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발나물속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Rate of Ground Cover and Weed Occurrence in Pepper Cultivation as Affected by Seeding of Ground Covers (고추재배 시 피복작물에 의한 피복율 변화와 잡초발생 양상)

  • Cho, Jung-Lai;Choi, Hyun-Sug;Lee, Youn;Lee, Byung-Mo;An, Nan-Hee;Park, Kwang-Lai;Lee, Ji-Hyun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31 no.4
    • /
    • pp.355-35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eding of Vicia tetrasperma and V. hirsuta on the rate of ground cover as well as growth and yield of organic pepper plants in 2008 and 2009. All seeds of both species were gathered from Dangjin, Chungnam in late June of 2006 and stored for two year at room temperature. Capsella bursapastoris, Echinoloa crus-galli, Digitaria ciliaris, and Commelina communiswas were observed as main weeds during the winter and summer, respectively, at the field of V. tetrasperma and V. hirsuta. C. bursapastoris did not affect growth and yield of pepper plants. Seeding of V. tetrasperma and V. hirsuta maintained high percentage of ground cover later in the growing season of pepper plants and reduced significant amounts of weed in 2009. V. tetrasperma and V. hirsuta, therefore, produced more pepper yiel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ut similar yield to the conventional system (polyethylene film).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in Plastic House by Treatment of Soil Conditioners (참취 시설재배지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생육특성 비교)

  • Yeom, Gue-Saeng;Moon, Jung-Seob;Yang, Jin-Ho;Kim, Dong-Won;An, Min S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51-51
    • /
    • 2019
  • 참취(Aster scaber)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식물로 취나물로 분류되어 전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주로 남부지역에서 조기재배 작형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참취의 잎과 줄기는 맛과 향기가 독특하여 예로부터 생채, 묵나물 등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칼슘, 철분, 비타민 A 등이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서도 가치가 높고 한약재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항암효과와 더불어 콜레스트롤을 저하시키는 약리적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기능성 식품으로도 각광 받고 있다. 참취 시설재배 시 통상 3년 마다 갱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시설재배지 특성상 양분의 과다투입에 의한 염류집적과 잦은 관수로 물리성이 악화되어 참취의 생육이 저하되어 수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참취의 생육과 토양 물리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참취 시설재배 농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2018년 4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 참취 시설재배를 대상으로 하고 무처리, 볏짚 1,000 kg/10 a, 왕겨 숯 1,000 kg/10 a, 야자섬유 1,000 kg/10 a, 4처리구로 하여 시기별 생육 및 토양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확기 참취 생육특성은 초장은 25.6~27.2 cm, 엽장은 8.5~9.7 cm, 엽폭은 6.3~7.0 cm, 경직경은 4.3~4.6 cm, 및 수량은 $3.3{\sim}4.0kg/3.3m^2$으로 볏짚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좋은 생육 상황을 보였으며 수량성 또한 많았다. 시험 후 토양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토양 pH는 7.4~7.5, 토양유기물 함량은 34~36 g/kg, 유효인산 함량은 386~415 mg/kg 이었으며 처리 전 토양에 비하여 유기물 함량은 증가하고 유효인산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치환성 양이온 K, Ca, Mg는 K는 $0.8{\sim}1.0cmol_c/kg$로 낮아졌고, Ca와 $8.9{\sim}10.1cmol_c/kg$, Mg는 $3.1{\sim}3.4cmol_c/kg$로 증가하였다. 토양물리성의 변화는 왕겨숯 시용에서 대조구에 비해 가장 낮은 용적밀도 $1.22g/cm^3$와 가장 높은 공극률 54.09%을 보였다. 토양 삼상은 고상은 볏짚에서 51.98%로, 액상은 야자섬유에서 28.64%로, 기상은 왕겨숯에서 29.35%로 가장 높았다. 참취 시설재배지 토양개량제 시용함으로써 토양의 유기물함량 증가와 토양의 용적밀도 감소와 토양양 공극율 증가 등 토양의 물리 화학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2년차 시험 결과로서 3년차에 재검토할 계획이다.

