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량 지수

Search Result 18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stimation of Runoff Curve Number for Chungju Dam Watershed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유출곡선지수 산정 방안)

  • Kim, Nam-Won;Lee, Jin-Won;Lee, Jeong-Woo;Lee, Jeong-E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12
    • /
    • pp.1231-1244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runoff curve number(CN) using SWAT model which is capable of reflecting watershed heterogeneity such as climate condition, land use, soil type. The proposed CN estimation method is based on the asymptotic CN method and particularly, it uses surface flow data simulated by SWAT. This method has advantages to estimate spatial CN values according to subbasin division and to reflect watershed characteristics because the calibration process has been made by matching the measured and simulated streamflows. Furthermore, the method is not sensitive to rainfall-runoff data since CN estimation is on a daily basis. The SWAT based CN estimation method is applied to Chungju dam watershed.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 estimated CN that exponentially decays with the increase of rainfall is presented.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shed Scale Drought Using Soil Moisture Index (토양수분가뭄지수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단위 가뭄 영향평가)

  • Yoo, Seung-Hwan;Choi, Jin-Yong;Nam, Won-Ho;Kim, T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6-446
    • /
    • 2012
  • 농업은 다른 산업과 달리 원천적으로 기후 조건과 변화에 크게 좌우되는 분야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에 가장 민감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작물 생산을 위해서는 기후변화가 농업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기온 상승, 강수량 및 강우강도 변화, 증발산량 및 일조시간 변화 등의 기후변화는 우리나라의 가뭄 발생의 양상에도 변화를 야기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현 상황을 바탕으로 미래에 발생할 가뭄에 대하여 예측하고, 그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합리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즉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가뭄의 특성을 파악하여 미래 수자원 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가뭄특성 분석이 필요하다. 가뭄은 기상학적 가뭄, 기후학적 가뭄, 농업적 가뭄, 대기학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 사회경제적 가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강우량 등의 기상조건을 분석하는 방법에서부터 저수량과 유역 유출량, 그리고 토양수분 등의 수문학적 조건들로 가뭄을 분석하는 방법들까지 매우 다양하다. 가뭄의 정량화는 가뭄을 표현하는 대상의 특성에 따라 평가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가뭄의 경향이나 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가뭄 지수가 아닌 다양한 항목을 바탕으로 평가가 이루어져 한다. 현재 기후변화와 관련한 가뭄 연구에 있어서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중심으로 많은 연구 이루어졌을 뿐, 농업적 가뭄지수를 바탕으로 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농업가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토양수분지수 (Soil Moisture Index)를 이용하여 중권역별 가뭄 평가하고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이를 위하여 CGCM3.1 (Coupled Global Climate Model Ver. 3.1) 및 LARS-WG (Long Ashton Research Station Weather Generator)를 이용하여 2011년부터 2100년까지의 A1B, A2 및 B1 시나리오별로 기상자료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SMI 지수를 산정하여 유역별 가뭄 발생 빈도 및 심도를 시나리오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가뭄 발생의 양상 및 특성을 파악하고 전망함으로써,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전략 및 농업수자원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of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for Drought Detection in Korea (우리 나라에서의 가뭄 발생 지역 판별을 위한 식생지수(NDVI)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Shin, Sha-Chul;Kim, Chul-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5
    • /
    • pp.839-849
    • /
    • 2003
  • Drought is one of the major environmental disasters. Weather data, particularity rainfall, are currently the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widely used for drought monitoring. However, weather data are often from a very sparse meteorological network, incomplete and/or not always available in good time to enable relatively accurate and timely drought detection. Data from remote sensing platforms can be used to complements weather data in drought. Therefore, data obtained from the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AVHRR) sensor on board the NOAA polar-orbiting satellites have been studied as a tool for drought monitoring.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based vegetation condition index(VCI) were used in this study These indices showed their excellent ability to detect vegetation stress due to drought. The results clearly show that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drought in Korea can be detected and mapped by the VCI index.

