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 스트레칭 운동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19초

지혜 깊어지는 건강_활기찬 실버 세대: 퇴행성 관절염, 쑤시기 전 관절 스트레칭 쭉쭉

  • 박준식
    • 건강소식
    • /
    • 제35권7호
    • /
    • pp.24-25
    • /
    • 2011
  •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이 마모되면서 뼈끼리 맞닿아 마찰을 이루면서 통증, 부종, 염증뿐 아니라 관절 변형 및 운동 장애까지 불러오는 질환이다. 5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가장 흔히 찾아볼 수 있으며, 손가락, 발가락부터 허리, 고관절 등 전신의 어느 부위에서나 나타날 수 있다.

  • PDF

저강도 원심성 운동과 동적 스트레칭이 지연성 근육통에 미치는 효과 비교 (The Comparison of Low Intensity Eccentric Exercise and Dynamic Stretching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 이수영;김지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76-4685
    • /
    • 2012
  • 본 연구는 저강도 원심성 운동과 동적 스트레칭이 지연성 근육통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구에 참여하기 5개월 전부터 하지에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았던 18명의 20대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전체 3그룹인 대조군, 저강도 원심성 운동군 그리고 동적 스트레칭군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측정변수로는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 초음파 영상을 통한 근 두께, 근 통증 척도, 무릎관절 가동범위이며 지연성 근육통 유발 전, 유발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에 각각 측정되었다. 저강도 원심성 운동군과 동적 스트레칭군의 운동 프로그램은 지연성 근육통 유발 4주 전에 일주일에 3회씩 각각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과 근 통증 척도에서만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저강도 원심성 운동은 동적 스트레칭에 비해 근 통증 척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그러므로 저강도 원심성 운동과 동적 스트레칭이 지연성 근육통의 증상 중 근 통증에 효과적임을 제시하며 또한 저강도 원심성 운동이 동적 스트레칭보다 근 통증을 빠르게 감소시킴으로써 근 통증에 더 효과적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겨울철 호흡기 질환 예방 스트레칭

  • 김수연
    • 건강소식
    • /
    • 제30권12호통권337호
    • /
    • pp.14-15
    • /
    • 2006
  • 겨울철이 되면 추위를 피해 따뜻한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므로 자연히 실외활동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사람들이 실내로 모여들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에는 미세한 먼지나 각종 오염물질로 넘쳐난다. 이것은 호흡기 질환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우리의 몸은 뛰어난 적응력을 자랑하므로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휴식, 철저한 위생관리와 적절한 영양섭취를 통해 겨울철 질병에서 자유롭게 벗어날 수 있다.

  • PDF

경부스트레칭프로그램이 스마트폰 과다 사용하는 간호대학생의 경부통증, 피로, 관절운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ervical Stretching Program on Pain, Fatigue and Range of Mo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verusing Smartphones)

  • 강문정;김남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241-24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부스트레칭프로그램이 스마트폰을 과다 사용으로 발생하는 경부통증, 피로, 관절운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스마트폰을 과다 사용하는 간호대학생 실험군(n=25), 대조군(n=27)을 대상으로 경부스트레칭프로그램 적용 전 후 경부통증, 피로, 관절운동범위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경부통증, 피로, 관절운동범위는 기술통계와 추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경부통증, 피로, 관절운동범위에 대한 경부스트레칭프로그램의 효과는 독립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자에게 경부스트레칭프로그램 적용 후 경부통증(t=2.86, p=.006), 피로(t=5.44, p<.001). 굴곡((t=-2.10, p=.041), 신전(t=-2.84, p=.006), 오른쪽 측방굴곡(t=-2.4, p=.047) 왼쪽 측방의 굴곡(t=-2.05, p=0.46)) 및 오른쪽 회전 범위(t=-4.48, p<.001), 왼쪽 회전범위(t=-3.38, p=.001)가 개선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경부스트레칭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근골격계 장애에 건강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워블메커니즘을 이용한 인버젼 기구의 개발 (Development of Inversion Machine Using Wabble Mechanism)

