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미상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초

파종방법을 달리한 수원 및 이천 지역 소규모 수도포장에서의 절지동물 군집 (Arthropod Community in Small Rice Field associated with Different Planting Methods in Suwon and Incheon)

  • 이준호;김광호;임언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5-66
    • /
    • 1997
  • 파종방법을 달리한 논생태계내 절지동물의 군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담수직파, 건답직파, 이앙구의 3포장과 이천에 위치한 담수직파, 이앙구 2포장을 선정하여 1994년도에 조사하였다. 절지동물은 총 15목 45과가 채집되었다. 절지동물군집을 기능군(길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두 지역 모두 파종 방법에 관계없이 밀도가 '천적군>해충군>비해충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해충군에는 멸구과(Delphacidae)의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Horvath),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en)와 매미충과(Cicadelidae)의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Uhler)이 우점종들이었고 전체 해충군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파종방식에 따른 해충밀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천적군에서는 거미류가 전체 천적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그 중 배회성 거미(hunting spider)와 50% 이상이었고 늑대거미과(Lycosidae)의 황산적거미(Pirata subpiraticus Bos. et St.)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조망성 거미류(webbing spider)에서는 갈거미과 (Tetragnathidae)의 턱거미(Pachygnatha clerki Sundevall)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파종방식에 따른 거미군 집구성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비해충군은 본답 초기에 깔따구류 등의 파리류가 주종을 이루었고 벼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파리류의 발생은 기계이앙구보다 직파구에서 많았으며 특시 건답직파구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 PDF

깡충거미 표면 접착장치의 미세구조 분석 (Fine Structural Analysis of the Attachment Devices in the Jumping Spider Plexippus setipes)

  • 문명진;박종구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149-156
    • /
    • 2009
  • 거미의 외골격은 그 특성상 소수성이며 접착성이 없는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일부 배회성 거미들은 부드럽고 건조한 표면을 따라 보행할 수 있는 독특한 접착장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거미류 접착보행 장치의 미세구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깡충거미과의 세발깡충거미 (Plexippus setipes)를 실험재료로 하여 4쌍의 보행지에 형성된 접착장치를 고배율의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보행지에서 2개의 발톱(claw)과 강모다발 (scopula)이 관찰되었는데, 건조한 표면에 대한 부착력은 강모다발의 특이한 구조로부터 발생됨이 확인되었다. 각 보행지마다 약 160개의 강모 (seta)가 관찰되었는데, 표면과 접촉을 이루는 방향에 따라 두 집단의 강모다발로 구분되었다. 강모의 배면을 따라 형성된 무수한 감각모로 인해 인접 강모들과의 접착이 차단되어 있었고, 강모의 복면에서는 고밀도로 밀집된 미세강모 (setule)들이 관찰되었다. 미세강모의 첨단부는 역삼각형의 주걱모양으로 펼쳐져 충분한 접촉면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미세강모의 유연성과 그 표면에 형성된 큐티클 함몰부의 미세구조 등이 깡충거미류 부착장치의 특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도해충(水稻害蟲) 천적(天敵)의 보호(保護) 및 이용(利用)에 관(關)한 기초(基礎) 연구(硏究) (Feasibility Studies on the Biological Control by Augmentation and Conservation of Natural Enemies of Rice Paddy)

  • 장영덕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8-28
    • /
    • 1981
  • 수도해충(水稻害蟲) 천적(天敵)의 개발(開發)과 이들의 계절적(季節的) 밀도변동상황(密度變動狀況)을 파악(把握)하고 천적(天敵)에 안전(安全)한 약제철(藥劑撤) 포(布) 시기(時期)를 구명(究明)하는 한편 선택성(選擇性) 약제(藥劑)를 선발(選拔)하여 이들 천적(天敵)을 보호증식(保護增植)할 수 있는 종합방제확립(綜合防除確立)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저 본(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마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논보다 논뚝이 보다 천적(天敵)이 풍부(豊富)하고 다양(多樣)하였으며 가장 많은 종류(種類)로서는 Braconid, Mymarid, Pteromalid등이었다. 이들 기생봉(寄生蜂)의 활동(活動)이 가장 활발(活發)한 시기(時期)는 8하(下)~9중순(中旬)이었다. 2. 논에 누식(累息)하는 포식성천적(捕食性天敵)인 거미로 Pirata subpiratious (황산적 거미)가 전체(全體) 논거마의 7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1년(年)에 3회(回) 발생(發生)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Gnatonarium dentatum(황갈애접시거미), Pachygnatha clerki(턱거미), Clubiona Japonicola(노랑염낭거미)등이 많았다. 3. 기생봉(寄生蜂)과 포식(捕食)거미의 활동(活動)이 가장 활발(活發)한 시기(時期)는 8상(上)~중순(中旬)과 9상(上)~중순(中旬)이 었으며 가급적(可級的)이 시기(時期)를 피하(避)여 방제(防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현재(現在) 사용(使用)하고 있는 수도용(水稻用) 살충제(殺蟲劑)들의 선택독성(選擇毒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벼멸구 보다 황산적거미가 3.1~125.5배(倍), 황산적거미 보다 황갈애접시거미가 1.1~73.1배(倍)나 더 강(强)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5. Padan, Oiazinon, Carbofuran등(等) 3 종(種)의 약제중(藥劑中) 실제(實際) 단장(圃場)에서 논거미 밀도(密度)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Padan이 비교적(比較的) 적은 편(便)이었다.

