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통계청, "2012년 사회통계조사 주요결과", 통계청 보도자료
- 고대선, 원영신, "체력과 운동참여가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9권, 제3호, pp.899-915, 2009.
- 고정욱, 김정숙, "중년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생활 준비 행동에 관한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5권, 제3호, pp.17-39, 2009.
- M. Shields and S. Shooshtari, "Determinants of self-perceived health", Health Report, Vol.13, No.1, pp.35-52, 2001.
- 이소정, 정경희, 김경래, 이은진, 강인, 이금룡, 한정란, "노후설계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방안", 보건복지부, 2011.
- N. Humpel, K. O'Loughlin, H. Kendig, and Y. Wells, "Australian baby boomer's expectation and plans for their old age",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Vol.25, No.1 pp.3-8, 2006. https://doi.org/10.1111/j.1741-6612.2006.00147.x
- 강유진, "기혼여성의 저출산 정책요구도 및 관련 요인", 학생생활연구, No.15, 2012.
- 이정화, "광주.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식과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75-289, 2009.
- 박석돈, 박순미, 이경희, 노인복지론, 서울: 양서원, 2008.
- 송인한, 이한나, "사회경제적 박탈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영향: 시민적 낙관의 매개효과",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3호, pp.33-51, 2011.
- 이선정, 노인 생활실태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수원시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J. S. Fehir, Self-rated health status, self efficacy, motivation, and selected demographics as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ng life style,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89.
- J. E. Ware, Jr. "Standards for validating health measures: definition and content", Journal of Chronic Diseases, Vol.40, pp.473-480, 1987. https://doi.org/10.1016/0021-9681(87)90003-8
- E. L. Idler and Y. Benyamini,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8, pp.21-37, 1997. https://doi.org/10.2307/2955359
- 지선하, 오희철, 김일순, "노인 스스로 인지한 건강상태와 사망률에 관한 연구", 한국역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78-180, 1994.
- 최헌, 건강수준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 K. F. Ferraro, "Self-ratings of health among the old and the old-old", Journal of Health and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1, pp.377-383, 1980. https://doi.org/10.2307/2136414
- M. Bergner, "measurement of health status," Medical Care, Vol.23, No.5, pp.696-704, 1985. https://doi.org/10.1097/00005650-198505000-00028
- M. M. Farmer and K. F. Ferraro, "Distress and perceived health", mechanisms of health declin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9, pp.298-311, 1997.
- 김남진, "규칙적인 운동 참여가 고령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사회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39권, 제1호, pp.149-158, 2000.
- W. C. Cockerham, K. Sharp, and J. A. Wilcox, "Ag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Journal of Gerontology, Vol.38, No.3, pp.249-355, 1983. https://doi.org/10.1093/geronj/38.2.249
- J. P. Hirdes and W. F. Forbes, "Feactors associated with the maintenance of good self-rated health",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5, No.1, pp.101-122, 1993. https://doi.org/10.1177/089826439300500105
- 이영희, 최수정, "노인의 건강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 27-3지, 18-2 601-613, 2000.
- 이윤환, 최귀숙, 강임옥, 김한중,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제18권, 제2호, pp.110-125, 1998.
- 차승은, 한경혜, 이정화, "농촌노인의 지각된 건 강과 신체. 정신. 사회적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2-1, pp.173-190, 2002.
- Rodin, J. & Macavay, "Deteminants of change in perceived health in a longitudinal study of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Vol.37, No.6, pp.373-384, 1992.
- L. F. Berkman and L. Breslow, Health and Ways of Living: The Alameda County Stud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 K. McGarry, "health and retirement do changes in health affect retirement expectation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02.
- 박순옥, 백훈정, 김춘미, 문진하, 최순영, 김정숙, 김애정, "일,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지지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44-156, 2003.
- 정명원,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제37권, pp.249-273, 2007.
- 최영희, 김순이, "노인의 건강행위 사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제27권, 제3호, pp.601-613, 1997.
- 주성주, 윤숙례, "노부부와 홀로 사는 노인들 간의 일반 건강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회, 제13권, 제1호, pp.55-62, 1993.
- 신두만, 남철현 외, "노인들의 보건지식과 건강 증진 형태 관련 요인", 보건증진학회지, Vol.12, pp.67-87, 2006.
- 이호성, "노인의 건강상태와 의료비부담 관련 요 인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No.2, pp.163-179, 2004.
- 손용진, "장애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장애 중장년층과의 비교를 통하여", 노인복지연구, Vol.25, pp.49-74, 2004.
- M. Luoh and A. R. Herzog, "Individual consequences of volunteer and paid work in old age: health and mortalit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3, pp.490-509, 2002. https://doi.org/10.2307/3090239
- 이정민, 김원중, 손혜숙, 전진호, "연령층별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과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2012.
- N. Hoeymans, E. J. Feskens, D. Kromhout, and G. A. M. Bos van den, "Age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status and self-rated health in elderly man", Social Science & Medicine, Vol.45, pp.1527-1536, 1997. https://doi.org/10.1016/S0277-9536(97)00089-0
- 김승곤,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주관적 건강", 노인복지연구, 제28권(여름), pp.187-206, 2005.
- 허재헌, 조영태, "서울시 노인의 사회경제적 수준별 활동제한 및 건강행태", 한국노년학, 제28권, 제1호, pp.87-104, 2008.
- G. G. Fillenbaum, "Social context and self-assessments of health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0, pp.45-51, 1979. https://doi.org/10.2307/2136478
- L. Shi and N. Lu,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elf-assessed health", Medical Care, Vol.35, No.10, pp.1069-1078, 1997. https://doi.org/10.1097/00005650-199710000-00008
- 오영희, 우리나라 노인의 객관적 건강상태와 주과적 건강인식의 관련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이승미, "한국 노인의 사회계층별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3호, pp.135-157, 2002.
