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영길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5초

사용자의 시공간 컨텍스트를 이용한 모바일 앱 추천 (Mobile App Recommendation using User's Spatio-Temporal Context)

  • 강영길;황세영;박상원;이수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9호
    • /
    • pp.615-620
    • /
    • 2013
  •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앱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에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앱을 매번 찾아야 하는 문제점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앱 탐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시간 및 장소에 따른 사용자별 앱 사용 로그를 수집하고, 이를 학습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따라 최적의 앱 추천 리스트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앱 로그로부터 요일, 시간대, 주중주말 여부 등의 시간 속성과 주소명, POI 등의 장소 속성을 학습하여 최대사용빈도기반 예측 모델, Naive-Bayesian 예측 모델, SVM 예측 모델 등의 3가지 예측 모델을 생성한다. 최적의 예측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하게 조합된 학습 속성들을 학습한 예측모델들의 추천 정확도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단일 예측 모델의 성능 개선을 위한 하이브리드 추천 방법을 제안한다.

제주 조의 재식밀도에 따른 주요형질, 사초수량 및 조성분 변화 (Effects of Planting Densities on the Major Characters,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Jeju Italian Millet)

  • 조남기;강영길;김인식;조영일;오은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3-58
    • /
    • 2001
  • Jeju Italian millet was grown at five planting densities(5$\times$5, 15$\times$15, 20$\times$20, 25cm) form May 13 to Aug. 14, 2000 at jeju island to determine influence of planting density on agronomic characters, forage yield and quality. Days to heading increased from 87 to 89 days as planting density was decreased. In 5$\times$5cm planting density plot, plant height was 185.4cm and it was gradually decreased as planting density was increased. So in 30$\times$30cm planting density plot, plant height was 173cm. As planting density increased, stem diameter, the number of nodes per plant, the umber of leaves, leaf width and SPAD reading values was increased, the longer leaf length as the broader planting density. Fresh forage yield increased from 29.99 to 55.01MT/ha, dry matter(DM) yield from 8.04 to 15.59MT/ha, crude protein(CP) yield from 0.78 to 2.26MT/ha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TDN) yield from 3.65 to 7.93MT/ha as planting density was decreased. Crude protein content increased from 9.8 to 14.5% ether extract comtent from 1.4 to 1.9%, nitrogen free extract content from 38.4% to 38.9% and TDN content from 45.4 to 50.9%, but crude fiber content decreased from 34.5 to 30.1% and crude ash content from 9.1 to 8.0% as planting density was decreased.

  • PDF

제주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청예피의 사료수량 및 조성분 변화 (Effect of Seeding Date on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Roxb) Wight in Jeju Region)

  • 조남기;강영길;송창길;고영순;조영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7-224
    • /
    • 2001
  • In order to identify the growth characterization, th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Jeju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var. fiurnentacea(Roxb) Wight) based on seeding date in Jeju region, seeding carried out the 10-day intervals from March 27 to September 30 in 2000, respectively. Plant height was 143.2 cm, showing the highest on seeding date, April 6 among that of any other seeding date. On the other hand, those of early and late seeding gradually decrease. Plant height was 119.2 an in May 16 seeding. The results of stem diameter, number of withering leaves, number of leaves and fresh weight per plant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lant heights. The yield of fresh, dry matter forage, crude protein and TDN found the highest on April 6 seeding, 63.5 MT/ha, 13.9 MTha, 1.1 MT/ha, and 7.6 MT/ha, respectively. In early and late seeding, the yield was gradually decreased. In seeding May 16, the yield found .38.2 MTIha in fresh forage, 6.2 MTha in dry matter forage, 0.7 MT/ha in crude protein and 3.7 MTha in TDN, respectively. According to delaying the seeding date, March 27 to May 16,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from 7.9 to 10.8%), ether extract (from 4.6 to 6.0%), nitrogen free extract (from 45.1 to 46.5%), and TDN (from 54.2 to 60.8%) were gradually increased,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ose of crude fiber (from 28.9 to 25.6%) and crud ash (from 13.5 to 11.2%) were decreased. These results showed that April 6 was the optimum seeding date with the sole object of feed production of Jeju barnyard grass under the environmental condition like as atmospheric phenomena and soil in Jeju region. (Key words : Jeju barnyard grass, Seeding date, Forage yield, Chemical composition)

  • PDF

노인주택 계획을 위한 예비노년층의 건강의식 및 행위조사 (Analysis of the occupants' opinions and behaviors related to health issues for senior housing planning)

