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평가

Search Result 3,81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orrelation Analysis of Inter-Relations among Water Quality, Landscape Metrics, Land Use, and Aquatic Ecosystem Health in the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의 수질, 경관지수, 토지이용 및 수생태계 건강성의 상관성 분석)

  • Gyobeom Kim;Kyuong-Ho Kim;Jongyoo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52-152
    • /
    • 2023
  • 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지표(TDI, BMI, FAI, HRI, RVI)가 사용되고 있다. 이 지표는 5가지 등급으로 구분하여 매우 좋음(A), 좋음(B), 보통(C), 나쁨(D), 매우나쁨(E)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하천의 건강성 관점에서 수질, 토지이용, 지리적 특성, 경관지수와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수생태계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인자들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수생태계 건강성이 '좋음'에 해당되는 하천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환경적 인자들의 임계값을 산출하여 하천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우선순위 설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낙동강대권역을 대상으로 수질, 토지이용, 지리적 특성, 경관지수의 여러 변수 중 수생태계 건강성과의 관계에서 대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환경적 인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CCA)을 수행하였다. 또한 모델 기반의 클러스터 분석을 활용하여 소권역별로 수생태계 건강성이 '좋음'에 해당할 확률을 파악하고, 여기에 해당하는 소권역에 대하여 각각의 환경적 인자에 대한 임계값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환경 인자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고 하천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주성분 분석 및 모델 기반 클러스터 분석을 사용하여 각 소권역에 대한 환경 인자의 임계값을 평가하고, 정책 결정자들이 하천의 건강성을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Ecosystem Diagnosis and Evaluations Using Various Stream Ecosystem Models (다양한 하천생태모델을 이용한 생태계 진단 및 평가)

  • Kim, Ja-Hyun;Lee, Eui-Haeng;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0 no.3
    • /
    • pp.370-378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iagnose integrative ecological health in Bansuk Stream, one of the tributaries of Gap Stream, using the fish assemblage during July 2006${\sim}$April 2006. For this research, we selected six sampling sites and applied some approaches such as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and necropsy-based Health Assessment Index (HAI). The stream health condition, based on the IBI values, averaged 24 (n= 18, range: $10{\sim}46$), indicating "poor${\sim}$fair" condi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US EPA (1993). Physical habitat condition, based on the QHEI, averaged 116 (n=6, range: $77{\sim}139$), indicating "fair${\sim}$good" condition. Values of IBI were more correlated with 3 metrics of instream cover ($M_1$, r=0.553, p=0.017, n=18), flow/velocity ($M_3$, r=0.627, p=0.005, n=18), and riffes/bends ($M_7$, r=0.631, p=0.005, n=18) than other metrics. Value of HAI in the control was zero (i.e., excellent condition), while the values in the T1 and T2 treatments were 5 (range: 0${\sim}$30) and 50 (range: 40${\sim}$80), respectively. The maximum values of IBI (46) were coincided with zero of HAI. Thus, these approaches seem to be a good tool for a diagnosis and evaluations of stream ecosystem health.

건강영향평가 및 건강도시 인증제 도입

  • Nam, Eun-Woo;Song, Ye-Ri-A;Park, Myeong-Bae;Mun, Ji-Yeong;Kim, Geon-Yeop;Park, Jae-Seong;Go, Kwang-Uk;Lee, Mu-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7-120
    • /
    • 2006
  • 연구 배경: 시민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도시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건강도시 사업 계획을 위해서는 도시의 건강 수준 측정이 필요하다. 이때에, 도시 전반의 현실적 상태를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표가 도시건강의 개념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를 활용한 건강도시 인증제도의 도입을 통하여 건강도시사업을 활성화시키고 시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연구 목적: 의료 건강생활실천 안전 환경 사회경제적 요인 등 각 지역사회의 건강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건강도시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건강도시 평가 및 인증사업을 실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 내용 및 범위: 국내 건강도시 사업 추진에 대한 현황 파악과 보건복지부에서 고려중인 건강도시 인증 방안에 대하여 국내외 동향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건강도시 인증에 필요한 지표를 개발하고, 건강도시 평가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통한 인증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연구 방법: 관련 국내외 문헌 고찰 및 각종 자료를 분석한다.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국내 건강도시 현황을 파악함으로서 지역사회중심적인 건강증진사업의 새로운 모델로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강도시에서 사업을 개발 추진시 필요한 목표관리적인(Management by Objective) 건강도시사업에 대한 방안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건강도시 인증사업의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Case Study on Health Impact Assessmen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in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lan (산업단지 계획 시 유해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사례 연구)