- 박진경,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수준의 종단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차승은, "노인의 결혼지위 점유에 따른 건강차이: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7권, 제2호, pp.371-392, 2007.
- P. M. Lantz, J. S. House, J. M. Lepkowski, D. R. Williams, R. P. Mero, and J. Chen, "Socioeconomic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prospective study of US adults,"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79, No.21, pp.1703-1708, 1998. https://doi.org/10.1001/jama.279.21.1703
- 김혜련, "한국인의 건강행위 실천 수준", 보건복지포럼, 제10권, pp.15-24, 2000.
-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 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1권, 제3호, pp.127-153, 2007.
- 어광수, 사회경제적 요인 및 심리적 요인이 노인의 건강행위에 미치는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김진희, 남녀 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행위와 건강수준 분석, 연세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
- 박재순,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 상호작용항모형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공선희, 한국 노인의 돌봄 자원과 돌봄 기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 한경혜, 김주현, 김경민,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 건강", 한국노년학, 제23권, 제2호, pp.155-170, 2003.
- T. E. Seeman, "The Benefits of Social Integration, Annals of Epidemiology", Social Ties and Health, pp.442-445, 1996.
- 강혜원, 조영태,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통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1권, 제4호, pp.164-201, 2007.
- P. A. Thoits and L. N. Hewitt, "Volunteer Work and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2, No.2, pp.115-131, 2001. https://doi.org/10.2307/3090173
- D. A. Cohen, R. A. Scribner, and T. A. Farley, "A structural model of health behavior: A paradigm approach to explain and influence health behaviors at the population level," Preventive Medicine, Vol.30, pp.146-154, 2000. https://doi.org/10.1006/pmed.1999.0609
- 윤경아, 진기남, 성규탁, "노인의 고질적 긴장 요인, 사회적 지원과 주관적 안녕상태", 한국노년학, Vol.12, No.1, pp.56-64, 1992.
- 박미진, "빈곤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지역사회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Vol.30, No.3, pp.895-910, 2010.
- 김영근, "노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6권, 제3호, pp.99-110, 2008.
- 천의영, "노인의 사회 연결망 유형과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1호, pp.88-98, 2010. https://doi.org/10.4040/jkan.2010.40.1.88
- 강현욱, 김지태, "노인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3권, 제3호, pp.57-68, 2009.
- 김명숙, 고종욱, "여가활동이 노인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지지의 매개역할", 노인복지연구, 제60권, pp.35-54, 2013.
- 김홍록, 이광욱, "여성노인의 여가활동참가와 신체적 건강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4권, pp.671-680, 2008.
- 국민건강보험공단, "2008 년 한국의료패널 기초 분석보고서 (1), 2009.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복지패널 4차년도 조사자료 User's Guide", 데이터 설명회 자료, 2009.
- 윤희숙,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개발연구, 제30권, 제2호, pp.99-128, 2008.
- 이현복, 현경래, "민간의료보험 가입자 특성과 가입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1호, pp.217-240, 2011.
- 허은정, 김지경, "중 고령자의 민간의료보험 가입 및 지출액 결정요인", 소비자학 연구, 제20권, 제4호, pp.107-127, 2009.
- 김성옥, "민간보험가입에서의 선택과 의료서비스이용", 제6회 노동패널학술대회자료집, 2005.
- 국민건강보험공단, 충북대학교, "국민건강보장을 위한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역할 설정방안", 2006.
- 김동현, 국내민간의료보험시장의 역선택에 관한 실증연구, 경희대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 류건식, 이경희, "생명보험상품에 대한 소비자구매 성향분석", 보험학회지, Vol.58, pp.199-224, 2001.
- http://survey.keis.or.kr
- M. Bergner and M. L. Rothman, "Health status measures: An overview and guide for selection",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Vol.8, pp.191-210, 1987. https://doi.org/10.1146/annurev.pu.08.050187.001203
- K. L. Ory and D. Bond,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 reported health of Appalachian elderly", Public Health Nursing, 제6권, 제4호, pp.204-211, 1989. https://doi.org/10.1111/j.1525-1446.1989.tb00598.x
- C. E. Ross and C. L. Wu, "The Links between Education and Healt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60, No.5, pp.719-45, 1995. https://doi.org/10.2307/2096319
- 전경숙, "노년기 건강의 사회적 요인의 성별차이", 한국노년학, 제28권, 제3호, 2008.
- S. Arber and H. Cooper, "Gender difference in health in later life: The new paradox?",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48, No.1, pp.61-76, 1999. https://doi.org/10.1016/S0277-9536(98)00289-5
- C. E. Ross and C. E. Bird, "Sex stratification and health lifestyle: Consequences for men's and women's perceive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5, No.2, pp.161-178, 1994. https://doi.org/10.2307/2137363
- 신현구,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노동리뷰 3, pp.81-93, 2007.
- 배상열, 고대식, 노지숙, 이병훈, 박형수, 박종, "한국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이 질의 관계", 학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0, 2010.
- 정순돌, 성민련, "연령진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Vol.32, No.4, pp.249-272, 2012.
- 정민수, 조병희, "지역사회역량이 주민 건강수준에 미치는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제22권, pp.153-182, 2007.
- 강성욱, 유창훈, 오은환, "민간의료보험이 과연 의료이용을 증가시키는가?", 보건경제와정책연구, 제16권, 제1호, pp.139-159,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