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량한옥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한옥마을과 개량한옥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Hanok Village and Modern Hanok Model Developement(focused on the Case study of Jeonnam))

  • 이향미;손승광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9-214
    • /
    • 2008
  • Jeonam aims to cultivate Hanok Village as a lodging resource for tourism industry in rural areas. For the purpose, it invited eight models of the Hanok Village publicly and selected our model as the best.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centering on the model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and awarded by the local government. We develop and suggest eleven types of improved-type Hanok model that is to be distributed to each city and county. We compose the space which reflects needs of residents for modern living. And we focus on preservation of decorative beauty to make it a resource of tourism by creating beautiful view of Hanok and reduction of financial burden to activate its distribution. The Hanok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improved Hanok that can be suggested as a new model of rural area housing project.

  • PDF

한국형 융합 집합주거문화 계획 연구 -정세권의 개량한옥 계획을 대상으로- (A Study on Planning of Korean Convergence Housing Complex's Residential Culture. -Focused on Segwon Jeong's Improved Hanok Planning-)

  • 최호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23-130
    • /
    • 2019
  •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한민국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인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에 의한 미래 주거문화 계획에 관한 기초연구수행을 목표로 한다. 향후 주거문화는 핵가족화 현상과 1인 주거민의 증가로 오늘날 아파트로 대표되는 집합 주거형태가 아닌 여러 구성원을 가진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융합 집합주거문화'로 진전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집합주거문화의 기초연구로서 오늘날 집합주거문화가 서구사회에서 수입되어 온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나라 최초의 부동산개발업자 정세권에 의해 한국형 집합주거문화가 이미 존재했음을 도시적 그리고 건축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20세기 초반에 정세권이 계획한 개량한옥은 기존의 한옥의 단점을 보완하며 한옥의 표준화와 같은 한옥의 물리적인 측면의 현대화의 가치도 있지만, 한옥 내부공간의 현대화는 한국형 집합주거문화의 시초라는 관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수행한 정세권의 개량한옥 주거단지는 향후 우리사회에 필요한 한국형 융합 집합주거 문화 계획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익선동 한옥거리의 변증법적 공간 해석과 젠트리피케이션의 시사점 모색 (Dialectical Interpretation of Hanok Village in Ikseon-dong, Seoul and Its Implications for Gentrification)

  • 윤지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30-349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높은 관심을 일으키는 도심 내 한옥이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간과될 수 있는 공간의 중층성에 주목하였다. 흔히 젠트리피케이션은 도시 내 개발 압력에 따라 이뤄지는 대대적이고 급작스런 공간의 천이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이러한 이해 방식은 실제 도시 공간변화에서 벌어지는 변증법적 과정과 다층적 존재들의 복잡한 상호 영향을 간과하게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재개발 과정과 익선동에서의 한옥 개량 등을 살펴봄으로써 도시 공간 속 다양한 주체들의 관점과 실천이 젠트리피케이션에 다층적이고 변증법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더불어 문화유산의 요소를 매개로 한 도시공간의 변화가 도시 내 문화장소 형성에 있어 어떠한 함의를 갖는지를 논하도록 한다.

개량 스킨팀버의 압축 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Improved Skin-timber)

  • 김광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282-291
    • /
    • 2010
  • 기존의 중공재에 비해 다량의 목질부를 제거하여 천공한 스킨 팀버는 짧은 건조시간과 건조 결함 발생이 적은 점, 상당히 낮은 수준(MC 8~9%)까지 함수율을 떨어트릴 수 있다는 이점, 약제 주입처리의 용이함, 한옥을 포함한 중목구조의 대단면 경량 구조부재로서의 사용 가능성, 다양한 가구나 생활용품으로의 가능성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재료이다. 하지만 고부가가치 재료로 사용되기 위해서, 그리고 일반 소비자들에게 구조적 신뢰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스킨 팀버를 하이브리드 구조부재로 만들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능한 얇은 철판을 사용하여 소나무와 낙엽송 개량 스킨 팀버를 제작하고 압축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소나무와 낙엽송 개량 스킨 팀버의 경우 무처리 스킨 팀버에 비해 재료 성능의 균일성을 가져올 수 있었다. 2. 소나무나 낙엽송 개량 스킨 팀버 모두 철판두께별 압축 성능의 유의차가 존재하지 않아 두꺼운 철판을 사용 할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되었다. 소나무 개량 스킨 팀버와 낙엽송 개량 스킨 팀버간의 압축 성능 역시 유의차가 존재하지 않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소나무 개량 스킨 팀버의 경우 다양한 파괴 형태를 보였지만 낙엽송 스킨 팀버의 경우 전체적으로 splitting의 파괴 모드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었다.