  • PDF

Cystoperitoneal Shunting after Fenestration of an Enlarging Arachnoid Cyst

  • Jeon, Ik-Chan;Kim, Min-Su;Kim, Seong-Ho;Jang, Sung-Ho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160-164
    • /
    • 2008
  • 재태 38주에 시행한 산전 검사상 우연히 발견된 거미막 낭종을 가지고 태어난 생후 2개월된 여아가 지속적인 과민상태를 나타내었다. 이후 시행한 두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수두증을 동반하여 크기가 증가된 거미막 낭종이 관찰되었다. 우리는 상기 소견에 대하여 개두술하에 낭종 개창술을 시행하였으나 낭종의 크기가 줄어들지 않았고, 13개월 이후에 시행한 경과관찰에서 수두증이 악화된 소견을 보였다. 환아는 이후 낭종-복막간 단락술을 시행하였으며, 5년뒤 시행한 두부 자기공명영상에서 낭종의 크기 감소와 더불어 뇌수두증이 해소되었다. 거미막 낭종 자체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은 드문 현상이며, 아직까지 이에 대한 명확한 수술적 치료는 나와 있지 않다. 우리는 이 증례를 통하여 수두증이 동반된 크기가 증가하는 거미막 낭종의 치료에 있어서 낭종-복강간 단락술이 적절한 수술적 치료법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 PDF

춘천지방의 거미상 (The Spider Fauna of Chun Cheon area, Kangweon do, Korea)

  • 남궁준;백남극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1-137
    • /
    • 1973
  • This paper is given for the first time as a list of spiders from Chuncheon area, in land of kang-weon-do, mid-eastern part of Korea. Materials were collected during the early August 1972 by the Biological members of the chuncheon girl's high school, in chuncheon area. In addition to this materials collected by paik and Nam kung during July 1973 at Mt. Sam-ak which is located on south-west of chuncheon were examined. 1) In this paper, tile authors record 105 species of spiders belonging to 22 families, including 4 undetermined species from chuncheon area. 2) The followings are newly added to the spider fauna in Korea. a) Curstulina sp. b) Zelotes asiaticus(BOES. et STR.) 3) These materials are not sufficient for general discussion of the spider fauna of chuncheon area, however, an outline can be summarized as follow: 21 northern species $(20.8\%)$ 5 southern species $(5.0\%)$ 3 cosmopolitan species $(3.0\%)$ 72 plaearctic species $(71.2\%)$

  • PDF

대흑산도와 홍도의 거미상 (The Spider Fauna of Is. Dae Heucksan-do and Is. Hong-do, Korea)

  • 남궁 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1-166
    • /
    • 1978
  • Is. Dae Heucksan-do and Is. Heucksan-do and Is. Hong-do are located in the southwestern, apart 110km from Mockpo city, Korea., and the spider fauna of this area has never been explored. The author collected the spiders from these Islands in August 1974. Findings were; 1) 83 species of spiders belonging to 17 families, including 5 undetermined species. 2) Leptoneta sp., Carrhotus sp. (A), Marpissa sp. and Synagelides sp. are reserved for future study. 3) The materials were not sufficient for general discussion and conclusions of the spider fauna of these Islands. However,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7 northern species $8.9\%$ 9 southern species $11.5\%$, 4 cosmopolitan $5.1\%$ 4) The common species of mainland China were 41 $51.9\%$. 5) As the result of this survey, the spider fauna of this area is similar to that of the Is. Cheju-do and Is. Tsushima, in the south eastern area, and have much more common to China than any another area in Korea.

  • PDF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상에서의 캠퍼스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ampus Navigation System on Android Smartphone)

  • 최영웅;이장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66-167
    • /
    • 2016
  • 작은 캠퍼스를 지닌 대학교는 많은 건물이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신입생들이나 방문객들이 캠퍼스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가고 싶은 건물과 층수를 입력하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상에서의 캠퍼스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제시한다.

산왕거미 (Araneus ventricosus) 심관과 심근세포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the Heart Tube and Its Cardiac Muscle Cells in the Spider, Araneus ventricosus)

