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보험청구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8초

알레르기 비염에서 성향 점수 매칭을 이용한 의과·한의과 간 성과 분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 자료 이용 (Outcomes Analysis for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in Allergic Rhinitis: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 강채영;김희준;김정훈;황진섭;이동효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3-69
    • /
    • 202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reatment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on Allergic rhinitis patients using national population-based claim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ethods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024 patients in the Korean medicine group and 30,024 in the Western medicine group who were diagnosed with Allergic rhinitis from September 1, 2018 to December 31, 2018. Propensity score analysis was used for matching age, sex, etc. at a ratio of 1:1. Cox regression and subgroup analysis were used to estimate the adjusted hazard ratio of recurrence,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in Korean medicine group and Western medicine group. In addition, the total treatment period, total treatment cost, and average cost per day of visit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 Compared to Korean medicine, Western medicine had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recurrence at 1.701 times, Asthma occurrence risk at 1.609 times and Atopic dermatitis occurrence risk at 1.098 times. Compared to Western medicine, the total treatment period of Korean medicine was 14.27 days longer, the total treatment cost was 53,591 won more, and the average cost per day was 7,539 won more. Conclusions :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in Korea to compare the outcomes of Allergic rhinitis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Further research is needed by considering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linking with additional data.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한 골다공증 치료제의 처방 양상과 골형성촉진제 처방에 미치는 영향요인 (Treatment Patterns of Osteoporosis and Factors Affecting the Prescribing of Bone-forming Agents: From a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 정지혜;신주영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34
    • /
    • 2021
  • Objective: To analyze osteoporosis treatment patterns and teriparatide prescription-associated factors in Korea by using a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Methods: We utilized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National Patients Sample claims database to identify patients (aged ≥50 years) with at least one osteoporosis claim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10th revision code: M80, M81, M82) and at least one prescription for osteoporosis medication (antiresorptive agents: bisphosphonates,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denosumab, and calcitonin; bone-forming agent: teriparatide) in 2018.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care utilization patterns were analyzed. Factors associated with teriparatide prescriptions were assessed using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Records showed that 44,815 patients were prescribed osteoporosis medications in 2018; the percentage of patients prescribed each treatment was as follows: 86.6% bisphosphonates, 13.9%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3.1% calcitonin, 2.1% denosumab, and 0.7% teriparatide. A greater proportion of patients prescribed teriparatide were ≥75 years (53.4% vs. 33.8%) and had fractures (63.9% vs. 12.8%) compared to the same for antiresorptives (p<0.001). Patients prescribed teriparatide had higher Charlson comorbidity index values (1.2±1.3 vs. 0.9±1.2) and were more frequently hospitalized (0.8±1.3 vs. 0.1±0.5) than those prescribed antiresorptives (p<0.001). Elderly patients (≥75 years old; adjusted OR=1.66; 95% CI 1.16-2.38) and those with fractures (adjusted OR=6.23; 95% CI 4.76-8.14) were more likely to be prescribed teriparatide than antiresorptives. Conclusion: Patients prescribed teriparatide were older and more likely to have severe osteoporosis than those prescribed antiresorptives.

건강 보험 청구 자료를 이용한 COPD 환자에서 치료제 처방 변화 분석: 흡입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reatment Pattern in COPD Patients Using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Focusing on Inhaled Medications)

  • 임하나;박미혜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55-165
    • /
    • 2022
  • Backgrou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not completely reversible and requires long-term management with appropriate treatmen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rends in treatment regimens and medication costs for COPD patients using a national claims database. Methods: We conducted this analysis using National Patient Sample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covering the period from 2015 to 2018. We have constructed a dataset comprising COPD disease classification codes J43.x and J44.x (based on KCD-7 code, J43.0 was excluded) and compiled a list of drugs fitting current guidelines. To identify trends, we calculated frequency, ratio, and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using the numbers of prescriptions and patients. Results: The number of COPD patients was 7,260 in 2018, slightly decreased from 2015. Most of these COPD patients were aged 60 or older and included a high proportion of males (72.2%; 2018). The number of patients prescribed inhaled medications increased gradually from 2015 to 2018 (9,227 (47.1%); 2015, 9,285 (51.5%); 2018), while the number of patients prescribed systemic beta-agonists and Xanthines has decreased since 2015 (CAGR -14.7; systemic beta-agonist, -5.8; Xanthines). The per capita cost of medication has increased by 0.4% (KRW 206,667; 2018, KRW 204,278; 2015) annually during the study period.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reatment with inhaled medications had continuously increased in accord with changing guidelines, but oral medications were still widely use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haled medications in treating COPD to reduce additional economic burden through appropriate medication use.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Stay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 이혜승;김환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01-208
    • /
    • 2020
  •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자료를 바탕으로 만65세 이상의 주진단이 무릎 관절증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성별, 연령, 의료보장형태, 중증도, 거주지역 및 병상규모가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노인 인구의 증가와 이로 인한 노인 진료비 증가는 가계 및 국가 경제의 많은 부담으로 작용하는 시점에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원일수 단축효과와 함께 효율적인 병상운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환자의 진료비 부담을 경감시키는 위한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노인환자의 양질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활용한 파킨슨병과 관련된 코호트 연구 디자인 분석 및 향후 한의중재 관련 파킨슨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위한 제언 (Current Research Statu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Studies in Korea Related to Parkinson's Disease and Future Research Proposals for Integrative Therapies)

