran from the traditional visual facilities (optics, shape), Although the autonomous maritime traffic system is a new trend, yet the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Aids to Navigation like lighthouses and beacons are still imperative for vessel's safe navigation. In this paper, for decision of service level of maritime traffic faciliti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visual navigation system management it was proposed the Aids to Navigation availability as an efficient management system incorporating the whole maritime traffic facilities under one management system. Comparison of foreign level of services and analy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m were analyzed and the proposed LOS was applied to Incheon area to evaluate the safety of navigation routes.

An Analysis of Transshipment Competitiveness of Container Cargoes in Incheon New Port (인천신항의 환적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 Ahn, Woo-Chul;Yeo, Gi-Tae;Yang, Chang-Ho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6 no.1
    • /
    • pp.20-42
    • /
    • 2010
  • This study is aimed at evaluating transshipment competitiveness of Incheon New Port which will open in 2013. For this reason, we used Conjoint Analysis(CA) for a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as CA had been frequently adopted for empirical analysis of new container terminal in previous studies. We have provided the questionnaires to the stake holders of the port such as experts in Port Authority(PA), logistics companies, and terminal operators. The result showed that transshipment competitiveness of Incheon New Port was subordinate to transshipment costs and port costs of Busan and Shanghai. Overall, we hope this study could help draw up the policies on a New Port that will attract transshipment cargoes and set up marketing plan for an early settlement.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Port Operation for New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Using Fuzzy Theory (퍼지이론을 이용한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의 항만운영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Yoo, Sung-Jai;Cha, Young-Doo;Yeo, Gi-T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1
    • /
    • pp.91-10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out success factors of port operation for New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NIPT) in Incheon Port using the fuzzy method. In this study, the success factors of port operation were firstly selected by literature review and finally adopted them by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who had working experiences over 15 years in the field of Korea-China Carferry shipping business and stevedoring business. Success factors of port operation of the NIPT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principal factors such as 'land's use side', 'productivity side', 'cost side' and 'services side',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success factors of port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in terms of "land's use side", securing CY space of full-empty containers(0.857)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detailed factors of "productivity side", building terminal automation system(0.806) was significantly needed. In the factors of "cost side" and "service side", land rental costs(0.861) and schedule management of berth operation(0.798) were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Consequently, new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has implications that the main port operations should focus on reasonable rents calculation, ensuring proper space of CY, and building automation system of terminal, There is a need to proceed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f the same operating mode of an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Proposing a DfMA Modular Housing Model for Disaster Relief Support (재난 지원을 위한 DfMA 모듈러주택 모델 제안)

  • Ji-Eun Lee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4 no.2
    • /
    • pp.97-107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how to better provide quality temporary housing for people in the event of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Design for Manufacture and Assembly (DfMA) is suitable for creating an efficient planning model for the mass production and transport of a modular house. The proposed DfMA model has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First is the division of the modular house into service modules and functional modules and to create diversity by developing standard parts and multi-functional parts. Second is a flexible layout suitable for various site conditions. Such flexible layouts would allow identical homes to be mass produced and deployed to a variety of locations,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ird is to simplify and minimize the automation process with dry construction to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Application of this DfMA design method can lead to reduced construction time and cost and improve housing quality.

Application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Implement Smart-Eco River (스마트 에코 리버 구현을 위한 4차산업혁명 기술의 적용)

  • Kim, Sunghoon;Jang, Suhyung;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1-11
    • /
    • 2020
  • 18년 물관리일원화 이후 인프라와 사람 중심으로부터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위한 환경·생태계의 자연성 회복으로의 물관리 패러다임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규모 국책사업이후의 하천 관리에 있어서도 기존의 이수, 치수, 환경이라는 단순한 기능적 구분을 벗어나 보다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대국민 서비스로의 전환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ICBAM 등으로 정의되는 4차산업혁명 기반 기술의 접목이 거의 대부분의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시기가 도래하였다. 그러나, 하천 및 수자원 관리분야에서의 기술은 근대 엔지니어링의 기초가 되는 수로 건설 등으로부터 시발되어 사실상 가장 앞선 과학적 진보의 토대를 갖추었으나 최근의 기술적 트렌드를 잘 추종하지 못하는 것처럼 비추어 지는 것이 사실이다. 주된 이유로서 기후변화라는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입력요소를 가진 하천관리 시스템의 특성상 불확실성의 추정 및 즉각적인 응답이 어려운 부분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실질적으로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부분은 하천의 기초자료 수집에 대한 효율성과 신뢰도가 낮은 것이라고 하겠다. 또한, 유역으로부터 댐-다기능보-하천으로 이어지는 의사결정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자료로부터 적절한 정보를 수집하는 체계(거버넌스의 문제이자 기술적/재정적 한계)가 확립되지 않은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하천의 유량 예측 등을 위해 필요한 수자원 기초데이터의 근원적인 수집 및 관리상의 문제점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ARIMA, Kalman Filtering, MA 및 복합기법을 통한 자료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상황에 맞게 오차 및 불확실성의 저감을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이용자 중심의 하천 관리에 근접한다고 볼 수 있는 스마트워터시티 개념에서의 바람직한 하천관리 기법에 대해서 논의하고, 관련하여 근자에 개발한 하천의 물리적 해석 도구들에 대해서 적용 사례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지식기반의 하천관리 의사결정 플랫폼 개발을 위해서 기존의 기계학습을 통한 자동화된 의사결정에 부가하여 전문가와 시스템이 상호작용을 통해서 AI를 학습시켜 결정한 사항을 전문가의 의사결정에 참고하는 MCRDR기법의 적용의 적용 가능성과 도입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Smart Water Management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