  • 최재영;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4호
    • /
    • pp.325-333
    • /
    • 2003
  • 왕거미과 산왕거미(Araneus ventricosus)의 심관과 심근세포의 미세구조적 특성을 주사형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거미의 심관은 복부마디의 등쪽에 분포되어 있고, 심외막과 심근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심근층의 근섬유들은 종축을 중심으로 나선상의 배열을 이루고 있었고, 내막이 없이 혈림프에 직접 노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심관의 외부 표면에서는 3쌍의 심문이 형성되어 있었고, 내강에서는 원형질혈구와 과립혈구, 그리고 편도혈구 등 다양한 유형의 혈구들이 관찰되었다. 특히 심관의 내강을 향해 돌출된 심근돌기 주위에서는 편도혈구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편도혈구의 세포질에는 유리 리보조옴이 산재되어 있었고 핵에는 이질염색질과 인이 발달되어 있었으나, 심근층 조직과의 특이한 연접은 관찰되지 않았다. 심근층에는 횡문이 형성되어 있었고, Z-line을 중심으로 근절의 구조를 이룬 근원섬유의 주위에서는 미토콘드리아와 근소포체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었다. 심관의 배면을 따라 뻗은 신경절의 축삭들이 심근세포와 신경근육간 연접부를 형성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쥐불놀이 (논둑태우기)가 해충 및 천적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Levee-burning on the Fauna of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 김홍선;이영인;이해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9-215
    • /
    • 1990
  • 녹둑태우기가 벼해충 및 천적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향 1987년 2월 20일 수원시 서둔동에 위치한 시험포장의 논둑$(72\times1m)$에서 불태운 곳과 태우지 않은곳에서의 해충 및 천적밀도를 조사한 결과 불태운 직후에는 논뚝이다 그 주변에 해충(주로 애멸구약충)도 천적(주로 거미류)도 하나도 없었다. 불태운 후 약 60일이 지난뒤에는 식생과 동물상이 서서히 회복되기 시작하여 불태우지 않은 곳에 비하여 불태운 곳의 초생이 왕성하여졌고 75일이 지난뒤 (5월 상순)에는 해충과 천적의 밀도가 높아졌다. 해충이나 천적밀도를 회복시킨 개체들은 모두 가까운 주변으로부터 확산 되어 온 것으로 추정되며 만일 불태운 면적이 훨씬 더 넓었을 경우에는 곤충류의 밀도회복에 더 긴 시간이 필요할 것이며 날개가 없는 거미류는 날개가 있는 해충류보다 밀도회복에 더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황산적거미는 $9^{\circ}C$에서 섭식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일반 해충류(특히 애멸구)보다 발육임계온도가 낮으므로 이른봄의 영야요구도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며 아울러 불태운곳에서 살아남을 확률이 일반 해충류보다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쥐불놀이(음력 정월 대보름)를 하는 날짜가 해에 따라 대부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논둑에서 월동하는 절족동물중 해충류보다 천적류(거미류)의 발육임계온도가 낮기 때문에 쥐불놀이에 의한 천적류의 사망율이 해충류보다 높을 거승로 추정되므로 추후 대규모 시험이 필요할 것이나 현재의 입장에서 볼때 쥐불놀이가 논둑이나 제방에서 월동하는 해충류의 방제에 공헌할 것이라는 논리를 학문적으로 정당화 시키기에는 근거가 미약한 것으로 생각된다.부의 flux를 나타냈다.껍질에서만 검출되었다. $\delta_A=0.30$ 이 값은 A, B자리 모두 $Fe^{3+}$에 해당된다.라 수집하는 것이 최선의 망 운영방법이다. 자동관측시스템(AWS) 설치 시 기존의 무인감시카메라와 무선중계탑을 최대한 활용하되 무인감시카메라 설치위치$(70\siml,245m)$와 무선중계탑의 설치위치 $(299\sim1,573m)$가 산불위험지역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산불 등 각종 산림재난 방지와 관련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동기상관측시스템(AWS)의 설치 위치는 산불발생확률모형에서 산정된 위험지역 내에 설치하는 것이 산불발생 위험지역을 판정하는데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기상청과 지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기상관측 장비들은 대부분 도시를 중심으로 설치 운영되고 있어 산림 또는 산악에 설치된 기상관측 장비의 수는 적은 편이다. 따라서 산림과 산악에 기상관측 장비의 보강은 필수적이다. 관측망 구성은 기상청의 관측 표준(안)을 준수하며, 설치 지점의 특성에 따라 가장 경제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장비구매 설치 시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차후 장비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소지가 있어 가능한 우수한 제품을 선택하되 동일 제품 사용을 권장한다. 따라서 위의 망구축이 이루어져 현재 기상청이 설치 운영하고 있는 측정 장비에 의해 취득한 기상자료를 공동 활용하여 표출하면 더욱 상세한 자료의 획득과 활용이 기대되어 진다. 또한, 금번 논문에서는 산불위험지역의 격자점(15km)내에 최소한 1대의 AWS 설치방안을 제시하였지만, 금후에는 15km내에서도

  • PDF

천곡동굴의 생물상소처

  • 김병우
    • 동굴
    • /
    • 제27권28호
    • /
    • pp.85-91
    • /
    • 1991
  •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용굴, 대이굴 한선굴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 강원도의 동굴동물로서 확인된 것은 9강 309 141종이며 강별로는 충강이 9목 50종 주형강이 4목 49종 갑각강이 6목 18종의 순으로 우세하고 목별로는 거미 목이 15과 39종, 톡토기목이 7과 20종, 딱정벌레 목이 8과 15종으로 우세한 편이다(남, 1987)(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