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울 단계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7초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른 거울 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디지털 거울에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Behavior of the User using the mirror by Distance between the Mirror and the User)

  • 함원식;소연정;최혜주;박인찬;정지홍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345-350
    • /
    • 2006
  • 거울은 자동적인 시각적 피드백이라는 특성으로 특별한 조작을 요구하지 않는 인간의 친숙한 도구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우리는 빚과 정보를 함께 전달하는 거울에 대한 여러 가지 접근들을 보아왔지만, 이와 관련된 제품화는 아직 초기단계이다. 또한, 거울의 기본적 특성에 정보가 표현되는 것이 기능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사용자 관점의 정보 표현방식이나 조작에 관련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디지털 거울에서 사용자 관점의 정보 표현방식과 조작 인터페이스 요소 추출을 위한 기반조사로써, 거울과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른 사용자의 거울 사용행태와 니즈를 알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 전선거울을 보는 사용자의 관찰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거리의 기준을 잡아 태스크를 정리한 후, 주어진 디지털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거울 사용행태 및 니즈를 추출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디지털 거울에서 사용자 관점의 다양한 정보 표현방식과 조작 인터페이스 요소의 적용 가능성을 Digital Mirror UI 제안을 통해 살펴본다. 나아가 추출된 사용행태 및 니즈의 분석을 통해 정보의 표현방식과 정보조작방식의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

  • PDF

쟈크 라캉의 거울단계와 영상미디어의 매개과정과의 연관성 (Correlation of Jacques Lacan's Mirror Stage and the process of Remediation on Image Media)

  • 안상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147-154
    • /
    • 2005
  • 다양한 미디어 환경으로 인한 이미지의 재매개화 과정은 디미털 미디어문화 세대에게 또 한번의 거울단계를 거치게 하고 있다고 보고, 라캉의 거울단계이론과의 연관성을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전통적인 매체가 인터넷으로의 재매개, 컴퓨터그래픽으로 인한 초실재적 환상의 재현으로 조성되는 가상세계와 실재세계와의 혼돈, 가상적 이민지가 선망의 대상으로 부각되며 실제적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동일시 현상 등은 다양해지는 영상미디어의 상호 연계로 인한 재매개 기능으로 유발되는 것이다. 주체와 이상화된 자아만의 관계인 2자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타인이 배제된 '나르시스적' 동일성은 새로운 자기표현을 찾는데 능숙한 마니아 문화를 형성한다. 능동적인 마니아문화의 '자기반영 성'(Reflexivity)은 현대 미디어 문화의 특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 미디어문화 세대가 자기 반영에 사로잡혀 타인이 배제된 나르시스즘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이미지 은하계에서 소모적인 재미에 빠져 길을 잃는다면, 이러한 세대는 새로운 인간형으로 성장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거울단계와 연관된 '영상 리터러씨'(Visual Literacy)교육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필요케 한다.

  • PDF

레이저트래커(Laser Tracker)를 이용한 대형 광학 거울의 형상 측정 (Measurement of Large Mirror Surface using a Laser Tracker)

  • 조은하;양호순;이윤우
    • 한국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31-337
    • /
    • 2013
  • 대형 광학 거울은 연삭, 연마, 최종연마의 단계를 거쳐 가공된다. 이 가운데 가장 진행이 빠르고 가공량이 많은 연삭 단계에서 정밀하고 신속한 측정이 가능하다면 가공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연삭 단계의 광학면은 거칠고 광택이 없기 때문에 빛을 이용한 측정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간섭계를 사용할 수 없으며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면을 측정해야 한다. 레이저트래커는 이동이 가능한 3차원 좌표 측정기로,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이나 데이터 분석을 연구하면 연삭 단계의 광학 거울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저트래커를 이용하여 직경 1 m의 구면 거울의 형상오차를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를 간섭계로 측정한 것과 비교하였다. 레이저트래커를 이용한 측정법은 형상오차 rms $0.2{\mu}m$, PV $2.7{\mu}m$의 측정 결과를 얻는 것으로 파악되어 연삭 단계 광학면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거울 뉴런 시스템의 모방적 동기화 및 학습 기능 기반 HRI 응용 기술 개발

