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수분포

검색결과 512건 처리시간 0.024초

레이더 상수를 이용한 UHF 윈드프로파일러 표준화 (UHF Wind Profiler Calibration Using Radar Constant)

  • 이경훈;권병혁;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819-826
    • /
    • 2020
  • 기상청의 UHF 대역 윈드프로파일러 레이더는 바람의 연직 분포를 산출하는 장비로, 더 나은 성능을 위해 보정이 필요하다. 보정은 강수에 민감한 UHF 레이더의 특징을 이용하고, 레이더 사이트에서 우량계로 측정한 시간별 일련의 지상 강우 강도를 기준으로 한다. 장비 보정을 하지 않으면 청천에서도 바람 벡터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레이더 상수 결정 방법에 따라 정기적으로 보정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레이더 산출 바람을 라디오존데로 관측한 바람과 비교하여, 최적의 레이더 상수가 바람의 정확도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 연근해 고등어(Scomber japonicus) 알의 비중과 수직분포 (Buoyancy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ackerel Scomber japonicus Eggs in Korean Waters)

  • 정경미;강수경;차형기;최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957-965
    • /
    • 2013
  • This study simulated the egg vertical distribution of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Korean waters using general numerical models. All eggs were spawned naturally by raising broodfishes (May-June 2013), and the egg specific gravity was measured by a density-gradient column. CTD surveys provided environmental data (e.g., temperature and salinity) in May near Jeju Island, Korea. The egg specific gravity during the early stages ranged from 1.0203-1.0211. In general, the fertilized eggs showed a gradual decline in egg specific gravity until full development of the main organs, with a sudden increase just before hatching. Modeled egg vertical distributions were influenced more by wind speed than by egg buoyancy and vertical structure of the sea water. During calm and normal wind speeds, the eggs were distributed from the surface to 25-m depths. Under strong wind conditions (three times higher than the normal speed), the egg concentration on the surface decreased, and the egg distributional depth was deeper (~50 m).

소수력발전소의 수문학적 성능특성 분석 (Hydrologic Analysis Methods fo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mall Hydro Power Plant)

  • 박완순;이철형;심명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159-1166
    • /
    • 1994
  • 본 연구는 소수력발전소의 성능분석 및 예측기법에 관한 것으로 소수력발전소에서의 유량지속곡선을 작성하기 위해서 Weibull 분포의 누가밀도함수를 사용하여 강수자료를 특성화하였고, 특성화된 유량지속함수를 이용한 성능분석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한강수계에 위치한 안흥소수력발전소를 대상으로 개발된 성능분석모형을 이용하여 발전소의 성능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문자료가 부족한 소수력발전소의 경우, 개발된 성능분석모형을 이용하여 기존 소수력발전소에 대한 성능분석 뿐만 아니라 발전소의 초기 설계시 설계유량, 설비용량, 연 평균가동율 및 연간 발전량 등의 성능 예측에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실측 분석기법과 시뮬레이션 분석 기법에 의한 아트리움 열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by a method using thermometers and computer simulations on the Atrium)

  • 이소연;안정수;김강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9권5호
    • /
    • pp.28-34
    • /
    • 2009
  • The atrium in the building has many advantages including its aesthetic and functional effect. But the upper part of the atrium has the thermal problem of overheating due to insolation through the window. But natural ventilation aided buoyancy effect can be a solution to mak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Proper design of openings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rmal environment in the atrium. In this study, thermal evaluations were performed to improve thermal environment in the atrium. Indoor thermal environment of an atrium at Seoul was measured in the field and simulated wit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code. The turbulent flow model adopted is $K-{\varepsilon}$ model. The results of computer simulations are compared with the measurements at the point in the atrium. In order to improve the indoor ventilation environment of the atrium, thermal environment evaluations of six alternatives were conducted. After evaluations of the results, the design guidelines of an atrium are suggested.

의암땜 하류수역의 철분량과 그 분포 (The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Iron In The Water Of Lake Eui-Am)

  • 최상;곽희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2-58
    • /
    • 1970
  • 하천수는 강수와 이것이 지하에 침투하여 다시 지표에 솟아나온 것으로 이루어지고, 대소의 분,지류가 합쳐져서 하나의 수계를 이룬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하천수는 지표 및 지하의 각종 성분을 용해하여 포함하게 되며, 이것으로 말미암아 각 지역별 수계는 독특한 수질적 특성을 자아내게 한다. 이와같은 수계의 지역적인 수질적 특성은 수자원의 종합적 이용면에서 반드시 해명되어야 하는 중요한 사항이고, 또 이것은 우리나라의 지표수의 수질규준설정에 있어서도 꼭 알아두어야 하는 중요한 지견이다.

  • PDF

히스토그램 분포 모델링 기반 TFT-LCD 결함 검출 (TFT-LCD Defect Detection based on Histogram Distribution Modeling)

  • 구은혜;박길흠;이종학;류강수;김정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519-1527
    • /
    • 2015
  • TFT-LCD automatic defect inspection system for detecting defects in place of the visual tester does pre-processing, candidate defect pixel detection, and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through a blob analysis. An over-detection result of defects acts as an undue burden of blob analysis for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defect detection method based on the histogram distribution modeling of TFT-LCD image to minimize over-detection of candidate defective pixels. Primary defect candidate pixels are detected estimating the skewness of the luminance distribution histogram of the background pixels. Based on the detected defect pixels, the defective pixels other than noise pixels are detected using the distribution histogram model of the local area.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proposed method shows an excellent defect detection result on the image containing the various types of defects and the reduction of the degree of over-detection as well.