  • PDF

Effect of Agents to Improve Soil Physical Properties on Aster scaber in Plastic House (참취 시설재배지 토양 물리성 개선을 위한 개량제 처리 효과)

  • Gue-Saeng Yeom; Jung-Seob Moon;Song-Hee Ahn;Se-Hyun Ki;Min Sil Ah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70-70
    • /
    • 2020
  • 참취(Aster scaber)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식물로 취나물로 분류되어 전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주로 시설재배지 조기재배 작형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참취의 잎과 줄기는 맛과 향기가 독특하여 예로부터 생채, 묵나물 등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칼슘, 철분, 비타민 A 등이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서도 가치가 높고 한약재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항암효과와 더불어 콜레스트롤을 저하시키는 약리적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기능성 식품으로도 각광 받고 있다. 참취 시설재배 시 통상 3년 마다 갱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시설재배지 특성상 양분의 과다투입에 의한 염류집적과 잦은 관수로 물리성이 악화되어 참취의 생육이 저하되어 수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토양 물리화학성과 참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참취 시설재배 농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2018년 4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 참취 시설재배를 대상으로 무처리, 볏짚 1,000kg/10a, 왕겨숯 1,000kg/10a, 야자섬유 1,000kg/10a, 4처리구로 하여 시기별 토양특성 변화 및 생육 상황을 조사하였다. 자재 처리 후 3년차 토양 물리성의 변화는 볏짚 시용에서 가장 낮은 용적밀도 1.23g/cm3와 가장 높은 공극률 53.50%을 보였다. 토양 삼상은 고상은 왕겨숯에서 49.41%로, 액상은 왕겨숯에서 24.92%로, 기상은 볏짚에서 32.09%로 가장 높았다. 토양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토양 pH는 7.2~7.3, 토양유기물 함량은 32~39g/kg, 유효인산 함량은 440~487mg/kg 이었으며 처리 전 토양에 비하여 유기물 함량은 증가하고 유효인산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치환성 양이온 K, Ca, Mg는 K는 0.77~0.88cmolc/kg로 낮아졌고, Ca와 11.56~14.09cmolc/kg, Mg는 2.93~3.22cmolc/kg로 증가하였다. 참취 생육특성은 초장은 24.8~26.4cm, 엽장은 8.3~8.7cm, 엽폭은 6.3~6.7cm, 줄기수는 6.9~7.2주로 대조구에 비해 좋은 생육 상황 상황을 보였으며, 수량은 919~1,161kg/10a 으로 자채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수량성 또한 높았다 참취 다년재배지 토양개량제 시용함으로써 토양의 유기물함량 증가와 토양의 용적밀도 감소와 토양 공극율 증가 등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Nutritional Properties, as Food Resources for Menu Development, of Cubed Snailfish, Shaggy Sea Raven, and Two Kinds of Wild Vegetables that are Staple Products in Samcheok (삼척지역 특산물인 곰치, 풍덕구이, 곰취, 곤드레의 향토식품 소재화를 위한 영양적 특성 연구)

  • Surh, Jeong-Hee;Kim, Jong-Ok;Kim, Mi-Hyun;Lee, Jae-Choel;Yang, Hee-Wan;Lee, Byung-Yong;Kim, Mi-Young;Yun, Sun-Ju;Jeong, Hye-Ryeon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5 no.6
    • /
    • pp.690-702
    • /
    • 2009
  • Liparis tessellatus(cubed snailfish), Hemitripterus villosus(shaggy sea raven), Ligularia fischeri, and Cirsiu setidens, which are staple products in Samcheok, were studied as food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a representative local menu. Thus, their nutrition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ing values were used to assess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ewly-developed menu. In Liparis tessellatus and Hemitripterus villosus, the organic components including protein and fat tended to be low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s referred to as the 'Seventh Revision Food Composition Table' (2006), which was presumably linked to the spawning period of the fish. The contents of Zn, Cu, and Mg, which are nutritionally important even though the consumption of these minerals by Koreans is not sufficient, were determined to 0.5, 0.2, and 34.3 mg/100 g for Ligularia fischeri, and 26.2, 1.1, and 147.7 mg/100 g for dried Cirsiu setidens. Cirsiu setidens cultivated in Samcheok contained noticeably higher amounts of calcium, zinc, and iron, and its calcium level was more than an order of magnitude higher than that provided by the Food Composition Table. This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fact of that Samcheok is abundant in lime which consists of calcium-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n-3 fatty acids including docosahexaenoic acid(DHA) accounted for 21% and 13% of the total fatty acids, for Liparis tessellatus and Hemitripterus villosus, respectively,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and alanine for both fish. One of the newly developed menus, Cirsiu setidens hae-jang-gook, was nutritionally superior to the corresponding menu that used dried radish leaves, a typical ingredient in hae-jang-gook, in terms of the protein, iron, and zinc contents. Rice pottage cooked with Liparis tessellatus instead of abalone was high in protein, calcium, iron and zinc, where one serving provided 29.1, 15.4, 31.0, and 27.8% of their Reference Intake (RI)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