  • 고광은;심귀보
    •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38
    • /
    • 2014
  • 인간의 행동을 통해 내재된 의도를 인식하고 그 의도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로봇에게 부여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방적 동기화 및 학습에 의한 인간-로봇 상호작용(Human-Robot Interaction, HRI) 시스템의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인간이 관찰과 모방을 통해 목적을 가진 행동을 학습하는 과정은 감각 정보를 대응하는 운동 정보로 연계하고 모방 주체와 모방 대상 간의 물리적 상태의 차이를 보정하고 관측된 행동에 내재된 의도 또는 목표를 이해하는 복잡한 메커니즘 단계의 연속이기 때문에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실제 인간이 수행하는 모방적 동기화 및 학습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거울뉴런 시스템에 대하여 소개하고 이를 HRI 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선행 기술 동향을 논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실에서 관련하여 진행해온 관련 연구를 통해 현재 거울 뉴런 시스템의 발전 정도와 향후 활용 방안 및 가능성을 고찰해보도록 한다.

발생중인 Chick Wingbud에 대한 Retinoic Acid의 효과

  • 한만종;김원선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7-55
    • /
    • 1988
  • 발생중인 계배의 날개형성에 미치는 retinoic acid(RA)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RA처리는 날개원기의 전단부로 부처 거울상을 띤 지골의 복제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RA처리에 따른 지골의 복제 효과는 발생시기 및 처리량에 의존적이었다. 즉 stage 18시기의 날개원기에 RA를 처리했을 때 최대의 지골 복제 효과가 유발되었으며, 20mg/ml 의 RA 용액으로 처리했을 때 최대의 지골 복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RA 처리가 날개원기 세포의 positional value를 전후축 상에서 후위화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후위화의 정도는 발생단계 및 처리량에 의존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90\%$정도 익었을때 수확해 작은 단으로묶어 세워 말리도록 - 적기 벼베기와 벼 말리기 요령

  • 문병영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5권10호
    • /
    • pp.55-60
    • /
    • 1984
  • 우리가 농토배양을 선두로 못자리 설치에서부터 긴 여름불볕 더위속에서 열심히 벼농사를 짓는 것은 결실의 계절인 가을에 질이 좋은 쌀, 보다 많은 쌀을 풍성한 마음으로 거두기 위해서 이다. 특히 올해는 벼 안전 다수확을 위해서 겨울 논물가두기부터 시작하여 못자리 조기설치, 일찍 모내기를 끝내고 적기병충해 방제와 마지막 단계에서 뜻밖의 폭우가 있었지만 폭우의 피해까지도 어느 정도 슬기롭게 극복하여 이제 최후의 거두어 들이는 작업에 온 정성을 다할 때가 되었으며 또 내년을 위해 금년 한해동안의 벼농사에서 잘 되었던 점과 못 되었던 점을 정리해 두었다가 거울로 삼는 것도 바람직하다.

  • PDF

광학R&D산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우주광학센터

  • 박지연
    • 광학세계
    • /
    • 통권129호
    • /
    • pp.17-19
    • /
    • 2010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우주광학센터(센터장.이윤우)는 2004년부터 대형 광학가공 및 측정기술을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항공우주연구원 등과 협력하여 고해상도 위성카메라 국산화를 위한 핵심 부품과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엔 지름 2m의 광학망원경 제작 시스템을 독자 구축한 가운데 우주.항공 분야의 대형 비구면 광학거울 뿐 아니라 대형 디스플레이, 차세대 반도체 노광장치 등 다양한 광산업분야에도 적용하여 국내 광산산업이 기술적으로 한 단계 도약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 PDF

롤플레잉 게임에서의 자아 정체성에 관한 연구 -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lf-identity in Role-playing Games - Focused on Lacan's Psychoanalysis)