  • 최희승;윤정숙;전정윤;박은선;강영길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77
    • /
    • 2005
  • To design senior housing that support residents' health is one of the comtemporary issues in Korea. As elderly people became more healthful and reach, people became interested in the health and health promotion. This trend encouraged this research stud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middle aged people's opinions and behaviors related to health issues, and to suggest design considerations for senior housing. The survey used questionnaire from 476 resi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analysi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t-test. Primary findings are as follows: (1) Most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at their health state is 'good' and mental health is more important than physical health. (2) Many people exercise regularly for the promotion of health at a gym. (3) Results show that social relationship effect on health, and dietary life and walking medical examination account highly. (4) As the respondents are higher income and education level, the health-related behavior is more actively. Moreover the respondents who are women feel a great interest about health issues. These results suggest directions for planning of the senior housing. (1) Planning the space for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in the house or support a private gym-not a local facilities-. (2) Service for the information related health issues - medical examination, news of the health issues (3) Support the maintenance a good - social relationship (4) Consideration the space with health-related behavior like walking and dietary-life. The senior housing can reflect the health-related opinions and support health-related behavior of the elderly people.

  • PDF

몰래카메라 범죄방지를 위한 스마트폰 연동 기반의 IR 열카메라 탐지기 개발 (Development of IR Thermal Camera Detector based on Smartphone Interlocking for Hidden Camera Crime Prevention)

  • 강영길;조필구;김영곤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8
    • /
    • 2021
  • 몰카범죄의 증가에 발맞추어 은닉형 카메라는 스마트폰의 기술발전 속도에 따라 소형화 및 기술 집적이 고도화되어 성능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외적인 네트워킹 컴퓨팅 환경이 고도화 되고, 활동이 많은 현대인의 생활양상이 다양화됨에 따라 일반 안전용 카메라외에 은닉형 카메라에 노출 또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은닉형 카메라를 탐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기술은 이러한 은닉형 카메라 기술발전과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영상과 열화상 이미지 합성기술을 바탕으로 적외선 열 방식의 탐지기술을 이용하여 은닉카메라의 발열을 감지하고, 주변 온도 차이에 따른 각 파장의 반사율을 분석하여 오탐율도 줄이도록 하였다.

재식밀도가 단옥수수의 생육 및 이삭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Sweet Corn Hybrid)

  • 박승의;박근용;강영길;문현귀;정승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2-96
    • /
    • 1987
  • 단옥수수의 적정재식밀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82년 수원에서 간생 교잡종인 Golden Elite 70을 간기 및 보통기재배로 4수준의 재식밀도(4,500, 5.500, 6,500, 7,500본/10a)에서 재배한 후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기재배보다 보통기재배에서 간장, 착수고, 이삭크기 등은 컸으나 이삭수는 적었고 10a당 이삭무게는 비숫하였다. 2. 재배유형과 재식밀도의 상호작용은 이삭길이를 제외한 다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등의 형질에서 5% 수준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3. 재식밀도간 출사기, 간장. 착수고, 이삭크기는 차이가 없거나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개체당 이삭수는 밀식 할수록 감소되었다. 4. 10a당 이삭수와 이삭무게는 10a 당 6,500본까지는 밀식할수록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 밀식할 경우 감소되었다. 5. 따라서 단옥수수의 적정재식밀도는 재배유형에 관계없이 10a당 6,500본 정도가 알맞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성숙정도에 따른 풋찰옥수수의 수분, 전당함량 및 맛의 변화 (Maturity Effects on Moisture, Total Sugar Contents and Flavor of Fresh Waxy Corn)

  • 강영길;차영훈;김수동;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0-73
    • /
    • 1988
  • 풋찰옥수수의 수확적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1984년 수원과 청주에서 홍천재래을 공시하여 출사(수원에서는 수분)후 15일부터 40일까지 5일 간격으로 6회에 걸쳐 수확하여 종실의 발육, 수분 및 전당함량, 삶은 옥수수의 맛, 찰기, 경도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장과 입폭은 출사후 15일부터 30일까지 크게 증가하였고 그 후 다소의 증가에 그쳤으며 입후는 출사 20일 이후 거의 증가되지 않았다. 2. 생체 100립중은 출사후 30일까지 크게 증가된 반면 그 후에는 다소의 증가에 그치였고 건물 100립중은 출사후 15일부터 40일까지 거의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3. 종실의 수분함량은 성숙정도가 진전됨에 따라 직선적인 감소를 보였다. 전당함량은 출사후 20일에 가장 않았고 그 후 감소되었다. 4. 맛과 찰기는 출사후 15일부터 30일까지 크게 증가되었고 맛은 그 후 감소되었으나 찰기는 출사후 35일까지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가 그 후 다소 감소되었다. 식용에 알맞는 경도는 출사후 30∼35일 이었다.