  • Kim, Sang-Mok;Son, Eun-Seong;Seo, Young-Kyo;Baek, Sung-O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6
    • /
    • pp.616-625
    • /
    • 2019
  • Health impact assessment is implemented with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health damage by predicting the impact on human health following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ment project. In health impact assessment, manual revision is required due to the lack of consistency in the method of estimating hazardous air pollutants emissions. This study estimated the emissions by calculating the emissions of hazardous air pollutants based on the actual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cases and completed health impact assessments. As a result of risk assessment based on exposure concentration using CALPUFF model, the risk assessment results were different for each of the emission estimation methods, and manual improvement on the emission estimation method is needed.

A Model for Evaluating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Health Information Web-Sites (건강정보 웹사이트의 신뢰성과 만족도 평가 모델)

  • Woo Young-Woon;Cho Kyoung-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9
    • /
    • pp.42-49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odel to evaluat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health information web-sites visited by general health consumers. In order to propose the evaluation model, lots of foreign and domestic researche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se analyses, confidence and satisfaction standards for the model are proposed. A process for evaluation and a method for calculation of evaluation value by the standards are proposed, too. The proposed model can be utilized as a tool for analyzing conventional health information web-sites and can be utilized as check lists for developments in case of health information web-sites under construction.

  • PDF

Comparison of Influencing Factors for Self-rated Health between Middle Aged and Elderly (중년과 노년의 자가 평가 건강수준 영향요인 비교)

  • Yeun, Eun-Ja;Kwon, Young-Mi;Lee, Young-M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2
    • /
    • pp.200-210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eal the factors determine self-rated health status between middle aged and elderly living in commun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42 middle aged and 201 elders who lived in 3 cities of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s from March to July, 2014. For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with SPSS Statistics program. The determinants on self-rated health status were present illness, stress management, health responsibility, fatigue, anger, tension,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middle-aged persons and physical activity, present illness, confusion, and exercise among elderly pers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we should develop differentiated health promotion programs through education, counselling and health examination for the middle-aged adults and elderly.

Evaluation of Healthy City Project Using SPIRIT Checklist: Wonju City Case (SPIRIT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건강도시평가: 원주시 사례)

  • Nam, Eun-Woo;Moon, Ji-Young;Lee, Albert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27 no.5
    • /
    • pp.15-25
    • /
    • 2010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onju Healthy City project and identify its problems, and seeking a way for its improvement based on the Healthy City project philosophy and strategies. Methods: We used the SPIRIT Checklist that was a process evaluation tool and developed by Alliance for Healthy Cities for the study. We analyzed 39 related materials and gathered opinions on the evaluation result with Healthy City Team staffs, related department staffs and the advisory committee. Finally, a joint meeting with AFHC SPIRIT evaluation expert verifi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sults: The evaluation of Wonju Healthy City project confirmed that Wonju city is equipped with the resources, such as mid-term plan, infrastructure, cooperative organizations, and the Healthy City network to enable the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Healthy City project based on strong political commitment. However, the necessity of additional complementary processes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further improvements to assist health promotion strategies was evident.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improve Wonju Healthy City project that activ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based on the political support and cooperation with public health center and Healthy City project departments in city hall.

The Influences of Economic, Social Factors on the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for Baby Boomer Generation Workers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te Health Insurance- (베이비부머세대 근로자의 경제, 사회요인이 주관적 건강평가에 미치는 영향 -민간의료보험가입 조절효과-)

  • Heo, Won-G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9
    • /
    • pp.257-272
    • /
    • 2015
  •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economic, social and moderating effect factors of baby boomer generation workers' affect th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The subjective of this study was 1,202 workers of baby boomer generation by using the 4th data of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from Korea Labor Institute in 2012. Economic and social factors were selected as scales to analyze if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private health insurance has control effect over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and the economic & social factor. As a result of the study, age, education, home ownership, peer group meeting, overall satisfaction, private health insurance we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of baby boomer generation. Moreover private health care were turned out to have a moderation effect in relation between economic, social factor and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근로자 건강평가와 증진

  • Park, Jeong-Seon
    • 월간산업보건
    • /
    • s.188
    • /
    • pp.13-17
    • /
    • 2003
  • '21세기 산업보건' 을 주제로 창립 40주년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건강평가와 증진, 쾌적한 작업환경조성, 산업보건 정보 관리 등 3개 분야 연제를 요약하여 소개한다.