  • 황예채;임정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9-87
    • /
    • 2024
  •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cohort studies related to complications of Parkinson's Disease (PD) and suggest the design of Korean medical epidemiological studies of PD. Methods : Nationwide longitudinal studies of PD patients in South Korea were collected through Pubmed and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We selected cohort studies that us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in Korea and targeted Parkinson's disease patients. Studies published before February 2024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study designs. We examined variables and covariates, enroll dates and matching methods. Results : Of a total of 536 studies, 18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ll studies us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Research Database and among them, 5 used sample data and one senior database. Stud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11 cohort studies were comparing PD patients and non-PD patients. Another type was 4 PD patients cohort studies. Most studies used two diagnostic codes (G20 and V124) for inclusion criteria. Enroll periods were from 2002 to 2017, and follow-up periods were from 7 to 14 years. 16 studies considered age and sex as covariates. 15 studies use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to increase the level of causality. There was only one study related to the Korean medical treatment. Conclusion : In future cohort studies on Korean medical treatment, more attempts should be made to reveal the effect of the treatments on PD patients by defining inclusion criteria for patient groups, covariates, exposure variables, and assessment indicators more operatively.

중환자실 간호사 배치수준과 중증 간호행위의 관련성 : 2009~2020년 건강보험 청구자료 분석 (Relationship between Nurse Staffing and Critical Nursing Activities in Intensive Care Units : Analysi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from 2009 to 2020)

  • 고우리;조성현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5-41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critical nursing activities from 2009 to 2020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staffing and such activities in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 A total of 446,445 adult patient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in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from 2009 to 2020 were identified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The Critical Nursing Activities Index was calcul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ical nursing activities: ventilator,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and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Trend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changes in critical nursing activities over 12 years and to assess linear trends across different staffing levels. Results : The annual utilization days for ventilators, ECMO, and CRRT, as well as the Critical Nursing Activities Index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e study period (p-for-trend<.001) in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except for ventilator use in general hospitals. Ventilator, ECMO, and CRRT utilization exhibited a significant upward trend with higher nurse staffing levels (Bonferroni adjusted p-for-trend<.001). The Critical Nursing Activities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ospitals with higher staffing levels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staffing levels (Bonferroni adjusted p <.05). Conclusion :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improved nurse staffing levels in intensive care units. Government policies should ensure that staffing levels align with critical nursing activities among critically ill patients to uphold the quality of care.

소아치과 전문의 인력 현황 및 공급 적정성에 관한 연구 - 급여 진료 항목을 기준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Pediatric Dentists and the Adequacy of Supply and Demand Based on Covered Services)

  • 임여원;채용권;이고은;남옥형;이효설;최성철;김미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60-37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치과 전문의 인력 현황을 파악하고 만 19세 미만 환자의 연간 치과 이용량과 소아치과의사의 진료 생산성을 바탕으로 소아치과 전문의 인력 공급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며 향후 정책 수립을 위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아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적인 특성', '연간 진료 횟수 및 근무 일수', '급여진료 비율', '전문의 수급 인식'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대한소아치과학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소아치과의사 현황 및 진료 청구 횟수, 연간 출생아 수 감소 등을 조사하였다. 진료과목을 소아치과로 표방하는 치과는 전체 의료기관의 절반에 달했지만 실제 소아치과 의사가 근무하는 곳은 3.78%에 불과했다. 전체 소아치과의사의 61.36%가 수도권에 집중된 지역적 불균형을 보였다. 지난 20년 동안 소아청소년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했지만, 급여 진료 청구 횟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소아치과 전문의 적정 공급량은 4,000명 내외로 유지되었다. 소아치과 의사의 92.15%가 정부 차원의 정책 마련과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소아치과 전문의 수요예측 방법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고혈압 환자의 투약순응도와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medication compliance of hypertensives and its influential factors)