  • Lee, Yoo Kyung;Lee, Se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6-86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 분석을 위하여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등장 배경, 주요 현안 및 연계성을 모색하고 도시재생방안으로서 스마트 물 관리체계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대의 도시재건(Urban Reconstruction)과 1970~80년대의 도시재개발(Urban Renewal, Urban Redevelopment) 등의 정비 사업은 물리적 환경정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1990년대 환경문제가 세계적 이슈로 등장하면서 교외지역 난개발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게 되었고 도시의 물리 환경적, 산업 경제적, 사회 문화적 측면을 부흥시키는 도시재생 접근법이 출현하였다. 한국 정부는 2017년부터 시작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스마트도시 선도국가 도약과 세계적 흐름에 부합하는 도시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1980년대 초 등장한 스마트 기술은 2000년대 들어와 스마트 도시,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그리드 등의 분야로 확대, 진보하였다. 물 분야의 스마트 기술은 2009년 스마트워터그리드 이니셔티브(Smart Water Grid Initiative)의 발족과 함께 IBM, CISCO, Intel 등의 IT 기반 물 관리 워킹그룹 형성, Suez, Veolia, Siemens 등 수처리 기업의 스마트워터그리드 분야 진출 모색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12년 유엔 스마트 물 관리 포커스 그룹(ITU-T SG 5)의 스마트 물 관리 표준화 연구가 착수되었고 한국은 국토교통부 건설교통기술 연구 개발사업 중 하나로 스마트 물 관리 장기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다. 스마트 물 관리는 수자원 및 상하수도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스마트 미터, 센서, 디지털지도제작 등 ICT를 이용한 차세대 물 관리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 분야를 고려한다면 하천수, 우수, 지하수, 하폐수처리수, 해수담수 등 다양한 수자원의 관리, 물의 생산과 수송, 사용한 물의 처리 및 재이용 등 물 관리 전 분야를 포함한다. 그러나 스마트 물 관리의 용어와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미국 등 선진국과 관련기업들은 스마트 물 관리를 '스마트 워터 미터, 센서, 첨단 모델링, 수문 지도제작, 스마트 관개농업, 자동화 로봇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지능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네트워크'로 정의한다. 일찍이 도시재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실시한 영국 및 일본과 달리 한국의 도시재생은 개념, 구성요소, 범위, 사업방식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아직 형성단계에 있다. 또한 한국의 스마트 물 관리 논의는 개념정립 측면에서 심층적 논의가 거의 부재하였다. 기존의 논의들은 수자원 혹은 상하수도서비스 분야에서의 연구결과와 기술개발성과를 기계적으로 적용하고 확대하는 측면만을 부각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 물 관리에 대한 논의는 정보통신기술과 물 관리 서비스를 단편적으로 연결하고 적용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한계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을 분석하고 지금까지 별개로 간주된 두 개념의 장점을 융합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사업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Feasible 3D Object Model Generation Plan Based on Utilization, Demand, and Generation Cost (입체모형 활용 현황, 수요 및 구축 비용을 고려한 실현 가능한 3차원 입체모형 구축 방안 연구)

  • Kim, Min-Soo;Park, Doo-Youl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0 no.1
    • /
    • pp.215-229
    • /
    • 2020
  • In response to the recent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mand for 3D object models in the latest fields of digital twin, autonomous driving, and VR/AR, as well as the existing fields such as city, construction, transportation, and energ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for 3D object models with various precision from LOD1 to LOD4 will increase more and more in various industry fields. Howeve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have partially built 3D object models of different precisions for some specific regions because of the huge cos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feasible plan that can solve the cost problem in generating 3D object models for the whole territory. For our purpose, we first analyzed usage, demand, generation technology and generation cost for 3D object models. Afterwards, we proposed LOD3 model generation plan for all territory using automatic 3D object model generation technology based on image matching. Additionally, we supplemented the proposed plan by using LOD4 generation plan for landmarks and LOD2 generation plan non-urban area. In the near future, we expect this would be a great help in establishing a feasible and effective 3D object model generation plan for the whole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