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수재

Search Result 18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유성지역 소유역에서의 강수, 지표수, 지하수의 수소동위원소 모니터링

  • 박준형;고용권;박경우;정형재;김교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87-591
    • /
    • 2003
  • 방사성폐기물 처분연구의 일환으로 결정질 암반에서의 지하수의 함양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지역의 강수량, 지표유출량 및 지하수위 변동량을 시간별로 일정기간동안 모니터링하였고 채취된 강수, 지표수 및 지하수의 수소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강수사건 (Rainfall event)에 따른 지표유출량과 지하수위는 급격히 증가되며, 지하수위는 약 1일경과 후 최대값을 갖는다. 연구지역 5개 시추공으로부터 모니터링된 지하수위결과는 강수사건에 따라 지하수위의 증감특성을 보여주나, 변화되는 양상은 시추공의 수리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지표수 및 지하수의 수소동위원소조성은 강수사건에 따라 상응하여 변화되고 있어, 강수, 지표수 및 지하수의 양적변화와 함께 동위원소결과의 해석은 지하수의 함양특성을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Unmanned Multi-Sensor based Observation System for Frost Detection - Design, Installation and Test Operation (서리 탐지를 위한 '무인 다중센서 기반의 관측 시스템' 고안, 설치 및 시험 운영)

  • Kim, Suhyun;Lee, Seung-Jae;Son, Seungwon;Cho, Sungsik;Jo, Eunsu;Kim, Kyura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4 no.2
    • /
    • pp.95-114
    • /
    • 2022
  •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utomatic frost observation and the related image data acquisition through the design and installation of a Multiple-sensor based Frost Observation System (MFOS). The MFOS is composed of an RGB camera, a thermal camera and a leaf wetness sensor, and each device performs complementary roles. Through the test operation of the equipment before the occurrence of frost, the voltage value of the leaf wetness sensor increased when maintaining high relative humidity in the case of no precipitation. In the case of Gapyeong- gun, the high relative humidity was maintained due to the surrounding agricultural waterways, so the voltage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GB camera image, leaf wetness sensor and the surface were not observed before sunrise and after sunset, but were observed for the rest of the time. In the case of precipitation, the voltage value of the leaf wetness sensor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precipitation period and decreased after the precipitation was terminated. In the RGB camera image, the leaf wetness sensor and surface were observed regardless of the precipitation phenomenon, but the thermal camera image was taken due to the precipitation phenomenon, but the leaf wetness sensor and surface were not observed. Through, where actual frost occur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voltage value of leaf wetness sensor was higher than the range corresponding to frost, but frost was observed on the surface and equipment surface by the RGB camera.

Merging of multiple resolution-based precipitation data using super resolution convolution neural network (Super Resolu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RCNN)를 이용한 다중 해상도 기반의 강수 데이타 병합)

  • Gyu-Ho Noh;Kuk-Hyun Ah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1-121
    • /
    • 2023
  • 다수의 서로 다른 해상도의 자료를 병합(Merge)하는 것은 강수 자료 사용에 중요한 절차 중 하나이다. 강수 자료는 다수의 소스(관측소, 레이더, 위성 등)에서 관측 자료를 제공한다. 연구자들은 각 원본 자료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중소스 기반의 재분석 강수 자료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방법은 자료를 병합하기 위해 서로 다른 공간적 특성을 갖는 자료들을 공간적으로 동일한 위치로 보간(Interpolation)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보간 절차는 원본자료에 인위적인 변형을 주기 때문에 많은 오차(Error)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합 과정에서 보간 절차를 제외하고 원본 해상도 자료를 그대로 입력하기 위해 머신 러닝 방법의 하나인 Super resolu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RCNN)에 기반한 병합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원본 자료의 영향을 모델이 직접 취사선택하여 최종 자료에 도달하기 때문에 병합 과정의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hanges in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Precipitation Due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의 시공간적 발생 패턴의 변화 분석)

  • Kim, Dae-Jun;Kang, DaeGyoon;Park, Joo-Hyeon;Kim, Jin-Hee;Kim, Yongseok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3 no.4
    • /
    • pp.424-433
    • /
    • 2021
  • Recent climate change has caused abnormal weather phenomena all over the world and a lot of damage in many fields of society. Particularly, a lot of recent damages were due to extreme precipitation, such as torrential downpour or drough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the precipitation pattern in South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selected some of the precipitation indice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o compare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induced by climate change. This study selected ten ASOS observatorie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o understand the change over time for each location with considering regional distribution. This study also collected daily cumulative precipitation from 1951 to 2020 for each point. Additionally, this study generated high-resolution national daily precipitation distribution maps using an orographic precipitation model from 1981 to 2020 and analyzed them. Temporal analysis showed that although annual cumulative precipitation revealed an increasing tren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showed a decreasing trend at most observation points, but the number of torrential downpour days revealed an increasing trend. Spatially, th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and the number of torrential downpour days decreased in many areas over time, and this pattern was prominent in the central region. The precipitation pattern of South Korea can be summarized as the fewer precipitation days and larger daily precipitation over time.

