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생활양식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27초

일부 지역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he Elderly)

  • 최연희;김연화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3-115
    • /
    • 2001
  • This study was done describe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to determine affecting factors in elderly based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to determine causal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 The subjects were a volunteer sample of 200 elderly in Kyungsan city.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47 items), Life Satisfaction Scale(20 items) and Self-Esteem Scale(10 items).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 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 with SA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3.3; the highest score on the sub scale was self-actualization(M=3.5) with the lowest being exercise(M=2.9) 2)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religion. 3) All of the subscales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were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r=0.534, p〈0.001 and self-esteem(r=0.608, p〈0.001). The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esteem(r=0.593, p〈0.001). 4)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marital status explained 28.04% of the variance for the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marital status predicted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he elderly. So health promoting programs that increase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a healthy lifestyle of the elderly.

  • PDF

여성들의 생애주기별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 일개 통합시를 중심으로 - (A Study about Promoting Health Lifestyles and Relating Variables on the Life-cycle of women)

  • 이은희;소애영;최상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700-710
    • /
    • 1999
  • Promoting women's health lifestyles are important due to their connection to family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women's health lifestyles(HPL) and their effects on women's life-cycle, so in order to develop a program in a women's health care center. The subjects included were 1080 women over 18 years old living in Wonju city, and were selected by stratified and purposive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The Cronbach $\alpha$, %, mean,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in SPSS PC Win.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sample was sepernted into three groups premarital group 20.2%(premarital women between 18 and 40 years old), delivery and children rearing group 49.9%(marital women between 18 and 40 years old), over middle agedelderly group 29.9%(women over 41 years old).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the HPL according to group. Also, relating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gender role perception that were considered relating variables to HPL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three groups. HP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HLOC and gender role perception in all participants and at all groups. The regression analysis of HPL was interpreted 40.6% with relating variables, self-efficacy, health attention, family functions,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health perception, power other locus of control and chance locus of control in all participant.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health attention were considered important variables in premarital group,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internal locus of control, health attention, health perception and power of control were important in delivery-rearing group. Self-efficacy, health atten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family functions and health perception were important in middle aged-elderly group. As a result, we found the differences HPL scores and relating variables according to life-cycle groups. Therefore, we should prepare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s for women according to women's life cycles. Also we suggest that women's health care centers based on communities was needed for proper management of women's health.

  • PDF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된 요인 분석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 전미영;김명희;조정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undergraduate students thus providing the basic data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 promoting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2 undergraduate students, living in Seoul, Chung-Buk, and Kangwon, during the period from May 10 to July 15, 2000.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scale developed by Bak, Insuk(l995), the hardiness scale by Suh, Yeonok(1995), the social support scale by Su, Moonja(l988),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scale by Lawton et al.(l98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health promoting lifestyles was 2.47 on 4 point scal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categories ‘harmony relationships’(3.08) and ‘sanitary life’(2.97) revealed higher scores, whereas scores for ‘healthy diet’(2.31), ‘exercise & activity’(2.20) and ‘professional health management’(1.48) were lower. 2. The mean score for hardiness,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as 4.43(on 6 point scale), 2.91(on 4 point scale) and 3.11(on 5 point scale) respectively.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gre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according to religion(t=2.05, p=0.04) and spending money per month(F=2.98, p=0.03). 4. Health promoting lifestyl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ardiness,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5.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hardiness.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These predictive variable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explained 24% of variance. Fi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healthy lifestyles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일부 농촌주민의 건강행위유형과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실태와의 관련성 (The Health Behavior Patterns of Some Rural Residents in Korea and Their Association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 Management Practice)

