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발정책 및 계획수립

Search Result 35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ritical reviews of job training and employment support trial plans for immigrant women by marriage (결혼이민여성의 직업교육훈련 및 취업관련 시행계획의 비판적 검토)

  • Seong, Hyang-S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2
    • /
    • pp.6186-6195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learn what directions need to be reflected when establishing the next-term trial plans by analyzing the current trial plans being implemented in Korea regarding job training and employment support for immigrant women by marriage. For this purpose, the job training suggested in the Healthy Family Basic Plan and Multicultural Family Policy Basic Plan as well as in the Basic Economic Activity Stimulation Plans for Out-of-employment Women were analyzed. Based on this, job training was reconstructed into four categories: 1)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2) human resource development; 3) employment support; and 4) delivery system. For the analysis, the policy analysis methods reported by N. Gilbert and P.Terrile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rrent trial plans exhibited immaturity in the Tomorrow Learning Card and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as well as in the specialization process, lack of a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and the absence of governance. Several proposals should consider these when making the next-term trial plans.

A Development of Research Tool for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수학교육에 대한 우리나라 교사의 인식조사를 위한 조사도구 개발)

  • Kim, Hong-Kyeom;Jung, Sihun;Kim, Somin;Huh, Na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3 no.3
    • /
    • pp.355-376
    • /
    • 2019
  • Since the second comprehensive mathematics education plan was announced in 2012, many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based on it. However, due to many changes in various social situations and revision of the curriculum, new plans and policy proposals for mathematics education are strongly required. But, we need to recognize what the changes in the current social and educational situation ask for education in order to make meaningful policy.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n appropriate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and educational status of mathematics by analyzing forme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the related field and reflecting the educational situation in Korea. When developing questions, experts' opinions were consulted and preliminary on-site survey studies were conducted to maintain the sui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Through these procedure, 33 questions were developed in three areas: teachers' recognition on mathematics education, educational status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ICT utilization. It will be used as a tool to investigate math teachers' perception and current status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results from this survey will be useful for developing mathematics education policies for the future.

Comparative Assessment of Transportation Technology (도로교통 기술수준 평가)

  • Kim, Tae-Yeong;Park, Hee-S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6
    • /
    • pp.1395-1404
    • /
    • 2015
  • This paper provides information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ransportation technology, technology development, and transportation R&D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policy agenda. Technology classification structure and key words were established and survey was performed to identify key words of technology for transportation. Then, competitiveness of patents and journal articles is evaluated for Korea, USA, Japan, Germany, France, and England. As a result, USA is the most competitive country for all technology categories based on patents and journal articles. Korea is grouped in upper-middle class for overall transportation technology level. However, there are some variances among the level of technolog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to establish a road map for transportation R&D and plans.

산림청, 산림훼손 적극 방지키로 - 백두대간보전 등을 위한 '산림피해 확대방지대책' 수립$\cdot$시행

  • 한국산림경영인협회
    • 산림경영
    • /
    • s.139
    • /
    • pp.20-23
    • /
    • 1999
  • 산림청에서는 백두대간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골프장 설치등으로 산림이 무분별하게 훼손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산림피해 확대방지 종합대책'을 수립$\cdot$시행한다고 밝혔다. 산림청은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던 백두대간의 실체규명과 보전을 위하여 백두대간의 개념 및 보전에 필요한 사항 등을 2000년중으로 정립, 제도화하는 방안을 강구키로 하였다. 또한 건설교통부가 국토이용계획을 변경하고자 산림청과 협의할 때 적용하는 산림청의 '국토이용계획변경 협의기준'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금년 하반기에 개정하기로 하였다. 스키장$\cdot$골프장 등 설치로 백두대간이 훼손되지 않도록 백두대간 마루금 침범을 금지하는 내용으로 개정하고 집단묘지개발시 피해유발 우려가 있는 경사 30$\%$이상지역, 마사토지역과 경관지역은 묘지개발을 금지하게 할 계획이다. 또한 무분별한 산림형질변경을 제도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현행 시장$\cdot$군수로 되어 있는 산림형질변경허가권자를 시$\cdot$도지사로 상향하는 내용으로 금년중 산림법 시행령을 개정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특히 각종 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장마철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1년 이상 공사중단된 골프장은 6월중에 일제조사를 실시하여 장마철 집중호우시 수해위험에 있는 골프장에 대하여는 시$\cdot$도지사에게 요청하여 사업승인을 취소하거나 사업중지토록 할 계획이다. 산림경영 기반시설인 임도에 대하여는 피해방지 및 경관유지를 최우선하는 '환경친화적 녹색임도' 정책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기존의 부실 임도에 대하여는 7월부터 대대적인 구조개량 사업에 착수하고, 내년부터는 임도계획 단계부터 노선등의 적정여부를 사전평가하는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산림훼손으로 문제되고 있는 송전탑진입로는 산림 형질변경허가를 엄격하게 운용하기 위하여 앞으로는 한국전력으로 하여금 진입로 설치 대신 삭도$\cdot$모노레일$\cdot$헬기운반을 대폭 확대하도록 조치하였으며 또한 이미 공사완료한 곳 중 피해방지$\cdot$경관유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한국전력으로 하여금 설계를 변경하여 추가공사를 하도록 협의완료하였다고 산림청은 밝혔다.