  • PDF

퇴비시용과 질소시비 방법이 단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ost, Rate and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 on Growth and Yield of Sweet Corn)

  • 강영길;박승의;박근용;문현귀;이성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0-145
    • /
    • 1985
  • 퇴비시용량 (0, 1,500kg/10a) 및 질소시비량 (0, 5, 10, 15, 20kg/10a)과 질소반양추비(1982년, 15, 20kg/10a의 경우)에 따른 단옥수수 Sun glow(1982년 공시) 및 Honey Bantam-9 (1983년 공시)의 생육 및 수량성은 다음과 같다. 1. 퇴비시용은 이삭의 크기를 증대시켰고 10a당이삭무게를 약 10% 증가 시켰다. 2. 10a당 이삭수는 10a당 질소 10kg까지 증비할 때는 크게 증가하였고 이삭무게는 무퇴비구에서는 10a당 질소 20kg까지도 증수되었으나 퇴비시용구에서는 10a당 질소 10kg 까지만 큰 증수를 보였다. 3. 10a당 지상부 건물수량은 무퇴비구에서는 10a당 질소 15kg, 퇴비시용구에서는 질소 10kg까지 크게 증가 되었다. 4 지상부 질소흡수량은 무질소에서 8.1kg였고 10a당 질소 20kg 시용에서 18.8kg로 질소시비량 증가에 따라 직선적인 증가 경향이었다. 5 10a당 이삭수, 이삭무게, 건물중 등을 고려한 적정 질소시비량은 10a당 10-15kg로 보여진다. 6, 질소추비의 효과는 이삭크기, 10a당 이삭수 및 이삭무게 등에서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정식시기가 야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on Growth and Yield of Yacon)

  • 강영길;고미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8-193
    • /
    • 2004
  • 제주지방에서 야콘의 적정 정식시기를 구명하고자 50일 프러그묘를 3월 24일부터 6월 7일까지 15일 간격으로 6회 정식하여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 경장, 주경직경, 주당 절수 등은 5월 23일 이후 정식부터 크게 감소되었다. 2. 주당 상품성 있는 괴근수는 3월 23일∼4월 23일 정식시기 간에는 6.0개 내외로 차이가 없었으나 5월 8일 이후 정식할 경우 크게 감소되어 6월 7일 정식구에서는 1.9개에 불과하였다. 3. 상품수량은 3월 24일과 4월 8일 정식구에서는 27 MT/ha 내외로 비슷하였고 4월 23일 정식구에서 32.4 MT/ha로 증가되었다가 그 이후 정식구에서는 크게 감소되어 6월 7일 정식구에서는 5.4 MT/ha에 지나지 않았다. 4. 괴근의 건물율과 가용성 고형물함량은 정식시기에 따른 차이 없이 각각 14%, 15% 내외였다. 평균 괴근중은 3월 24일∼4월 23일 정식에서는 153∼183.9g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5월 7일 이후 정식할 경우 크게 감소되었다. 5. 수량과 품질, 만상해 우려, 육묘비용 등을 고려할 때 제주지방에서의 야콘의 적정 정식시기는 4월 중∼하순으로 조사되었다.

제주조의 질소시비량 차이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Effects of Nitrogen Application Rate on Growth Characters, and Feed Value in Jeju Italian Millet)

  • 조남기;강영길;송창길;고동환;조영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1-76
    • /
    • 2003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질소시비량 차이(0, 50, 100, 150, 200, 250kg/ha)에 따른 제주조의 생육반응, 수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0년 5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92일에서 98일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초장은 무비구에서 96cm였던 것이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져서 200kg, 250kg/ha 시비구에서 각각 134cm, 135cm였으나 두 시비구 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무비구에서 질소시비량이 250kg/ha 증가함에 따라 생초수량은 18.88MT/ha에서 42.82 MT/ha로 건물수량은 8.45MT/ha에서 12.25 MT/ha, 단백질수량은 0.76MT/ha에서 1.59MT/ha, TDN수량은 4.32MT/ha에서 6.79 MT/ha로 증가되었으나 200kg/ha과 250kg/ha의 두 시비구 간에 모든 수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무질소구에서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 함량은 9%에서 13.0%로, 조지방은 1.4%에서 1.7%로, 가용무질소물은 46.1%에서 46.9%로, TDN 함량은 51.1%에서 55.5%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조회분 함량은 8.7%에서 8.2%로, 조섬유 함량은 34.9%에서 30.2%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