  • 샤오종이;최원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475-487
    • /
    • 2024
  • 오늘날 롤플레잉 게임은 '제9의 예술'로서 초현실적인 주제와 사회적 이슈를 반영해나가고 있으며, 플레이어는 스토리텔링과 게임의 전개를 통해 자신의 역할을 설정, 수행해나간다. 이에 연구자는 롤플레잉 게임 속에서 주체가 라캉의 '거울 단계'의 메커니즘과 같이 자아의 정체성을 설정한다고 주장한다. '플레이어'로서의 주체가 게임에 대한 해석을 통해 게임의 질서 속으로 이동되고, 게임이 부과하는 욕망에 의해 구조화된다. 롤플레잉 게임의 몰입적 경험과 정서적 유입은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을 부상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욕망하는 주체가 게임의 플레이어로서 대치된 욕망에 근접하게 되고, 자아 정체성이 변화하게 됨을 규명하고자 한다.

회전 운동 잔여 효과의 확산 현상: 전역적 운동 탐지기의 순응에 대한 증거 (Spreading of motion aftereffect for rotational motion: Evidence of adaptation of global motion detector)

  • 감기택
    • 인지과학
    • /
    • 제16권1호
    • /
    • pp.17-27
    • /
    • 2005
  • 움직이는 패턴을 오랫동안 본 후에 정지된 패턴을 보면. 정지된 패턴이 운동 패턴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지각되는 운동 잔여 효과(motion aftereffect: MAE)가 발생된다. 이 현상에 대한 고전적인 설명과는 달리 복잡운동의 MAE는 운동 순응이 발생되지 않은 영역에까지 확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 정보 처리 과정에서 MAE의 확산 현상이 발생되는 신경기제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서 하모닉 나선형 패턴을 운동 순응 자극으로 사용하여 고리모양의 창에 제시한 후, 순응이 발생된 고리영역과 순응이 발생되지 않은 안쪽 영역 모두에서 MAE를 측정하였다. 순응자극과 동일한 영상과 거울상을 각각 검사자극으로 사용하여 MAE를 측정하고 두 조건에서 발견된 MAE를 비교하였다. 하모닉 나선형 자극의 특징은 동일 영역에 제시된 원영상과 거울상의 윤곽 방위의 차이가 90도라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거울상의 경우 국소 운동 정보를 추출하는 탐지기 수준에서는 순응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실험 결과 순응된 영역에서의 MAE 지속시간은 동일상 조건이 거울상 조건보다 더 길게 나타났지만, 운동 순응이 없었던 영역(운동 잔여효과의 확산 영역)에서는 두 조건간 유의한 차이가 발생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복잡운동(complex motion)의 MAE 화산은 국소 운동 정보가 추출되는 V1과 같은 초기 단계에 있는 신경세포의 순응이 아니라 복잡 운동이 처리되는 MSTd 에 있는 신경세포들의 순응에 의해서 발생됨을 시사한다.

  • PDF

머리 움직임이 자유로운 안구 응시 추정 시스템 (Eye Gaze Tracking System Under Natural Head Movements)

  • 김수찬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1권5호
    • /
    • pp.57-64
    • /
    • 2004
  • 한 대의 카메라와 반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2개의 거울, 그리고 별도의 적외선 광원을 이용하여 자유로운 머리 움직임이 가능한 안구 응시점 추정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거울의 회전 각도는 카메라의 광축(opticai axis) 상에 안구가 올 수 있도록 공간 좌표계와 선형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수평 방향으로 90cm 수직 방향으로 60cm 범위 내에서의 머리 움직임이 가능하였고, 응시점의 공간 해상도 각각 6°, 7°이며, 시간 해상도는 10~15 frames/sec이었다. Generalized regression neural networks(GRNN)을 기반으로 하여 2단계의 GRNN을 거치는 소위 hierarchical generalized regression neural networks(H-GRNN)을 이용하여 얻어진 인자를 모니터 좌표로 변환하였다. GRNN을 한번 사용하였을 경우 정확도가 85%이었으나 H-GRNN을 이용할 경우 약 9% 높은 94%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입력 파라미터의 정규화를 통하여 재보정의 불편함을 제거했을 뿐만 아니라 약간의 얼굴 회전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동일한 성능을 보였다. 본 시스템은 공간 해상도는 크게 높지 않으나 자유로운 머리 움직임을 허용되므로 안정성과 피검자의 활동에 제약을 줄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