근대 한국의 토착민간자본(土着民間資本)에 의한 주거건축(住居建築)에 관한 연구 - 일제하(日帝下) 개량한옥건설업(改良韓屋建設業)을 중심으로- (A Study of Housing Production by the Native Civilian Capital in the Modernizing Ages of Korea - in the Focus of Korean Style Housing Constructions in the Japan Imperialism Ages -)

  • 김란기
    • 건축역사연구
    • /
    • 제1권1호
    • /
    • pp.106-116
    • /
    • 1992
  • This Study is,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Germ of the Autogenetic Capitalism were Broken by the Imported Force, and were Transplanted the Western Capitalism by force, and go through Imperialized Procedure, the Resaerch how the Modernizing of our Capitalistic Constructions were settled down, how Developed the Tradition of Native Architectural Technologies by those technocrafts, and What Came out the Architectural Productive Character in those Housing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provemental Tradition Housing Constructions by the Native Capital were Hard Tasks, under the Situation that Japanese Imperial Constructions have Monopolized the Whole Korean Constructions and it has been Prosperous. Second, Improvemental Tradition Housing Constructions by the Native Capital Imported Modernized Capital Management System, It, after that, Influenced our Constructions Seriously. Third, It is a Desiable Fact that Acceded Traditional Style, Provided the Small-middle Class Housing for the Common People on those Demand. Fourth, It is a Point that Contribute the Mooing Problem of Korea. Fifth, It is that Supply the Low-class Housing.

  • PDF

전통(傳統)고추장의 품질개량(品質改良)에 있어서 재래식(在來式) 및 개량식(改良式) 고추장 메주의 효과(效果) (Effect of Traditional and Improved Kochujang Koji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Traditional Kochujang)

  • 조한옥;박승애;김종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9-327
    • /
    • 1981
  • 우리나라 전통(傳統)고추장의 계승(繼承) 및 과학적(科學的)인 제조(製造)방법(方法)을 제시(提示)하고 그 품질(品質)을 개량(改良)하기 위하여 전라북도(全羅北道)지방(地方)의 전통적(傳統的) 고추장 제조법(製造法)에 의하여 메주가루를 메주식(式)과 제국식(製麴式)으로 제조(製造)하고 그 메주가루로서 전통적(傳統的) 원료(原料) 담금비율로 담금하여 90일간(日間)의 숙성과정중(熟成過程中) 온도(溫度), pH와 적정산도(適正酸度), 일반성분(一般成分), 질소성분(質素成分), 당분(糖分), 에틸알콜 및 효소력(酵素力)의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하였으며 재래식(在來式) 및 개량식(改良式) 고추장 메주의 효과(效果)의 차이(差異)는 다음과 같다. 1. 아미노태(態) 질소함량(質素含量)은 개량식(改良式) 메주가루로 담근 고추장이 재래식(在來式) 메주가루로 담근 고추장보다 그리고 동일(同一)한 원료(原料)로 담글때는 조미원료(調味原料)로서 식염(食鹽) 만을 첨가(添加)한 것보다 간장과 식염(食鹽)을 첨가(添加)한 고추장에서 많았다. 2. 수용성(水溶性) 질소(質素), 암모니아태(態) 질소(質素)는 조미료(調味料)로서 간장과 식염(食鹽)을 첨가(添加)한 제국식(製麴式)에서 높았다. 3. 숙성기간중(熟成其間中) 환원당함량(還元糖含量)은 메주식 고추장이 제국식(製麴式)고추장보다 높았다. 4. 에틸알콜은 담금 직후(直後) 각(各) 시험구(試驗區)가 0.04% 였으나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여 $40{\sim}50$일간(日間) 숙성(熟成)되었을 때는 각(各) 시험구(試驗區)가 2.5% 이상이었다. 5. 총당함량(總糖含量)은 담금기간(期間)에는 각(各) 시험구간(試驗區間)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성숙후기(成熟後期)에는 조미료(調味料)로서 간장을 첨가(添加)한 제국식(製麴式) 고추장에서 높았다.

