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대 세포종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2초

제1 중족골에 발생한 재발성 거대 세포종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Recurrent Giant Cell Tumor Occurring at the First Metatarsal)

  • 김갑중;이광원;이종신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82-186
    • /
    • 2019
  • 거대 세포종은 양성 종양으로 분류되지만 국소 재발이 매우 흔하며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는 종양으로 주로 슬관절 주위에서 발생한다. 거대 세포종이 족부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제1 중족골에 발생하는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성인의 제1 중족골에 발생하는 거대 세포종의 특징 및 치료 방법도 아직 확실하게 정립된 것이 없다. 이에 저자들은 제1 중족골에 발생한 재발성 거대 세포종에 절제술 시행 후 비혈관성 자가 비골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슬부에 발생한 낮은 악성도의 연부조직 거대 세포종 - 증례 보고 - (Soft Tissue Giant Cell Tumor of Low Malignant Potential - Case Report -)

  • 이은우;강기서;강수용;이한준;김종원;이기현;박영욱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1-104
    • /
    • 2003
  • Folope 등(1999년)은 악성 연부조직 거대 세포종과 임상적, 병리학적,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유사하나, 악성도가 낮은 연부조직 거대 세포종을 보고하였다. 본 교실에서 치료한 1례는 30세 여자 환자로 내원 1년전부터 우측 슬관절 전외측부에 만져지는 종물과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절제 생검을 통한 조직학적 소견상 거대 세포와 함께 호산성 세포질과 소포성의 핵을 지닌 다형성의 기질 세포 병변은 낮은 악성도의 연부조직 거대 세포종에 합당하였고, 이에 저자들은 낮은 악성도의 연부조직 거대 세포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자연 소실된 거대 세포종의 광범위한 폐전이 - 1예 보고- (Spontaneous Regression of Extensive Pulmonary Metastasis of Benign Giant Cell Tumor of Bone - A Case Report -)

  • 박루뽀;이상훈;조환성;김준혁;김한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44
    • /
    • 2004
  • 거대 세포종은 일반적으로 양성 골종양이지만 드물게 폐로 전이하는 특성이 있다. 임상적으로 거대 세포종의 폐 전이는 지속적으로 진행하기도 하지만 종종 스스로 성장이 정지하거나 또는 자연 소실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거대 세포종의 광범위한 폐전이가 자연 소실된 예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슬관절내에 발생한 국소형 거대 세포종 - 1예 보고 - (Localized Giant Cell Tumor in Knee Joint - 1 Case Report-)

  • 조진호;왕국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0-194
    • /
    • 2007
  • 거대 세포종은 서서히 자라는 일측성의 국소형 종물로서 수부에서 흔하고 고관절, 족지관절에서도 보고되나 슬관절내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이에 저자들은 슬관절 관절강내에서 발생한 거대 세포종 1예를 관절경하에 제거한뒤 병리학적으로 확진하였으며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거대 세포종에서 발생한 골육종 - 2례 보고 - (Osteosarcoma Arising from Giant Cell Tumor - 2 Cases Report -)

  • 한정수;이영호;하정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4-150
    • /
    • 2001
  • 양성 거대세포종의 방사선 치료후 발생한 골육종은 드물지 않으나, 거대세포종의 수술적 처치후 자연적으로 악성 전환한 골육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높은 사망률을 가지는 악성종양이다. 대퇴골 원위부에 발생한 양성 거대세포종을 소파술과 골이식술 또는 시멘트 충진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후 추시기간 2년 1개월, 9년 8개월에 동일 부위에서 악성전환으로 인해 발생한 골육종 2례에 대하여 화학요법 및 광범위 절제술과 재건술로 치료하여 추시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골육종으로 악성 전환된 거대 세포종 - 증례 보고 - (Malignant Transformation to Osteosarcoma from GCT)

  • 조완형;이승준;조상현;이수용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7-172
    • /
    • 2007
  • 거대 세포종(GCT)의 악성화 (malignant transformation)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악성화는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방사선 치료 없이 악성화 하는 경우는 더욱 더 드물게 보고 되고 있다. 방사선 소견만으로는 진단하기 어려우며, 병리학적 진단 또한 종종 쉽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후가 매우 불량하여 신속한 진단을 통해 공격적 치료를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최초에 거대 세포종으로 진단되었다가 재발 후 골육종으로 악성 전환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경골 근위부에 발생한 거대세포형 골육종 - 증례 보고 - (Giant Cell-Rich Osteosarcoma of the Proximal Tibia - A Case Report -)

  • 김정렬;장규윤;이상용;손경락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0
    • /
    • 2006
  • 거대세포형 골육종은 드문 종양으로 거대세포종과의 구분이 어렵다. 이들 종양은 발생 부위 및 방사선학적 소견이 동일하다. 또한 이들 종양의 조직학적 소견도 구분이 어렵다. 이들 두 종양의 서로 다른 예후와 치료 방법 때문에 처음 진단시 반드시 정확한 진단을 내려야 한다. 본 논문은 처음 진단 당시 침생검에 의해 거대세포종으로 진단되었던 경골 근위부의 거대세포형 골육종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수부 건초에서 발생한 거대 세포종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 세포종의 비교)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in Hand (Comparative Studies Between Single and Multifocal Lesions))

