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방형 기술협력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4초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술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Technology Management Strategy for Activating the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 이원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11-219
    • /
    • 2014
  • 본 논문은 개방형 혁신 환경하에서 산학기술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술경영전략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경영의 중요성과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내부기술혁신과 외부혁신자원의 활용과 산학협력의 균형관점에서 기술경영의 프레임을 고찰하였다. 현재 개방형 혁신 환경하에서 기업이 성공적인 기술경영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업은 산학협력전략을 추진해야한다.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업의 기술경영전략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 개방형 환경을 고려한 산학협력전략을 추진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조직내 전략기술로드맵을 활용할 수 있다. 둘째, 기업은 개방형 혁신시스템을 조직내에서 도입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조직내 문화도 NIH신드롬을 극복하고 개방형으로 전환해야 한다. 셋째, 기업은 기업, 대학, 연구소 등 다양한 혁신주체들과 다양한 목적으로 협력이 가능하도록 협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조직내에 갖추어야 한다.

개방형 혁신의 협력대상자 탐색을 위한 BSC-AHP 프레임워크 제안 (BSC-AHP Framework for the Partner Selection in Open Innovation Practice)

  • 전정환;금영정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1호
    • /
    • pp.25-48
    • /
    • 2016
  • 개방형 혁신이 비즈니스 현장 및 학계의 관심을 받으면서, 개방형 혁신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개방형 혁신의 프로세스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 온 기존 연구는 협력대상자를 어떻게 선정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개방형 혁신에서 협력대상자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업/기관과 협력했을 때 기업의 성과가 어느 정도로 향상되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협력대상자와의 협력 이후의 성과를 보다 체계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협력대상자 탐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Balanced ScoreCard (BSC)와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가 결합된 평가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즉 협력대상자의 선정에 있어 협력 이후 기업의 성과를 가장 최대화할 수 있도록 협력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BSC를 활용하며, BSC 프레임워크에서 활용된 구체적 평가기준들 간의 가중치를 산정하고 실제 협력대상자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다기준 의사결정 방법인 AHP를 활용한다.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활동 특성과 외부 협력 네트워크 분석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Open Innovation Activity and the External Collaboration Network in SMEs)

  • 이희연;이세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7-165
    • /
    • 2012
  • 이 논문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기술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되고 있는 개방형 혁신활동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중소기업들이 기술혁신 과정에서 어떻게 외부와의 협력 네트워크가 구축되며, 실제로 어떤 단계에서 개방형 혁신활동이 이루어지는 가를 분석하였다.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개발을 경험한 3,4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개방형 혁신활동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기술혁신과정의 어떤 단계에서 어떻게 개방형 혁신활동이 이루어지는 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충북테크노파크에 입지한 14개 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심층 인터뷰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 자체의 혁신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아이디어 단계 및 기술개발 단계에서 개방형 혁신활동을 통해 외부로부터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며, 기업이 혁신적일수록 개방형 혁신활동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고, 이직이나 창업과 같은 노동시장의 유연성도 나타나고 있다.

  • PDF

중소기업의 결합형 개방형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R&D 및 R&D 이외의 혁신협력활동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upled Open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n Firm Performance: Focusing on R&D and Non-R&D Innovation Cooperation Activities)

  • 박지훈;이정우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177-205
    • /
    • 2022
  •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와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 혁신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개방형 혁신에 참여한다. 기존 연구들은 중소기업이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개방형 혁신활동의 성과효과를 연구하였으나, 특히 결합형 개방형 혁신활동의 성과효과에 대한 결과가 혼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결합형 개방형 혁신협력활동을 'R&D 협력활동'과 'R&D 이외의 협력활동'으로 세분화하여, 각 활동이 기업의 혁신성과와 재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Heckman의 2단계 모형을 적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 데이터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주관의 국가승인통계인 '2020년 한국기업혁신조사: 제조업 부문'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중소기업의 R&D 협력활동은 시장최초 상품혁신 성과에만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있고, R&D 이외의 협력활동은 상품혁신, 비즈니스프로세스혁신, 시장최초 상품혁신, 자사최초 상품혁신 모두에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유형의 혁신협력활동 모두 재무성과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혁신협력활동의 성과효과는 중소기업 내에서도 기업규모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맥락의 개방형 혁신 연구에 이론적으로 기여하며, 중소기업 경영자의 혁신전략 수립 및 관련 정책입안자의 정책 방향 도출에 참고가능한 지침을 제공한다.