  • PDF

인삼제품(人蔘製品)의 품질개량(品質改良)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일보(第一報)) - 인삼근(人蔘根) 및 엽(葉) Saponin의 비교연구(比較硏究) - (Quality Control of Ginseng Products(Part I) - The saponins isolated from ginseng roots and leaves -)

  • 조한옥;조성환;김수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10-17
    • /
    • 1979
  • 인삼엽(人蔘葉)을 ether, benzene-butanol 혼합용매등으로 색소류(色素類)기타 지용성물질(脂溶性物質)등을 제거하고, methanol과 n-butanol로 연속추출하여 n-butanol soluble saponin을 얻고 계속해서 liquid chromotography 를 행하여 분획별(身劃別)로 인삼엽(人蔘葉) saponin을 분리 정제하였고, 그 화학적(化學的)및 분자구조학적(分子構造學的) 특성(特性)을 인삼근(人蔘根) saponin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삼근(人蔘根)과 엽(葉) saponin의 2차원(차원) TLC pattern은 다소(多少) 차이(差異)차가 있으나, 다수(多數)의 spot들이 일치(一致)하였다. 인삼엽(人蔘葉)에는 ginsenoside Rd가 존재하지 않고, ginsenoside Rc는 엽(葉)에, ginsenoside $Re_1$$Rg_1$는 근부(根部)에 더 많이 분포(分布)되어 있었다. 2. 인삼엽(人蔘葉)에는 인삼근(人蔘根)에 비하여, panaxadiol 계(系) saponin이 panaxatriol 계(系) saponin보다 더높은 함량을 보였다. 3. n-butanol soluble saponin으로 liquid chromatography를 행하여 인삼근(人蔘根)에서는 Fr. 1.과 Fr. 2.를 얻었고, 인삼엽(人襲葉)에서는 Fr. 1, Fr. 2. 및 Fr. 3.의 분획(分劃)을 얻을 수 있었다. 인삼근(人蔘根)의 Fr. 1 및 엽(葉)의 Fr. 1.과 Fr. 2.등 3매의 분획(分劃)은 saponin test반응(反應)에 양성(陽性)을 보이고, 그 IR spectra는 동일(同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밀 제분부위별 휘발성 성분의 차이 (Difference 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among Milling Fractions of Wheat)

  • 한옥규;김양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42-446
    • /
    • 2005
  • 관능특성이 우수한 밀가루의 제품생산 및 밀 품종 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국산 그루밀 원맥을 Buhler test mill로 제분하고, 각 제분부위별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검토하였다. 1. 제분부위에 따른 밀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배유층인 $B_1,\;B_2,\;R_1$$R_2$층과 바깥층인 겨층과 배아간에 정성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정량적인 차이는 있었다. 2. 겨층 및 배아층은 배유층에 비하여 m-xylene, n-butanol의 조성이 매우 높았다. 3. 밀에서 냄새의 지표화합물인 $C_6-aldehyde$류와 $C_{6-8}-alcohol$류의 조성은 제분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배유층 내부인 $B_1,\;B_2,\;R_1$층보다 바깥층인 $R_2$층에서 조성이 높았다. 따라서 $R_2$층이 $B_1,\;B_2,\;R_1$층에 비하여 관능적으로 보다 우수할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