  • PDF

Method of estimating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by administrative district (시군구단위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방안)

  • Chung, Il-Moon;Yoo, Sang-Yeon;Lee, Jeong-Woo;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24-1928
    • /
    • 2008
  •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 정책의 기조는 지속가능한 미래 청정 지하수의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하수의 지속적인 조사, 관측 및 체계적인 개발, 이용이 이루어지도록 추진중에 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은 10년빈도 갈수시 소유역의 연간 함양량으로 정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준은 1996년 지하수 관리 기본계획시 정해진 기준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은 기저유출분리법, 물수지 분석법, 지하수위 강하곡선법, 분포형 수문모형기법 중 한 가지를 사용하도록 기초조사 지침에 명기되어 있으며 함양량으로부터 개발가능량을 추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결과는 주로 유역 규모의 연단위 대표 함양량을 추정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어 개정지하수법 6조 2항에 의해 시군구 단위에서 수행하는 지역 지하수 관리 계획 수립과 같은 세부계획에는 활용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인 SWAT-MODFLOW 모형을 이용하여 10년 빈도 갈수년에 해당하는 함양량으로부터 시군구별 개발가능량을 산정하고 이를 지역의 이용수량과 비교하여 과부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Study on Assessment Institution of Urban Ecosystem in Korea (우리 나라의 도시생태계 평가제도 고찰)

  • 오충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2
    • /
    • pp.188-194
    • /
    • 2002
  • Assessment institution of urban ecosystem is divided into ‘Urban Planning Act’and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n Korea. The assessment institution of urban planning is divided into ‘Standard of land development approval’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urban planning’. The institut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s divided in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and ‘Advance environmental assessment’. Assessment institution of urban ecosystem is progressed very slowly, because of development oriented policy. And so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objective assessment method is not invented except ‘Degree of growing tree number per unit area’and ‘Degree of human disturbance of vegetation’, and insufficiency of conservation measures or post evaluation, etc. Activation of assessment institution of urban ecosystem is necessary followed countermeasures in Korea. (1) Development of objective assessment method for urban ecosystem as biotope map, (2) Appointment of censer-vation zone or consideration of damage for high value in conservation, (3) Parallel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and ecosystem conservation plan, and enforcing post evaluation

A Study on Policy Information Development Strategies for a National Library: with a Special Reference to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국가도서관 정책정보 개발 전략 연구 -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을 중심으로 -)

  • Yoon, Hee-Yoon;Chang, Durk 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2 no.3
    • /
    • pp.273-287
    • /
    • 2018
  •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plays a central role in maximizing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policy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In order to perform its functions, systematic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policy information development are essential. Besides,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as a specialized library of policy information services and to maximize the capacity,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r policy information needs to be suggested. This study, in this regard, propos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y information collection. Specifically, we suggest that both guideline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general collection, and practical guidelines of collection development specific to policy information.

Solid Waste Management of Nepalese Municipalities (네팔 지방자치단체의 폐기물관리 정책)