개방형 혁신은 새로운 혁신 방법론인가?: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

  • 김석관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년도 동계학술발표회
    • /
    • pp.123-15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그것이 기술경영 이론에서 지니는 정확한 위치와 의의를 진단함으로써 그가 정말 기여한 부분은 어디인지를 평가한다. 개방형 혁신이란 기업이 연구, 개발, 상업화에 이르는 일련의 혁신 과정을 개방하여 외부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혁신의 비용을 줄이고 성공 가능성을 제고하며 부가가치 창출을 극대화하는 기업 혁신의 방법론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 글의 결론은 개방형 혁신이 현상적으로도 최근의 현상이 아닐 뿐 아니라, 이론적으로도 기존의 내용과 다른 것이 없다는 것이다. 즉, 그의 개방형 혁신은 이름은 새롭지만 그 내용을 보면 새로운 혁신 방법론은 아니라는 평가이다. 그가 기여한 것은 기존에 이미 연구된 여러 주제들을 개방형 혁신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묶어줌으로써 기업 전략을 위한 통일된 프레임웍을 제공한 것에 있다. 이런 점에서 그는 기술혁신 방법론에 대한 일종의 "아키텍처 혁신"을 시도한 셈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 활발해진 개방형 혁신의 배경으로서 지식 환경의 변화를 강조한 것도 그의 기여라고 볼 수 있겠다.

  • PDF

개방형 구조를 갖는 CNC의 연구동향

  • 김선호;박경택;이태억
    •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 /
    • 제3권5호
    • /
    • pp.17-30
    • /
    • 1997
  • 개방화 연구라는 것은 그 자체가 특정 제품을 구체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가능성 제공에 있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개방화 기술은 향후 새로운 기술장벽으로 작용할 수도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관련 분야의 연구를 조직화하여 선진제국의 개방화 연구와 협력, 교류할 필요가 높아지고 있다. 참고로 일본의 OSEC II 프로젝트는 해외 연구기관 및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고 한다.

  • PDF

과학기술단체간 소통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연구회를 중심으로

  • 정기덕;조형례;정선양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7-287
    • /
    • 2011
  •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정책방향이 기존의 '모방형' 혁신체제의 구축에서 '창조형' 혁신체제의 구축 및 운용으로 전환하게 되면서 연구개발의 목표 자체가 창조적 연구의 결과물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 전문가들의 주도로 국가연구개발 투자의 방향과 내용을 기초연구 및 협력연구 중심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는데, 특히 기초연구 및 창의적 연구는 개별적인 연구도 중요하지만 과학기술지식의 공유 및 협력적인 연구가 대단히 중요하게 요구되어진다고 보여진다. 최근 과학기술의 빠른 환경변화에 적응해야 하며, 그 발전과 성과에 있어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통한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과학기술계도 더욱 이러한 협력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회, 과총 및 과학기술유관단체 간 소통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하여 과학기술 유관단체들의 전문성 향상에 공헌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과학기술단체들이 국내외의 과학기술 주요 이슈에 대한 공동의제를 발굴, 연구하게 하여 중장기적으로 연구회 및 과총 그리고 과학기술 유관단체의 사회적 기여도를 제고하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 PDF

개방형 혁신 성과향상의 선행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공급사와의 신제품개발협력을 중심으로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mproving Open Innovation Performance : Based on New Product Development Collaboration with Suppliers)