색상과 질감을 이용한 객체 분할과 히스토그램 영역 계산을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 (The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the Histogram Area Calculation and Color and Texture using Object Segmentation)

  • 장세영;한득수;유기형;유강수;곽훈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229-23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HAC(Histogram Area Calculation)방법과 영상의 객체분할 방법을 소개한다.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영상은 색상 공간의 특징 때문에 조명에 매우 민감하여 빛의 강도에 따라 유사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공간적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아, 전혀 다른 모양의 영상일지라도 칼라 분포가 같은 영상으로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히스토그램 영역을 임의의 영역으로 나눠, 영역들의 유사성을 매칭(matching) 시킨다. 2차 검색방법으로 원 영상에서의 색상 질감 정보가 동일한 영역을 군집화 하여, 영상 분할된 객체들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방법이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이 전통적인 히스토그램 방법보다 검색 성능이 효율적인 결과를 얻었다.

  • PDF

VCI와 SVI를 이용한 2008년 가을가뭄 심도분석 (Drought Severity Analysis Using VCI and SVI in the Fall of 2008)

  • 박정술;김경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570-1574
    • /
    • 2009
  • 2008년 여름 우리나라는 예년과 달리 홍수기에 북상하는 태풍이나 8월말에서 9월초까지 발생하던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홍수기 이후에도 중국에서 다가오는 동서고압대의 지속적인 영향으로 9월 중순 최고기온을 경신하면서, 강수가 없는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었다.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8월말 이후 심화된 가뭄은 9월 중순에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도서지역의 부분적인 제한급수가 실시되거나 밭 작물 재배에 피해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기반의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2008년 가을가뭄의 시공간적 변화와 행정구역별, 권역별 가뭄 우심지역을 판별하였다. 또한, 가뭄정보를 제공하는 가뭄모니터링 시스템의 가뭄지수와 가뭄의 변화와 심도 등을 비교하였다. 위성영상자료는 MODIS NDVI를 이용하여 제작한 VCI와 SVI를 이용하였으며, 수자원공사의 '가뭄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주 단위의 가뭄지수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통합수자원평가계획 시스템개발'에서 제공하는 월 단위의 가뭄지수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행정구역상으로는 전라남 북도와 경상남도 지역이, 권역별로는 섬진 영산강 권역에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식생지수 기반의 가뭄발생지역 판별 결과와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와 PDSI의 가뭄분포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중부(中部) 산림(山林) 지역(地域)의 증발산량(蒸發散量) 추정(推定)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in a Forest Watershed in Central Korea)

  • 김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1호
    • /
    • pp.86-92
    • /
    • 1999
  • 증발산량은 산원 수자원의 제한 요인이며, 한편으로는 임목의 생장, 분포에 관여하는 중요한 생태계의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식생에 의한 증산은 주로 기상학적 요인에 의하여 좌우된다. 조사 유역의 하부는 수고 8m의 소나무로 밀생되어 있으며, 상부는 생장이 불량한 소나무와 참나무류가 산생하고 있다. 1993년도 강수, 유출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구하고, Penman-Monteith 모델의 수관저항을 정하여, 이 모델에 의한 산림지역의 일 증발산량의 계절적 변이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연간 증발산량은 590.3mm이었으며 수관저항값은 99s/m로 결정되었다. 연간 증발산량 중에서 5월의 증발산량이 106.4mm로 가장 큰 값을 나타내며 이는 식생에 의한 수관차단 및 증산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었다.

  • PDF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업용저수지 필요저수량 변화 분석 (Analysis of Storage Require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with regard to Climate Change)

  • 윤동균;정상옥;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2-376
    • /
    • 2010
  • 기후변화에 의한 각 분야의 영향예측과 평가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 결과가 국제기관들에 의해 종합 정리되어 발표되고 있다. 또한 이를 토대로 범 지구차원, 국가차원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시아 몬순 기후 지역으로 년 평균 강수량이 1,270mm 정도로 세계 평균의 1.3배 정도로 비교적 많은 편이나 1인당 강수 총량은 세계평균의 1/11로서 물부족 국가에 속하고 있다. 년간 강수량의 분포는 계절적, 지역적으로 큰 차이를 보여 다우기인 6월에서 9월까지의 강수량이 2/3을 차지하며 그 후 이듬해 3월 까지의 강수량이 전체의 1/5에 불과해 여름에는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가 빈발하며, 겨울과 봄에는 물 부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과 기온은 지역적으로 차이는 있으나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수자원은 더욱 취약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업용저수지에 대한 필요저수량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2020s, 2050s, 2080s 및 각 지역별로 많은 차이가 났다. MM5의 경우 13.1%~37.4%, CF방법에서는 -7.3%~36.2%, LARS-WG방법에서는 -33.1%~37.8%로 지역별 및 년도별로 남거나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래에 내리는 강우가 관개기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