Change of Decay Hazard Index (Scheffer Index) for Exterior Above-Ground Wood in Korea (국내 지상부 사용(H3) 목재의 부후위험지수(Scheffer Index) 변화)

  • Kim, Taegyun;Ra, Jong-Bum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2 no.6
    • /
    • pp.732-739
    • /
    • 2014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cent climate changes on wood decay hazard index (Scheffer index) in Korea. The index was determined using a climate data of 58 different locations obtained from the website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the wood decay hazard index was determined at the intervals of 10 years. Most of regions in Korea except Juju island showed wood decay hazard index values between 35 and 65, considered to be moderate decay hazard zones. But in recent 10 years (2003~2012), the wood decay hazard index was rapidly increased, resulting in showing many high decay hazard regions. The trend may be explained by the in crease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The recent climate change of Korea turning into the weather of subtropical region may explain the increase of wood decay hazard index.

Distribution of average rainfall event-depth for overflow risk-based design of detention storage basin (월류위험도 기반 저류지 설계를 위한 평균강우량도 작성)

  • Kim, Dae Geun;Park, Sun 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2 no.1
    • /
    • pp.15-22
    • /
    • 2008
  • This study collected the latest 30-year (1976~2005) continuous rainfall data hourly recorded at 61 meterological observatories in Korea, and the continuous rainfall data was divided into individual rainfall events. In addition, distribution charts of average rainfall event-depth were created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to the overflow risk-based design of detention storage basin. This study shows that 4 hour is appropriate for SST (storm separation time) to separate individual rainfall events from the continuous rainfall data, and the one-parameter exponential distribution is suitable for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rainfall event depths for the domestic rainfall data.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rainfall data using SST of 4 hour showed that the individual rainfall event was 1380 to 2031 times, the average rainfall event-depth was 19.1 to 32.4mm, and ranged between 0.877 and 0.926. Distribution charts of average rainfall event-depth were created for 4hour and 6 hour of SST, respectively. The inland Gyeongsangbuk-do, Western coastal area and inland of Jeollabuk-do had relatively lower average rainfall event-depth, whereas Southern coastal area, such as Namhae, Yeosu, and Jeju-do had relatively higher average rainfall event-depth.

Parameters of Runoff and Soil Erosion in the Burnt Mountains, Naksansa (낙산사 산불지역의 유출 및 토양침식 인자)

  • Park, Sang-Deog;Cho, Jae-Woong;Shin, Seung-Sook;Lee, Kyu-Song;Kim, Yu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03-607
    • /
    • 2006
  • 최근 산불발생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산불 발생지역의 토양침식으로 인한 2차적인 재해위험이 예상됨에 따라 산불 지역의 토양침식과 영향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산사 산불지역의 산지사면에 10개의 소규모 조사구를 설치하고 강우에 따른 토사유출량을 조사하였다. 토양침식 매개변수를 강우인자(강우량, 강우강도, 강우에너지), 지형인자(면적, 사면경사, 사면길이, 길이경사인자), 식생인자(전체피복도, 식생지수), 토양인자(투수계수, 유효입경, 유기물함량, 토심)로 구분하여 각각의 토양침식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 시간경과에 따른 토양침식의 관계도 분석하였다. 강우강도와 강우량이 커짐에 따라 토양침식민감도에 대한 식생피복도의 영향이 더욱 가중되며, 식생 회복이 빠른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른 누적 토양침식량의 변화는 크게 차이를 보였다. 낙산사 산불지역에서의 강우에 따른 토양침식은 강우에너지와 식생피복도의 관계가 가장 높았다.

  • PDF

Synoptic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 Climate Appeared in Seoul Rainfall and Climatic Index Data (서울지점 강우자료와 기후지표자료에 나타난 동아시아 기후의 종관적 변화특성)

  • Hwang, Seok-Hwan;Kim, Joong-Hoon;Yoo, Chul-Sang;Jung, Sung-Won;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8-21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Tree-ring width 지표자료, 태양흑점수, 남방진동지수(SOI) 및 지구온도 아노말리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서울지점 측우기 강우량 자료의 정확도를 가늠해 보았다. 그리고 한반도 인근지역의 Tree-ring width 지표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과거 동북아시아 기후변화 상관성과 변화특성을 파악해 보았다. 분석 결과 측우기 강우량 자료는 다른 비교분석 대상 자료들과 경향성과 변화심도가 매우 잘 일치하고 있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한반도 주변 6개 지점의 Tree-ring width 지표자료와의 비교분석결과, 장기적으로 동북아시아 기후는 시공간적으로 밀접한 상관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에는 장주기적인 재현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1960년 이후의 기후변화 특성은 통계적인 거동특성이나 변화폭이 과거의 재현사상의 한계를 넘지는 않으나 과거와는 다른 경향성과 불규칙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재현주기도 짧아지고 있어 과거와는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거자료에 근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동북아시아 기후변화 장기 예측에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the Properties and Suitability for Bivariat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Rainfall Event along the Inter-Event Time (최소무강우시간(Inter-Event Time)에 따른 강우사상 특성 및 이변량 확률분포형 적합성 검토)