  • 이윤숙;강동창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050-107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외부 혁신 원천의 하나인 공급사와의 기술협력을 중심으로 기술협력의 선행요인들을 식별하고, 이들 선행요인들이 신제품 개발 성과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을 위하여 2012년 산업통상부와 생산성본부가 함께 수행한 600개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MPS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기술협력의 선행요인으로 신뢰, 통제 및 정보공유를 사용하였고 이들이 공급사와 구매사의 기술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 하였다. 또한 신뢰, 통제 및 정보공유가 기술협력을 매개로 하여 신제품 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두 기업 간 신뢰, 통제 그리고 정보공유는 공급사-구매사의 기술협력 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기술협력의 수준이 높을수록 신제품성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요인 중 신뢰는 기술협력을 매개로하여 신제품 성과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기업이 다양한 외부 조직과의 혁신활동 수행에 있어 참여조직 간의 사회적 자산인 신뢰의 형성 및 관리가 개방형혁신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의 지식창출 협력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개방성과 다양성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Types of Knowledge Creation in Korea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of S&T: Focusing on Openness and Diversity)

  • 박주형;이희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63-583
    • /
    • 2014
  • 본 연구는 지식창출 협력유형을 개방성과 다양성 측면으로 분류하고 출연(연)별 지식창출 협력 경향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개방성은 외부의존성과 협력주도성을, 다양성은 협력다양성, 협력집중성 지표를 정량화하여 기관 및 국가 레벨로 하는 4가지 분류모형을 제시하였다. 데이터는 26개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연구자가 포함된 SCOUPS DB의 39,50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성 측면의 기관 레벨에서는 출연(연)이 연구를 주도하기 보다 연구에 참여하는 형태로 다수의 외부기관과 협력하는 "다자간협력참여형" 유형으로, 국가 레벨에서는 다수의 기관이 "국외다수기관협력형"으로 분류되었다. 다양성 측면의 기관 레벨에서는 소수 혹은 특정기관에 집중되는 "편식협력형" 혹은 "단식협력형" 유형으로, 국가 레벨에서는 다수의 출연(연)이 "다수국가참여 특정국가집중형" 혹은 "소수국가참여 특정국가집중형" 유형에 집중되었다. 출연(연)이 경쟁력을 갖춘 지식을 창출하는 기관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외부조직과 협력을 하되, 연구를 주도하는 전략 혹은 연구생산성을 확보한 독자적 연구기관으로 전환해 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

카셰어링 산업의 개방형 혁신: (주)공카와 렌터카 업체간 개방형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Open Innovation in Car-Sharing Industry: Focusing on the Cooperation Case between Gongcar and Rental Car Company)

  • 황기연;박재홍;손영우;남우성;조연화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1호
    • /
    • pp.93-105
    • /
    • 2024
  • 카셰어링이란 공유경제의 대표적인 모델로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고 필요한 시간만큼 대여 또는 이용하는 서비스이다. 이 산업은 기술의 발전,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 증가, 도시 내 교통 혼잡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카셰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시장 점유율 확대 및 서비스 차별화를 위해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카셰어링 기업과 기존 렌터카 업체간 개방형 혁신 활동은 어떤 효과를 야기하는가?'라는 연구문제에 천착하여 카셰어링 기업과 기존 렌터카 업체 간의 개방형 혁신을 통한 협력을 수행하는 (주)공카와 기존 렌터카 업체 간의 개방형 혁신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주)공카는 (1)수요 기반의 유연한 차량 공급체인을 구축함으로써 시장 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갖추고, (2)성장 자본적 지출(Growth Capex)을 현저히 절감하는 효과를 야기했으며, 공카와 렌터카 업체 양사 모두 (3)핵심 KPI 지표 향상과 재무적 성과를 기록하며 성공적인 개방형 혁신을 수행해 왔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카셰어링 산업에서 본 연구는 카셰어링 산업에서 개방형 혁신이 어떻게 핵심적인 비즈니스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는지를 밝히며, 자원의존 이론을 바탕으로 개방형 혁신의 성공적인 실행 조건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