  • 김영갑;강명근;류소연;김기순;강성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1호
    • /
    • pp.43-63
    • /
    • 2004
  • 이 연구는 일부 농촌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건강의식 및 형태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농촌지역주민들의 건강행위를 유형화하고 건강행위유형과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실태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된 것으로서 본 연구의 주요결과와 합의는 다음과 같다. 1. 건강행위유형은 식생활군, 흡연군, 운동군, 음주군, 건강무관심군, 수동적 태도군으로 구분되 있으며 각각의 구성비는 67.8%, 10.9%, 6.2%, 2.6%, 0.5%, 11.9%로 각 건강행위유형별 구성비는 전국민자료를 이용한 선행연구결과와 다소 상이하였다. 전체적으로 식생활군이 보다 많았고, 수동적 태도군의 구성비가 적었다. 또 건강행위유형을 구성하는 건강행위별로 계량화된 건강행위점수도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는 연령구성, 직업구성, 소득수준 뿐 아니라 식생활을 중시는 농촌지역의 특성과 낮은 흡연율 등 건강행위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2. 각 건강행위 유형별 일반적 특성의 경우에도 전국적 자료를 이용한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평균연령은 전국적 자료를 이용한 경우 건강 무관심군이 가장 많았으나 본 연구 결과에서는 가장 적었고 오히려 음주군의 평균연령이 가장 많았다. 성별 구성을 보면 음주군, 흡연군, 건강무관심군의 경우에 여성이 거의 없었고. 수동적 태도군, 식생활군 등에서 여성의 구성비가 높았고 운동군에서도 비교적 높았던 것은 전국결과와 유사하였다. 교육수준은 전국결과에서는 운동군이 가장 높았으나 본 연구결과에서도 운동군과 수동적 태도군에서 고졸이상의 고학력자가 비교적 많아 전국결과와 유사하였다. 직업의 경우, 음주군의 경우 비사무직이 많았고 심한 육체적 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구성비가 높은 점. 음주군과 건강무관심군의 경제적 수준이 가장 낮았고 운동군의 소득수준이 높았던 점, 건강관련 정보원이 있는 경우가 음주군이 상대적으로 낮고 운동군이 높았던 점 등도 전국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건강검진율은 전국평균에 비해 높았고 전국자료에서는 음주군에서 가장 낮았고 운동군에서 가장 높았으나 본 연구는 음주군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음주군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운동군은 50%로 비교적 낮았다. 3. 연구대상자 건강행위유형별 건강상태를 보면 우리나라 한 지역농촌인구가 가장 보편적으로 보이고 있는 건강행위유형인 식생활군과 비교할 때 운동군의 만성질환 이환경험율이 더 높았고 흡연군, 음주군, 건강무관심군, 수동적 태도군 등의 경험율이 오히려 더 낮았다. 이는 이 지역주민들의 건강행위가 질병의 경험에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보았다. 4. 건강행위유형별로 건강관리실태를 보면 건강상태를 보정하고도 식생활군에 비해서 운동군은 건강관리행위를 유의하게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동적 운동군 건강검진율은 유의하게 낮아 각 건강행위유형에 기대되는 건강관리실태를 보였다. 이는 일부이기는 하나 농촌지역에도 건강할 때부터 건강을 지키고 증진하기 위한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있으며 건강상태와 무관하게 적극적으로 행하는 건강관리에 소극적인 집단이 존재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5.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건강증진 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주민들에게 조성되어 있는 건강관리에 대한 소극적 태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 한편, 건강관리에 적극적인 운동군들을 발굴하여 지역내 건강증진사업의 확산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건강무관심군은 비교적 젊은 군이나 소득이 낮고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건강수준이 낮으며 건강염려를 많이 하는 것으로 보아 건강에 부여하는 가치 등의 문제 뿐 아니라 건강활동에 참여할 시간적 여유의 부족이나 기타자원의 부족에 기인할 수 도 있음을 감안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6. 그러나 이 연구는 단면연구로서 장기적인 추적관찰을 통해 이 연구의 결론이 지지되기를 기대하며 더 발전된 연구에 의해 이 연구가 가진 다음과 같은 한계들이 극복되기를 바란다. 1) 다른 목적으로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측정변수의 정밀성을 높이기 어려웠다. 주관적 건강평가의 경우에 주관적 건강인지의 구성요인에 따라 구조화된 설문지로 측정되어야 하나 단 하나의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주관적 건강인지와 건강행위 유형과 특정한 관계가 예상되었으나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던 것은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건강형태의 유형화가 가지는 유용성의 문제로서 인지적 건강수준이나 건강과 관련된 형태의 많은 부분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는 건강행위의 유형화에 투입된 변수의 신뢰성의 문제와 아울러서 건강과 관련된 신념 등 인지적 용인이 유형화변수에서 비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정하였는데 투입된 변수가 개인의 건강생활양식을 고루 반영하는지의 타당성도 더 검증되어야 할 문제로 보인다. 3) 군집분석을 통한 건강생활약식의 유형화를 시도하였으나 군집분석의 경우에 그 신뢰성과 타당도가 표본수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적은 표본수로 인해 결과의 신뢰성이 낮아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보다 대용량 자료를 이용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농촌 지역주민들의 건강 형태에 관한 조사연구 (The health behaviors of the residents in a rural area)