  • 김형준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6호
    • /
    • pp.5-8
    • /
    • 2006
  • 본 논문은 '거꾸리'라고도 불리는 스트레칭 운동에 이용되는 인버젼 기구의 사용성을 워블메카니즘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개선시킨 가정용 인버젼 기구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것이다. 근래 현대인의 삶에서 건강이 생활의 중심으로 대두되면서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전신 스트레칭이 과다한 업무나 운동의 부작용으로 인한 디스크의 압박 해소에 효과적임이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지면서 인버젼 기구의 사용자가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수동 인버젼 기구는 사용자가 테이블의 회전을 위해 무게 중심을 일일이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미숙련자들에게는 사용 미숙으로 인해 테이블이 갑자기 회전하는 안전사고 위험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작고 단순한 구조로 큰 감속비를 내며 역전이 방지되는 워블메카니즘을 테이블의 회전 장치와 발목을 고정하는 장치에 도입함으로써 수동 조작 방식에서 자동 방식으로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신체 조건의 사용자들에게 편리성과 안전성을 높여 주었고, 동력전달 장치 구조의 단순화를 통한 디자인 외부 요소의 단순성을 구현하였다. 이에 가정에서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하고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가정용 인버젼 기구를 개발하였다.

  • PDF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 및 실태조사: 신체기능 향상 중재를 중심으로 (Survey of Work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Mental Health Field: A Focus on Physical Function Enhancement Interventions)

  • 김민지;김영욱;김준혁;김가희;최홍석;문광태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4호
    • /
    • pp.53-65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가 정신질환자에게 신체기능 향상 중재를 제공한 업무 경험 및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방법 : 2022년 11월 7일에서 11월 14일까지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을 수렴하였으며, 수집된 응답지 46부에 대해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설문응답자는 여자(58.7%), 20~30대(84.8%)가 가장 많았고, 주로 정신건강복지센터(41.3%)에서 근무하였으며, 정신건강작업치료사 수련과정(91.3%)을 수료하였다. 정신건강분야 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65.2%), 담당 업무는 프로그램(71.1%), 사례관리(62.2%), 행정업무(57.8%)가 가장 높았으며,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73.9%)를 제공한 경험이 있었다. 자료 분석 결과 신체기능 중심 그룹 중재의 빈도는 주 1~2회(41.2%)가 많았고, 스트레칭, 유산소운동, 산책 순이었으며, 개별 중재의 빈도는 주 1~2회(38.1%)가 많았고, 산책, 스트레칭, 유산소운동 순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정신건강 전문가로서 정신질환자의 다양한 작업과 일상생활활동에 균형 잡힌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현재 다수의 작업치료사들이 정신건강 분야에서 정신질환자의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작업치료적 중재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작업치료의 중요성과 신체기능 향상 중재의 근거 기반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정신질환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Kinect Sensor 기반의 치매 예방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ementia Prevention Application Based on Kinect Sensor)

  • 이원주;송찬;김수진;유광현;정수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55-5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키넥트 센서 기반의 노인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체조하기 모드와 두뇌 게임 모드로 구성한다. 체조하기 모드는 모션 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스트레칭을 비롯한 다양한 체조 동작을 반복적으로 따라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두뇌게임 모드는 사용자의 기억력을 증진함으로써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Unity의 핸드트래킹 기술을 이용하여 두뇌 게임을 하는 동시에 자연스레 팔과 어깨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게임 화면을 구성한다.