  • PDF

(2)건강기능식품법의 하위법 제정에 즈음한 방향 제안

  • Son, Dong-Hwa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5 no.4
    • /
    • pp.73-101
    • /
    • 2002
  • 21세기는 과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정보통신기술, 환경기술, 나노기술 그리고 생명과학에 의한 바이오기술이 고부가가치 지식산업으로서 국가경쟁력 강회를 위한 국가전략 핵심산업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기술의 응용산업인 건강기능식품은 국민의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 21세기 미래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국민보건과 건강기능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건강기능식품법) 이 의원입법으로 국회에 상정되어 1년 이상의 검토를 거쳐 지난 7월 31일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습니다. 그후 8월 26일자로 이 법을 정부에서 공포하였으며 내년 8월 26일부터는 발효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건강기능식품법의 제정은 건강기능식품관련 제도의 완성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즉, 건강기능식품법의 기초는 마련하였지만, 그 하위법인 시행령, 시행규칙, 고시등이 제대로 된 모습을 갖추어야 비로소 국민이 만족하고, 산학연의 동반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이 분야의 산업발전을 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건강기능식품담당 정부부처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현실적으로 그 하위법을 금년 말(2002년)이나 내년 초(2003년)에 준비한 후 입법 예고하여야하는 시간적 제약을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유로 단기간 내에 하위법을 준비하다 보면 자칫 애초에 정부와 산학연이 바라던 바와는 다른 엉뚱한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만큼, 법 제도의 명확한 방향설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한국식품과학회 건강기능식품분과위원회는 이 문제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산학연 전문가그룹(식품과학자, 영양과학자, 학계, 연구계, 기업계: 16인)을 구성하였습니다. 전문가그룹은 지난 7 - 8월, 2달 동안에 수 차례 회의를 통하여, 건강기능식품법 하위법 준비 중 핵심사항은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표시와 평가 라는 점에 착안하고, 이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검토하였습니다. 그 이외에도 섭취량 설정 , 심사자료의 인증요건 , 기능성분의 표시 등에 대하여도 부수적으로 검토하였습니다. 그 결과, 동물실험을 이용한 기능성평가 방향 (이미 본지의 전호에서 게재한 바 있어생략)을 제외한 주요사항을 다음의 별도 기사로 각각 소개합니다. 또한, 이 내용은 지난 9월 13일, COEX에서 제1회 건강기능식품 전시회 및 학술세미나 행사의 일환으로서 개최된 학술세미나에서 발표하고 토론회를 거쳤습니다. 또한, 지난 10월 26일, 무주리조트에서 식품과학회 추계학술대회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된 건강기능식품분과위원회의 토론회에서도 좋은 의견을 교환한 바 있습니다. 두 차례의 토론회를 통하여 건강기능식품분과위원회가 제안한 초안이 대체적으로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받았으며 많은 동의를 얻었습니다. 이어서 토론회의 내용을 반영한 식품과학회의 안을 최종적으로 준비하고 이를 11월초에 식품의약품안전청에게 정책 건의하였습니다. 다음의 별도기사에 덧붙여서, 토론회를 통하여 수정(또는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동물실험 등에서 흡수, 대사 등으로 표기한 서술 용어는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로 대체합니다. 2) 기능성 평가방법의 표준화와 관련하여 분과위원회에서 제시한 안은 평가방법은 심의위원회가 사안에 따라 기능성 평가시에 그 평가방법의 적합성을 검토함이 바람직하다 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를 부분적으로는 평가방법을 표준화할 필요가있다 로 수정하고자 합니다. 즉, 평가방법이 전혀 제시되지 않으면 막막함으로, 기본적인 방법이면서 여러사람들이 참고로 할만한 방법에 대하여는 표준화를 병행함이 더욱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표준방법으로 제시된 것만이 유일한 방법은 아니므로 다른 방법으로 평가하는 것도 가능함으로 제시합니다. 3) (가칭)건강기능식품 인체시험 관리지침과 관련하여 이는 식약청장이 정할 사안이지만, 그것은 국내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지침 과는 뚜렷이 차별화되는 것으로 실제로는 의사의 도움없이도 인체시험을 시행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