  • 조병만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2권2호
    • /
    • pp.183-193
    • /
    • 1997
  • 농촌 지역 주민들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를 얻은 목적으로 경상남도 울주군내에 거주하는 농민으로서 연령이 40세 이상인 사람들 824명(남성 318명, 여성 506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생활양식의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면시간이 하루 7-8시간이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44.4%, 여성에서 45.0%였고 아침식사를 거의 매일 하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에서 92.7%, 여성에서 89.9%였으며 간식을 거의 하지 않거나 가끔씩하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에서 82.7%, 여성에 83.8%였다. 음주를 하지않는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40.6%, 여성에서 88.1%였고 흡연을 하지않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에서 37.4%, 여성에서 86.6%였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4.7%, 여성에서 5.6%였으며 체중이 정상인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89.0%, 여성에서 80.0%였다. 이상과 같은 건강 행위를 여섯가지 이상 실천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3.9%, 여성에서 23.2%였다. 도시 주민들과 비교하여 건강 행위를 여섯가지 이상 실천하는 사람의 비율이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더 낮았으며 또한 자신의 건강 수준이 양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도 더 낮았다. 그러므로 농촌 주민들에 있어서 바람직한 건강 행위의 실천을 통한 건강 수준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당뇨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abetes - A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김동배;채수진;조완기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101-116
    • /
    • 2009
  • 본 연구는 당뇨노인의 질병과 관련한 행동과 정서에 초점을 두고, 바람직한 생활행동양식으로 제시되는 건강증진행위와 부정적 감정상태인 우울이 당뇨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2006년 전국조사를 통해 수집된 한국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KLoSA :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전문의에게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고 응답한 60세 이상의 노인 685명이다. 연구방법은 대상자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빈도분석과 변인 간 가설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당뇨노인의 건강증진행위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고, 당뇨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에서 우울변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우울 변인의 부분매개효과 검증은, 당뇨노인에게 건강증진행위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직접적인 경로와 함께, 건강증진행위가 우울이라는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우울의 감소를 통해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간접적 경로를 검증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당뇨노인의 삶의 질을 설명함에 있어서 질병과 관련된 신체 행위, 또는 심리적 접근이라는 단선적 관계를 벗어나 질병관리와 정서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당뇨노인에 대해 개입하는 다양한 건강전문가들에게 통합적 개입의 중요성을 제시한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 홍여신
    • 대한간호
    • /
    • 제20권4호통권112호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일부지역 여성건강간호센터 설립 및 여성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조사 (A Study on Women's Health Status for Setting up Women's Health Nursing Center and Developing Health Program)

  • 이은희;최상순;소애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6-16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health perception over 18 years old women living Wonju city so that the results will be based for setting up women's health nursing center. The subjects were 1080 women selected by stratified and purposive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and interview from May to June, 1998.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range of age was 18-84 years, The proportion according to women's lifecycle was premarital group 20.0%, delivery and rearing group 49.9%, over middle aged-elderly group 29.8%. 2. The mean menarchial age was 15.2 and menopausal age was 48. Mean frequenices of pregnancy is 2.4 and artificical abortion rate is 36.4%. Primary cause of abortion was unwanted babies 42.8%. The practice rate of family planning was 79.4% and permanent sterilization rate was 37.6%. 3. Fatigue was predominated problem in target population. Depression and headache was predominated in premarital group, headache and nervous felling in delivery and rearing group, arthritis and loss of memory in over middle aged-elderly group. 4. Only 13.7% of the target population make some efforts for their health in compare to 85.9% have attention for their health. Perception of unhealthy rate was 9.1% in premarital group, 24.8% in delivery and rearing group, 30.1% in middle aged-elderly group. 5. The average score of the HPLP(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was 2.41.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ereas the one with the lowest degree was the professional health maintena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HPLP according to age, residential area,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income level. 6. Majority(95.1%) of the target population agreed on necessity for women's health nursing center. Proper location area was presented to women's center and public health center. The priority for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proper diet, family health, stress management, and exercise. In conclusion, we should prepare the education program for women's health according to women's lifecycle, because health perception, HPLP, and education program needed was differentiated in women's lifecycle. Also we suggest that women's health nursing center based community was needed for proper management of women's health.

  • PDF

여대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College women)

  • 성미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7-105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control,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college women,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women in the early stage of adulthood. Method: There were 161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in K cit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urvey of general characteristics,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47 items), control (8 items), perceived health status (6 items), self-efficacy (17 items), and social support (18 items).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use of mean,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Version 10.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low at 2.39.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interpersonal support (2.97), and the lowest degree was health responsibility (1.76). 2)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mographics and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disease experience, and the family's disease experience. 3) Social support revealed on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4) Social support was the highest factor that predicted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college women (15%). Social support, age and disease experience accounted for 20% in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women.

자원봉사활동과 시험이 포함된 교과과정이 일 간호전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Immunoglobulin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rriculum with Volutary Activity of Midterm Examination on Self-esteem,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Immunoglobulin in Nursing College Student.)

  • 김민정
    • 대한간호
    • /
    • 제37권1호
    • /
    • pp.81-9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voluntary activity or midterm examination on self-esteem, health-promoting lifestyle, immunoglobulin in Nursing college student. Voluntary activity provides positive emotion(higher score of self-esteem) and midterm examination provides high level stress to students. Emotion and stress affect immune system. Seventy-five and seventy-eight subjects were assigned to voluntary activity and midterm examination group. In analyzing data, paired and unpaired t-tests and ANCOVA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 1.1 Self-esteem of after-voluntary activit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before-voluntary activity. 1.2 Health-promoting lifestyle of after-voluntary activity was not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before- voluntary activity. 1.3 Immunoglobulin of after-voluntary activity was not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before-voluntary activity. 2.1 Self-esteem of after-midterm examination w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than before-midterm examination. 2.2 Health-promoting lifestyle of after-midterm examination was decreased significantly .than before-midterm examination. 2.3 Immunoglobulin of after-midterm examination w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than before-midterm examination. 3.1 Self-esteem of voluntary activity group and midterm examination group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3.2 Health-promoting lifestyle of voluntary activity group and midterm examination group was different significantly. 3.3 Immunoglobulin of voluntary activity group and midterm examination group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