  • PDF

골관절염 관리를 위한 스트레칭운동과 수중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 and Aquatic Exercise Program)

  • 최희권;조경숙;김종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3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 and aquatic exercise program on flexibility, pain and quality of life (QoL)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Methods: Fifty elderly women were assigned either to the stretching exercise (SEG, n=25) or to the aquatic exercise groups (AEG, n=25) after 6-week self-help education program. SEG carried out supervised stretching exercise and water exercise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by AEG (60 min/day, 2 days/wk) for 8 weeks. Flexibility, pain,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by Senior Fitness Test Manual (Rikli & Jones, 2gr5), pain rating scale (0-10) and the questionnaire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BREF (Min et al., 2gr0), respectively. Results: Both SEG (all, p&H;.05) and AEG (all, p&H;.05) increased left upper and lower-body flexibility, measured by a measuring tape. Pain significantly decreased both in SEG (p=.000) and AEG (p=.004).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improved only for the SEG. Conclusion: The 8-week stretching exercise program would significantly improve flexibility, pain control and QoL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경호원들의 코어프로그램 수행과 요추부 기능개선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ore Exercise Program on the Low Back Function in Private Guard and Security)

  • 강민완
    • 시큐리티연구
    • /
    • 제21호
    • /
    • pp.1-18
    • /
    • 2009
  • 인간의 요추는 똑바로 선 자세에서 골반 위에 있는 근육과 인대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인간이 움직일 때 마다 중심을 잡아주고, 근 골격계 구조를 적절히 유지시키는 요추부근육들을 효과적으로 스트레칭하고, 강화하여 노화로 인한 '건강의 약화'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요부안정화근육 강화는 요추부 재활과 운동 수행능력까지도 증가시킨다. 이 연구는 척추 강화 운동 요추 안정화 운동을 요추부의 근력, 유연성 및 균형, 요추 기능에 (코어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민간 경비 회사에 등록된 18명을 선정했다. 각 운동 그룹(n=9)은 무작위로 무선 표집하여 선정됐다. 이 연구의 방법으로 요추부 근력 측정 장비 BTE, 눈금자 줄자, 유연성, 균형과 요추 기능을 사용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는 아래에 요약하였다. 굴곡근력 요추 안정화 운동 (핵심 운동) 단체(p<.05)을 개선했다. 신근 근육 강도가 요추 안정화 운동 (코어 프로그램) 그룹(p<.05)을 개선했다. 요추부 유연성 강화 운동 그룹과 요추 안정화 운동 그룹 (p<.05)을 개선했다. 척추의 균형 능력을 강화하는 그룹과 요추 안정화 운동 그룹 (코어 프로그램) 그룹에서 개선되었다(p<.05). 위의 결과에 따른 이 연구에서는 각 개인 경비 및 보안에 척추 강화 운동 요추 안정화 운동의 효과를 보여주어 지속적인 코어프로그램의 활성 방안을 고려해보아야 겠다.

  • PDF

제주 지역주민기반 대사성질환 개선 프로그램 중재 효과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Health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Metabolic Disease in Jeju Island)

  • 김우진;김상훈;박신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97-303
    • /
    • 2018
  • 본 연구는 대사성질환 관련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 제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마을 기반 건강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50명의 실험군은 BMI가 25 이상인 지역주민으로 3주 동안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PNF) 트레이닝과 스트레칭을 포함한 운동요법 7회, 영양관리 식습관 개선을 위한 쿠킹테라피 프로그램 4회 그리고 대체의학활용 프로그램인 힐링터치 마사지 프로그램 3회의 건강중재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건강프로그램 중재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프로그램 중재 전과 후에 체 성분, 혈액의 지질 프로파일, 혈당 및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건강프로그램 중재 후에는 중재 전에 비해 TC, HbA1C, 이완기혈압, 체지방 그리고 허리둘레가 크게 감소하여 거의 정상수치가 되었고 특히 HbA1C, 체지방 그리고 허리둘레는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 (P<0.001)되었다. 그러나 반대로 건강프로그램 중재를 받지 않은 대상군의 경우 HbA1C, 체지방 및 허리둘레가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 (P<0.001)하는 부정적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사성질환 관련 인자들은 건강프로그램의 중재로 개선되어 호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중재프로그램인 운동과 쿠킹테라피 효과를 구분하여 조사하지는 않았지만 3주간의 단기간에 보여진 효과가 두 가지를 병행해서 수행함으로써 나타난 결과임을 암시하며 식사조절과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대사성질환 개선에 보다 효과적임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