  • 이승구;강용구;박원종;양성철;신윤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2-60
    • /
    • 2003
  • 목적: 건초에서 발생하는 거대 세포종(황색종)은 수부에서 발생하는 양성 연부조직 종양중 낭종 다음으로 흔하며, 수술 절제후, 간혹 재발 되기도 한다. 대부분 단발성으로 발생하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는 다발성이며 대칭적 발생을 보인다. 저자들은 수부 건초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임상적 특성과 수술 절제후 장기 추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특히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세포종 환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만 8년간 본 병원에서 수술 가료후 건초의 거대세포 종으로 확진된 총 21예(다발성 3예 포함)를 대상으로 임상 및 X-선상 분석을 하였으며, 수술 절제후 평균 16개월(3~46개월) 추적하여 재발여부 및 단발성과 다발성 거대세포종의 임상 과정을 비교 하였다. 결과: 총 21예중 14예(66.7%)가 여자였으며 40대에서 16예(76.2%)로 빈발하였고 평균 연령은 47세(19~68세)였다. 단발성 거대세포종 18예중 수지별 발생은 인지와 환지가 각4예씩, 소지(3예), 중지(2예) 및 모지(1예)의 순이었고, 수장부의 발생이 4예였다. 원위 및 중위 지골 부위가 9예(50%), 근위 지골 부위가 4예, 중수지골 및 중수지절 부위가 2예였다. 신전건(7예)보다 굴곡건(11예) 건초 이환이 더 많았고(양측 건이환 3예), 증상 발현에서 수술까지의 지연은 평균 14개월(3~48개월)이였다. 다발성 거대세포종 3예중 1예는 인지와 중지의 중위지골 부위에 발생하였고, 2예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동반한 20대 남자들에서 대칭적 거대세포종이 수부를 포함하여 22곳 및 12곳등 다발적 이환을 보였고, 외형상의 돌출로 보기 흉하거나 기능 제한을 초래하는 부위만 선택적으로 아전절제하였다. X-선상 연부조직 음영 증가외 4예에서 종괴의 압박에 따른 피질골 미란과 파열소견을 보였다. 수술시 3예에서 수지 신전건과 굴곡건의 양측 건초를 모두 침범하는 넓고 큰 다엽상 소견을 보였으며, 평균 16개월 추적중, 총 18예중 3예에서 재발(16.7%)하였다. 이들 재발예는 단발성 거대세포종중 굴곡건과 신전건 건초를 광범위하게 다엽상 이환을 하였거나 술전 X-선상 골피질의 파열이나 골미란등이 있어 불완전 절제를 시행한 경우들이었으며, 재 광범위 절제 하였고 추적 관찰 중이다.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세포종은 종괴의 병리 조직학상 유사함을 제외하면, 발생 기전이나 침범 부위와 정도, 동반 질환은 물론 치료와 예후에도 차이가 많아 서로 다른 질환으로 판단된다. 결론: 수부의 건초에서 발생하는 거대세포종(황색종)은 드물지 않은 종양으로 완전 절제가 필수적이며, 특히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는 다발성 건 황색종을 동반 할수 있어 치료에 유의해야 한다.

  • PDF

방사선 조사 없이 속발한 거대 세포종의 악성 전환 (Malignant Transformation of Giant Cell Tumor Not Associated with Radiotherapy)

  • 이상훈;오주한;유광현;서성욱;안준환;김한수;임수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19
    • /
    • 2002
  • 목적 : 거대 세포종이 방사선 조사 없이 악성 전환하는 것은 매우 드문 경우로 저자들이 경험한 4례를 분석하여, 흔하지 않은 악성 전환된 거대 세포종의 진단과 치료의 방침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9월부터 2001년 1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했던 거대 세포종 112례 중 방사선 조사 없이 악성화한 4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악성전환 후 평균 추시 기간은 2.4년(최저 1.3년, 최고 4년)이었다. 결과 : 거대 세포종의 진단 후 악성 전환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6.9년(최저 2.2년, 최고 13.5년)이었고, 근위 상완부 연부 조직, 근위 대퇴골, 원위 대퇴골, 근위 경골에 각각 1례씩 발생하였다. 3례에서는 골 육종으로, 1례에서는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으로 악성 전환이 일어났으며, 국소 재발은 1례, 폐 전이는 골 육종으로 악성 전환한 3례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결론 : 방사선 조사 없이 속발한 거대 세포종의 악성 전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병리 조직의 철저한 채취가 매우 중요한 요소라 사료되며, 방사선 소견상 악성 전환이 의심될 때는 부적절한 절제술을 시행하기보다는 절개 생검을 먼저 시행한 후 치료 방침을 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지 중지골에서 발생한 거대 세포 육아종 (Giant cell Reparative Granuloma of the Middle Phalanx of the Index Finger)

  • 박종석;최호림;이상선;오미혜;문명상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9-123
    • /
    • 2007
  • 거대 세포 육아종(Giant cell reparative granuloma)는 흔하지 않는 양성 종양으로 상악골이나 하악골에서 흔하다. 그러나 수지에서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는 21세된 남자 환자로 인지에서 발생한 거대 세포 육아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조직학적으로 거대 세포 육아종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