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발사업 유형

Search Result 386, Processing Time 0.014 seconds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확보 의사결정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한상영;유영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494-497
    • /
    • 2004
  • 지금까지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체계적인 기술 확보전략이 없었다.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 사업도 기술확보 전략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확보 의사결정프로세스를 제안한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자체개발(insourcing)과 해외위탁/용역, 라이센스, 공동연구의 외부기술(out-sourcing)으로 유형을 구분하였으며, 이에 적합한 기술확보 유형결정을 위한 다단계 의사 결정프로세스를 제시한다.

  • PDF

Impact Analysis of Road Improvement Project on Rural Development : A Case of Korea (도로개선사업의 지역개발 효과분석)

  • 전경수;조중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0 no.3
    • /
    • pp.123-140
    • /
    • 1992
  • 지방도로의 포장 및 확장사업으로 인한 지역개발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발생시 시기적 특성을 기준으로 할 때, 도로개선사업의 지역개발효과는 직접효과, 유발효과 및 간접효과 등 세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각 유형의 효과가 각각 어떻게 발생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연구에서는 교통부문, 농업부문, 공업부문, 공공 서비스 부문, 주거부문 및 인문사회부문 등 6개부문에 대한 도로개선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ADB 5차사업으로서 1983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85년에 사업이 완료된 밀양 및 하동지구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도로개선사업의 효과가 사업종료 후 어느 시점에서부터 발생되는가를 관찰하기 위하여 효과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의 시점을 사업전 (1983년), 사업완료 직후(1986년) 그리고 사업완료 5년후(1992) 등 크게 세가지로 구분하였다. 1983년 및 1986년의 자료로는 건설부에서 조사한 자료들을 이용하였으며, 1992년의 자료는 현장조사와 해당군의 통계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도로사업으로 인한 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 대상지역을 사업지구(Project Area)와 대조지구(Control Area) 로 구분하고 이들 각 지구에 대한 시점별 분석들 실시하였다.

  • PDF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Environment Assessment for the Various Type of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Riparian Areas (수변지역 소규모 개발사업의 유형별 환경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 Joo, Yong-Joon;Sagong, He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8 no.3
    • /
    • pp.218-225
    • /
    • 2016
  • Various strategies and management plans have been established in order to conserve water quality as well as ecosystem, prevent deterioration of scenic area, and more importantly, retain drinking water securely. However, due to the introduction of numerous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s on the waterside area outside protection area of source water and reparian area, river water quality and landscape are severely deteriorat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pected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ecosystem, topograph, geology, landscape, water quality according to development type, and assigned different environmental points to each development type depend on environmental impacts, which is able to divide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projects with rigorous review, projects with general review and projects with simple review. Finally, we suggested the appraisal basement is to avoid or minimize the expected environment impacts of the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s in riparian areas so that make them sustainable development by reasonable restriction.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Employment Impact Assessment in R & D (R&D분야 고용영향평가 적용방안 연구)

  • Lim, Sang-woo;Kim, Sun-Gyo;Lee, Gy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33-142
    • /
    • 2017
  • 저성장, 실업률이 심화됨에 따라 일자리 중심 정책은 현 정부의 최우선 정책과제로 급부상하였다. 이러한 정책기조로부터 정부는 R&D분야에서도 고용영향평가 제도를 통해 도출된 성과를 R&D 사업의 예산배분 보조지표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허나, R&D분야는 기술개발에 따른 고용창출효과의 발생 시점을 추적하기 힘들며, 기술개발로 인한 일자리에 대한 부(-)의 영향도 존재하기에 기존의 고용영향평가 방법만으로 R&D분야의 고용창출효과를 산출하는 것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D분야에서 고용영향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일자리 유형들을 분류하고, 일자리 유형별 정의 및 R&D 사업의 일자리 유형별 사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는 정부 R&D 사업들의 고용창출효과 산출과정에 활용 시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현 R&D분야의 고용영향평가 제도에 대한 절차 및 문제점을 분석하는 차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PDF

An Analysis of Discount Rate for the Investment Analysis of the CDM Projects (CDM 사업 투자분석을 위한 적용 할인율 분석)

  • Shin, Donghee;Cho, Yongsung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4 no.2
    • /
    • pp.127-140
    • /
    • 2013
  • The present work analyzes the source and level of discount rate/benchmark for investment analysis on almost 4 thousand registered CDM, one of the Kyoto mechanisms, project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ource and level of discount rate is changed as the passage of time and there are some countries that prefer certain sources and level. By project types, there is no difference among the sources but the level is not same. As the level of capital market development higher, there is a trend on changes in applying the source of discount rate, but the level is not different among groups. Finally there are no specific preferences on the sources on applying discount rate by DOE. And On analyzing, whether including China CDM projects or not influence the analysis results because China have registered a large number of projects.