  • Joo, Kyungwon;Shin, Ju-Young;Kim, Hanbee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3-463
    • /
    • 2017
  • 최근 다변량 확률모형 연구 및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패턴 연구의 증가에 따라 시계열로 기록되어 있는 강우량 자료로부터 강우사상(Event)을 분리하는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우사상은 최소무강우시간(Inter-Event Time)을 기준으로 전후강우가 독립적인 강우인지 연속적인 강우인지 구별하는데 이 최소무강우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이 각 사용되는 분야마다 일관되지 않은 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30년 이상 기록된 기상청 강우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를 위한 Huff 4분위법에서 사용되는 6시간의 최소무강우시간분터 지수확률분포 방법으로 얻어지는 최소무강우시간(일반적으로 12시간 내외)까지 최소무강우시간의 변화에 따라 분리된 강우사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강우사상의 이변량 빈도해석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연최대강우량 사상을 선정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최소무강우 시간에 따라 이변량 확률분포형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 PDF

The Relation of the Quality of Oriental Tobaccos to their Chemical Constituents I. Comparison of Quality and Chemical Properties of Leaf Tobacco Produced from Different Location and Season (환경요인에 따른 오리엔트종 잎담배의 화학적 특성과 품질과의 관계 I. 재배지역과 재배시기가 다른 잎담배의 품질과 화학성분 비교)

  • 류명현;손현주;조재성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3 no.1
    • /
    • pp.87-96
    • /
    • 1988
  • Some climatic factors and quality-ralated chemical properties were compared among conventional late and early transplanting in Korea, and conventional growing in Greece where climate for tobacco growth and quality is quite different from Korea. Precipitations were lowest and sunshine hours were highest for greece planting. Rainfall was 40% or less and the number of sunshine hours was higher by 20% or more in early transplanting than in conventional late planting during the period from 30 days to 80 days after transplanting in Korea.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nicotine, petroleum ether extracts of leaves were much higher in Greece planting than those in Korea planting. The content of volatile organic acids and volatile neutrals were highest with Greece culture, followed by early and late transplanting in Korea. The leaf quality evaluated by price showed the same trends. Ash content and pH level of leaves were considerably lower in early transplanting than late planting. Petroleum ether extracts, volatile organic acids and total nitroge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assigned grade price, while ash content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Quality indices were deviced and applied for the Quality evaluation.

  • PDF

Chang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Composition Following Summer Precipitation Variance (여름철 집중 강우량 변동에 의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성의 변화)

  • Hong, Cheol;Kim, Won-Seok;Kim, Jin-Young;Noh, Seong-Yu;Park, Ji-Hyung;Lee, Jae-Kwan;Kwak, Ihn-Si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2 no.4
    • /
    • pp.348-357
    • /
    • 2019
  •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dominant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ollowing summer precipitation variance, we surveyed twenty five sites of the main Seomjin River in May and September in 2014 and 2015. The temperature, precipitation, water quality factors and substrate composition, water depth and flow velocity,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benthos habitat environment, were collected and measured.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of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CP) between 2014 (2,322.1 mm) and 2015 (2,371.0 mm) in May. However CP in september was decreased by more than half in 2015 (3,726.1 mm) than 2014 (7,678.2 mm). Due to washing effect by summer precipitation, total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higher in May than in September. Chironomidae spp. and Choroterpes altioculus were dominated in May, Ecdyonurus levis, Ecdyonurus kibunensis were dominated in September.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mmunity indices and environment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low velocity and substrat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and PCA based on environment fators and dominant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Seomjin River, it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following CP and MT. Ecdyonurus levis and Ecdyonurus kibunensis reflect the effect of the decrease in summer precip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