Magnetic Particles in Rainfalls: An Environmental Magnetic Evaluation (강수 함유 자성물질에 대한 환경자기학적 분석)

  • Baatar, Amarjargal;Yu, Yong-Jae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2
    • /
    • pp.99-106
    • /
    • 2010
  • To evaluate a potential wash-out effect of rainfalls, a preliminary environmental magnetic test was attempted. Measurement of isothermal remanent magnetization (IRM) and intensive microscopic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on the solid particles extracted from the rainfalls collected for the past year (2009) in Daejeon, Korea. Dust particles collected from the rain-free (daily dust) or dustheavy days (during the Asian dust storm event) were also used as a comparison. IRMs were unanimously low for the solid particles extracted from the rainfalls, indicating an efficient wash-out effect of rainfalls as long as the magnetic concentration is concerned. Electron microscopy identified carbonbearing material, (carbon-coated) magnetite, and quartz.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arbon-containing particles were produced by anthropogenic fossil fuel combustion.

A Study on the Woodblock Cultural Properties in Chungbuk Region (충북(忠北)의 책판(冊版) 문화재(文化財)에 관한 연구(硏究))

  • Park, Moon-Year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7 no.1
    • /
    • pp.131-15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hysical and textual characteristics of five woodblocks designated as the Chungbuk Cultural Properties. Those woodblocks include Gwangguk-jigyeongrok, Songwonhwadongsa-happyeongangmok, Namchungjanggong-sigo, Nuljaegangsu-yugo, and Hwaljaeseonsaeng-munjip. In this study, discussed are the current physical conditions and the state of preservation of those woodblocks since they were designated as the Chungbuk Cultural Properties.

  • PDF

Prediction of Precipitation deficiency and Intensification of Drought Condition in Zimbabwe using GCM for Mar.-Oct.,2016 (GCM을 이용한 2016년 3-10월 짐바브웨 강수 및 가뭄전망 예측)

  • Choi, Kyung Min;Oh, Ja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6-156
    • /
    • 2016
  • 2016년 2월 5일, 짐바브웨는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인구의 4분의 1이상이 식량난을 겪고 있다며 '국가 재난 사태'를 선포하였다. 한때 아프리카 곡창지대로 불리던 짐바브웨가 극심한 가뭄을 겪게 된 데에는 2015/16년 슈퍼엘니뇨의 영향이 크게 한 몫을 하였는데, 이는 남반구의 여름인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인 짐바브웨의 우기가 2015/16년 슈퍼엘니뇨 강도가 절정에 달했던 시기(10월에서 2월)와 겹쳐져 짐바브웨의 강수량이 슈퍼 엘니뇨의 영향을 받게 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4월부터는 엘니뇨의 영향을 받은 우기가 끝나고 건기가 시작되기 때문에 앞으로 가뭄이 얼마나 더 악화될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짐바브웨의 기후를 살펴보면,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은 건조기후 중에서도 비교적 그 정도가 약한 기후인 반건조 지대에 속한다. 하지만 연강수량 변동에 따라서, 비가 내리는 해에는 토양 수분이 과잉되고 비가 적게 내리는 해에는 심한 물 부족 현상이 일어나게 되기 때문에, 건기가 시작되는 4월부터 짐바브웨 강수 예측은 가뭄이 얼마나 지속될지를 파악하는 데에 아주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수 예측 결과를 중심으로 2016년 짐바브웨의 가뭄이 얼마나 지속되고, 또 가뭄의 강도는 어떻게 될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GCM을 이용하여 2016년 3월에서 10월까지 장기예측을 수행하였다. 경계 자료로는 ECMWF (European Centre for Medium Range Weather Forecasts)에서 제공하는 Sea Ice자료와, NOAA OI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Optimum Interpolation) Weekly SST자료를 사용하였고 엘니뇨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IRI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의 ENSO forecast를 참고하여 SST아노말리에 월별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초기 입력 자료로는 1월 21-30일 10일간의 ECMWF의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총 10개 멤버의 앙상블 예측을 수행하였고, 8개월(3-10월) 기간에 대해 약 한 달간의 spin-up time을 주었다. 예측 자료를 모델 climatology와 비교하여 월 평균 강수 전망을 분석하였고, 기온과 해면기압의 월 평균자료도 추가 분석하였다. 또한 짐바브웨 지역의 강수 관측 자료와 모델 예측 자료를 이용하여 특정 도시들의 1년 누적강수를 예측 및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이 결과를 통해 짐바브웨의 가뭄지속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