Analysis of Biotope Area Ratio in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환경영향평가서에 나타난 개발사업의 생태면적률 검토 연구)

  • Lee, Sang-D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4
    • /
    • pp.394-401
    • /
    • 2018
  • Tendency in ratio of biotope area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ccording to population, location, project type, and total project area was analyzed by type of the projects. According to EIA, biotope area ratio is the ratio of the weighted biotope areas and total project area. biotope area is important to resident's health and quality of their life. Ministry of Environment recommends to meet the biotope area ratio standard presented by each project type. The analysis is based on 4 types of project, urban development, industrial comlpex deveopment, tourism development, and waste and sewerage treatment facility, and 55 data extracted from them. It is needed that new standard that the population is reflected, adjustment that region and frequency are considered, and regulation strengthening according to achievement of 'the minimum achievable goals' to improve biotope area policy. The research includes more data and improvements of specific system are needed as a further research.

중소기업 유형별 R&D 참여 요인 연구 - 정부 R&D출연금 지원받은(대전/충남/세종)지역 중소기업 중심으로

  • Kim, Chi-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647-6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R&D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유형별 중소기업들의 R&D참여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각 정부부처별 R&D 지원사업이 지역전략산업별, 뿌리기술전문기업, 부품소재기업등 특수 산업분야별,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 기업에 보조금, 지원금 및 마케팅, 기획, 교육등의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고 각 기업들 또한 이에 참여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정부 R&D지원사업의 참여요인 즉, 다양한 유형의 중소기업이 정부 R&D과제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다. 또한 기술적 성과인 R&D 참여강화와 기술역량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다. 이 분석결과를 통한 연구결과,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 지역전략산업별, 뿌리기술전문기업, 부품소재기업등 특수 산업분야별등 기업유형에 따라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유형별 중소기업들의 전략적 R&D참여를 위한 방향설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Trend Analysis of Development Projects in Gyeonggi Province - Focusing on the Target Project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경기도 개발사업의 추이 분석 -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을 중심으로 -)

  • Kim, Su-Ryeon;Sung, Hyun-Cha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1
    • /
    • pp.15-24
    • /
    • 2016
  • This study was analyzed the distribution tendencies and statuses of development projects for EIA projec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n the annual analysis, a number of consultations and areas have shown increasing trend across the board. In the project type analysis, there are development project types; urban development, industrial complex, sport facility installation, resort complex development, road construction, which have a lot of developments. In the cities analysis, a number of consultations were about 53% on the top 5 cities, the areas were focused on 75%, and the development projects were concentrated in the southern distribution of Gyeong-gi province. The development axis, from 2004 to 2006, was C-type, but it was extended to O-type until 2010. Therefore, the development will expand into nature conservation zones and forest areas to the east. The development restriction area will be disappeared gradually because the development density of the surrounding Seoul city is more advanced, and we could predict that may be accelerated conurbation between the neighboring cities. Thus, when the development project is located, it would be reviewed difference in existing development project type, project size, and concentration in each city on the basis of environmental capacity.

Study on Estimating intangible benefit of renewable energy project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 무형효과 산출모델 연구)

  • Kim, Young-Deug;Han, Ho-Yeon;Hong, Jeong-Jo;Song,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70-1371
    • /
    • 2011
  • 2011년 RPS(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재무적 타당성을 분석하여 사업을 결정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절차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비용과 편익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신뢰도의 정도에 따라 사업의 성공여부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통상 재무적 타당성분석은 유형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사업성을 결정하지만, 무형적인 비용과 편익도 간과할 수는 없다. 유형적인 요소는 명확한 재무적인 수치로 나타나지만 무형적인 요소를 재무적인 수치로 평가하는 것은 쉬운 일 아니다. 무형적인 비용과 편익에 대한 정형화된 산정모델이 없고, 주관적인 의견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므로, 해당 업체의 환경과 특성에 따라 평가방법 및 평가액이 상이하며 평가에 대한 신뢰도 또한 전문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러한 무형적인 요소에 대한 평가는 사업추진 여부에 대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실례로, 2002 월드컵 유치에 대한 무형효과에 대한 평가액은 가지각색이지만, 월드컵 유치로 인한 국가의 인지도 상승 및 경제적 효과는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형효과 산출에 대한 대표적인 사업의 사례 조사를 통해 무형효과 평가모델에 대한 기본 방식을 연구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무형효과 산출 모델의 기본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terminants of National R&D Projects: With the Focus on the "National R&D for th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of the Parts and Materials Industry" (국가R&D 사업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부품·소재산업경쟁력향상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Lee, Suji;Kim, Tae-Yu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8 no.4
    • /
    • pp.590-620
    • /
    • 2015
  • Although the investment scale and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in Korea have been increased, the practical use of the performance is still insignificant. Thus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and analyze factors that affect commercialization of national R&D project. Most of prior literatures have done with qualitative research rather than data-based analysis; however, mostly focusing on influential factors in between R&D inputs and outputs and it remains as limitation. The important key to avoid the limitation in this study is using data-based analysis of factors (such as research performance, types of research institution, scale of the government fund, project structure, competency in the researcher, and technical field) that affect commercialization with the case of th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in Material and Component Industries. As a result, patents performance, scale of the government fund, and technical field turned out to be influential factors of commercialization. On the other hand, research performance, types of research institution, project structure, and competency in the researcher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o increase commercialization in project scheme, process, and assessment of national R&D project, including th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in Material and Component Industries project, it is required to design scientific research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causal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