  • Sigdel, Abinashi;Koo, Jak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1 no.6
    • /
    • pp.951-964
    • /
    • 2012
  • 네팔 지방자치단체의 고형폐기물 관리 부서는 도시계획 및 개발국이나 환경위생 부서 또는 일반 복지 부서에서 담당한다. 네팔에는 폐기물관련법과 기준, 지침이 제정되어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법에 의해 지방자치단체 여건에 맞게 관련 법률 조항을 개정할 수 있다. 네팔에서 발생하는 가정폐기물의 65%는 유기성 폐기물이나, 폐기물 관리는 아직 체계화되지 않고 있다. 지방 NGOs와 일부 부락이 분리수거와 퇴비화를 실시하고 있으나 병원폐기물과 같은 유해폐기물의 경우 병원이 자체적으로 소각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의해 적절히 처리되지 않고 있다. 현재 네팔에서는 폐기물이 비위생 매립 방식에 의해 처리되고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를 금지하고 위생매립지를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 및 전문인력, 예산의 부족, 민간자본 및 시민들의 참여 부족으로 인해 지방자치단체가 설정한 폐기물관리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네팔 지방자치단체들이 당면한 시급한 과제는 지속가능한 폐기물관리 계획 및 전략의 수립이다. 네팔 지방자치단체의 폐기물관리 계획은 폐기물의 적정 처리를 위한 제도적 측면의 강화는 물론, 폐기물 분리 배출 및 수거에 시민들의 동참을 이끌어내고 이해관계자의 참여 확대, 폐기물 처리 비용, 폐기물 처리를 위한 적정기술의 개발과 같은 내용을 포괄할 수 있어야 한다.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n Frequently Flooded Areas (상습침수지구 통합관리 시스템)

  • Ko, Jin-Seok;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23-227
    • /
    • 2011
  • 유역 특히 상습침수지구의 통합관리는 유역이라는 한정된 범위 내에서 물에 영향을 미치거나 물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모든 인간 활동과 자연현상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역관리는 유역 차원에서 물을 경제적이고 공평하게 관리하고 분배하여 수자원에 대한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정부, 시민사회 및 기업 행위자가 사회경제적 개발목표와 정책형성, 집행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유역관리를 위한 의사결정들은 행위자들과의 영향으로 수정되며, 이런 과정에서 토지와 수자원에서 분쟁이 발생하며, 수자원 관리자는 자연현상, 물 사용, 재정적, 인적자원 및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목적을 달성하는데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효과적인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제약조건하에서 수자원 관리자가 의사결정에 정보를 주고 주요 행위자들과 협력을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역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을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 ABM)으로 이해하고자 하며, ABM은 유역관리의 이해당사자간의 정책과정을 도출하고 다양한 유역관리 대안을 평가하고 유역관리의 영향을 설명하는 모델이다. 본 모형은 관측자료를 통해 상향식 접근법으로 가능한 많은 세부사항을 모의할 수 있다. 분석과정은 자료의 수집, 모델 확립, 모델의 개발, 통계자료 수집 및 모델의 결과와 실제 시스템의 보충된 관측자료를 비교하는 검증 순으로 진행되며, 본 모델에서의 행위자는 과거의 행동으로부터 주위 환경의 반응하는 패턴을 확인하고 개발하며, 이러한 패턴은 정책들을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강화학습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행위자의 익숙한 방식의 합리적인 행동과 정책들의 상관관계를 평가할 수 있으며, 강화학습을 통해 실제적인 통계적인 모델이 가능하다.

  • PDF

Estimation of Agent Based Model for watershed management (유역관리를 위한 행위자기반모형의 평가)

  • Ko, Jin-Seok;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51-854
    • /
    • 2010
  • 유역관리는 유역이라는 한정된 범위 내에서 물에 영향을 미치거나 물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모든 인간 활동과 자연현상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역관리는 유역 차원에서 물을 경제적이고 공평하게 관리하고 분배하여 수자원에 대한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정부, 시민사회 및 기업 행위자가 사회경제적 개발목표와 정책 형성, 집행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유역관리를 위한 의사결정들은 행위자들과의 영향으로 수정되며, 이런 과정에서 토지와 수자원에서 분쟁이 발생하며, 수자원 관리자는 자연현상, 물 사용, 재정적, 인적자원 및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목적을 달성하는데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효과적인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제약조건 하에서 수자원 관리자가 의사결정에 정보를 주고 주요 행위자들과 협력을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역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을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 ABM)으로 이해하고자 하며, ABM은 유역관리의 이해당사자간의 정책과정을 도출하고 다양한 유역관리 대안을 평가하고 유역관리의 영향을 설명하는 모델이다. 본 모형은 관측자료를 통해 상향식 접근법으로 가능한 많은 세부사항을 모의할 수 있다. 분석과정은 자료의 수집, 모델 확립, 모델의 개발, 통계 자료 수집 및 모델의 결과와 실제 시스템의 보충된 관측자료를 비교하는 검증 순으로 진행되며, 본 모델에서의 행위자는 과거의 행동으로부터 주위 환경의 반응하는 패턴을 확인하고 개발하며, 이러한 패턴은 정책들을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강화학습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행위자의 익숙한 방식의 합리적인 행동과 정책들의 상관관계를 평가할 수 있으며, 강화학습을 통해 실제적인 통계적인 모델이 가능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