  • 손경애;김윤신;홍민희;정미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897-1904
    • /
    • 2010
  • 본 연구는 행정자료인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비용 청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일개지역(2개도, 남 북)에 개설되어있는 전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료일 기준 '08.7월~'08.12월(184일)동안 외래 방문이 1회 이상인 30세 이상의 수진자 432,9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투약순응도와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다. 연구대상자의 투약순응도 평균은 61.5%로 나타났으며, 이는 분석대상기간 6개월(184일)동안 약 113일 정도 처방 받았음을 의미하며, 투약순응군 비율은 13.0%에 불과하였다. 고혈압상병(주 부상병)으로 외래를 방문한 평균 횟수는 4.3일, 방문한 기관수는 평균 1.1곳이었고, 한곳의 의료기관만을 이용한 환자가 전체의 94.9%로 나타났다. 당뇨병을 동반상병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가 11.6%로 가장 많았고 고혈압 환자의 23.3%가 동반상병을 가지고 있었다. 투약순응도는 남성, 건강보험 가입자, 종합전문을 주이용기관으로 이용하는 환자, 동반상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65-74세까지 투약 순응도가 증가하다가 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투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남성, 55-64세, 건강보험 가입자가, 종합전문, 종합병원, 보건기관을 주 이용기관으로 방문하는 환자와 심장질환, 당뇨병을 동반상병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투약순응도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투약 순응도가 낮은 환자에 대한 다양한 요인분석이 필요하며, 투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고혈압관리사업의 정책적 검토 및 대안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고혈압 환자의 경우 당뇨 등 동반상병 비율이 높아 저염식, 금연 등 올바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체계적 보건교육과 홍보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전문병원과 비전문병원 입원환자의 의료이용 비교 분석: 인공관절치환술(슬관절)을 대상으로 (Comparison of Inpatient Medical Use between Non-specialty and Specialty Hospitals: A Study Focused on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 김미성;정형선;유기봉;강제구;장한솔;이광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8-86
    • /
    • 2024
  • 연구배경: 본 연구를 통해 전문병원과 비전문병원에서 인공관절치환술(슬관절)을 받은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전문병원 지정 여부에 따른 입원환자의 의료이용을 비교하여 전문병원제도의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21-2022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요양급여비용 청구자료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입원환자의 의료이용으로, 건당 진료비와 재원일수를 선정하였다. 독립변수는 전문병원 지정 여부이며, 통제변수는 환자 단위 변수(연령, 성별, 보험자 유형, 수술 유형 및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의료기관 단위 변수(설립 구분, 종별 구분, 소재지, 정형외과 의사 수 및 간호사 수)를 선정하였다. 결과: 건당 진료비와 전문병원 지정 여부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건당 진료비와 전문병원 지정 여부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관계가 있었다. 이는 전문병원이 비전문병원에 비해 건당 진료비가 유의하게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문병원과 비전문병원의 입원환자 간 의료이용 결과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병원 지정기준의 완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전문병원이 비전문병원에 비해 건당 진료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문병원의 비용 효과성에도 불구하고 전문병원 지정에 대한 높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수도권 및 대도시 지역에 전문병원이 집중되어 있다. 전문병원의 지역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준전문병원(가칭)"을 도입하는 등 비수도권 전문병원 지정기준을 완화한다면, 지역간 건강격차 해소 및 의료비 절감의 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병원 의료인력 규모의 적정성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 정형외과 의사 수 및 간호사 수에 따라 건당 진료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 의료인력 적정 배분을 바탕으로 의료서비스의 비용 효과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의료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불러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T검사건수 및 CT검사에 의한 집단 실효선량의 추정 (Survey of CT Practice and Collective Effective Dose Estimation)

  • 이만구;임청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3호
    • /
    • pp.231-237
    • /
    • 2010
  • CT장치는 많은 발전과 임상적 유용성이 향상되고, 의료영상 진단 장치로 중요성을 확립하였다. 그러나 이용률과 보급률이 더욱 증가되고 있는 실정에서 CT에 의한 진단은 환자의 피폭선량이 비교적 높은 검사이기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량이 계속 증가될 것이므로 이에 따른 방사선 피폭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CT검사건수 및 CT 검사에 의한 집단실효선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DLP(총 선량의 측정값)는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비의 각각의 검사 영상에 대하여 평균의 선량을 적용하고 계산하여 조사하였으며, CT검사건수는 의료보험심사평가원의 2008년도 발표 자료를 참고로 하여 의료기관 종별로 3년간 검사 통계를 EUR 16262에서 제시된 부위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CT장비의 도입규제 완화정책으로 2010년 3월 말 현재 국내에서 총 1,825대를 보유하고 있고, 인구 백만 명 당 36.8대이다. 의료기관별 CT장치의 설치비율이 의원급에서는 570대로 2.1 %, 병원 급에서 52.5 %의 기관이 보유하고 있다. 종합전문요양기관은 기관 당 장치가 3.84대이며, 종합병원은 1.44대를 보유하고 있다. 1996년 건강보험급여가 실시된 이후 CT진료비 청구건수와 진료비용은 10년(2006) 만에 5배에 가깝게 급증하고 있다. 2007년 전국에서 실시한 CT검사건수는 329만 건이었다. 인구 천 명당 검사건수는 68건이었다. 부위별 검사건수는 복부와 골반검사가 가장 많았다. 집계결과를 2007년도 통계청 우리나라 총 인구는 48,456,000명을 이용하여 연간으로 추계한 총 집단실효선량을 나누어 구한 국민 1인 당 선량은 0.952 mSv로 추정되었다. CT검사는 앞으로도 증가가 예상되며, 투시 등 응용도 확대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장치의 발전도 눈부실 것이며, 환자 각자의 체격에 따라 자동적으로 가장 적합한 검사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 피폭의 최적화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