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모래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열 수송관로 되메움재의 마찰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riction Characteristics of Backfill Material for Heat Transport Pipeline)

  • 김유성;박영준;조대성;방인황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73-81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열 수송관로 직선부에서 마찰계수의 증가를 통해 관로의 최소 설치길이를 감소시켜, 현장 시공 시 매설깊이의 증가를 억제하고,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신축이음관의 설치를 줄여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곡선부에서는 마찰계수의 감소를 통해 신축흡수재의 수명 연장을 도모하여 열 수송관로의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되메움재인 강모래보다 큰 내부마찰각을 가진 되메움재와 작은 내부마찰각을 가진 되메움재를 개발하였다. 곡관부에 타이어 분말 혼합 되메움재를 사용할 경우, 관경이 커질수록 신축흡수재에 가해지는 마찰력의 감소 경향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경 900mm에서의 마찰력은 약 38% 감소를 보였다. 강모래+fly-ash 혼합 되메움재를 사용할 경우, fly-ash 혼합비 1.5%에서 최소 설치길이의 감소효과는 약 30%, fly-ash 혼합비 3%에서 최소 설치길이의 감소효과는 약 50%로 나타나고 있어, 열 수송관로의 효율적인 시공 및 유지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송배전관로 되메움재로 활용하기 위한 국내 순환골재의 다짐 및 열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ompaction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Recycled Aggregates for Backfilling Power Transmission Pipeline)

  • 위지혜;홍성연;이대수;박상우;최항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7호
    • /
    • pp.17-33
    • /
    • 2011
  • 천연 골재자원의 고갈로 인해 송배전관로 되메움재의 대체골재로서 재생 순환골재 이용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순환골재를 송매전관로 메움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열적 특성 규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송배전관보 되메움재로 활용하기 위한 폐콘크리트 순환골재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각 지역에서 채취한 순환골재와 대조군인 일반 강모래를 대상으로 실내다짐시험을 수행한 후, 비정상 열선법과 비정상 탐침법을 이용하여 열저항을 측정하였다. 저함수비 구간에서 비정상 탐침법을 이용한 열저항 측정값은 탐침관입에 따른 시료교란 효과로 인해 비정상 열선법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측정되었다. 전체 순환골재의 열저항 측정 결과, 대조군인 강모래와 유사하게 함수비 증가에 따른 열저항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기존 열전도도(열저항) 예측 모델에 의한 열저항 예측값과 순환골재의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순환골재에 열저항 예측에 적합한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생 순환골재를 송배전판로 되메움재로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능유바위솔의 분화 재배시 광도, 분용토, 시비 수준에 따른 생육과 품질의 변화 (Growth and Quality Affected by Light Intensity, Potting Media and Fertilization Level in Potted Orostachys 'Nungyu bawisol')

  • 천영신;이상우;정경진;하수현;배종향;윤재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7-364
    • /
    • 2011
  • 능유바위솔을 분화로 재배하고자 할 때, 적정 광도 와 내음성정도, 적정 분용토, 그리고 적정 시비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능유바위솔은 52% 차광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82% 차광까지는 생육이 감소하기는 하지만 상품성은 유지되어 내음성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90% 이상의 차광에서는 고사주가 발생하였으며, 엽색도 탈색되고 잎이 위로 서는 등 관상가치가 크게 저하되었다. 분용토로는 마사토 : 유비상토 : 강모래(6 : 2 : 2, v/v/v) 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특히 지상부 생체중의 경우 다른 용토에서는 약 4~8g 범위였으나, 마사토 : 유비상토 :강모래(6 : 2 : 2, v/v/v)에서는 16g으로 2배 이상의 생육량을 보였다. 시비조건은 Hyponex 액비를 1,000~2,000배액으로 1회/주 처리했을 때, 생체중 및 초폭, 분지수 등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다. 특히 생체중의 경우 대조구(무처리)가 16g인데 비해 1,000배액 1회/주와 2,000배액 1회/주 처리에서 약 29g으로 80% 정도 생장량이 증가하였다. 엽색에서는 액비의 농도가 높을 수록 엽색이 짙어지는 경향이 보였다.

혼합모래를 사용한 시멘트 모르터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Cement Mortar Using Blended Sand)

  • 박용규;김민호;윤기원;류현기;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기술논문발표대회 논문집
    • /
    • pp.65-68
    • /
    • 2005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cement mortar mixed with more than 2 kinds of sand. For fresh mortar properties, unit volume weight is constant regardless of mixing content and type of sand. An increase in contents of river and crushed sand resulted in an increase in flow, whereas an increase in recycled sand contents reduced flow. Gap between maximum flow in N3C0R0 and minimum flow in N0C0R3 exhibited about $12\%$. Compressive strength at 28 days ranged from 32 to 36 MPa in order for crushed sand, river sand and recycled sand. Mortar with mixed sand along with river sand and crushed sand showed compressive strength comparable to crushed sand. An increase of fraction of recycled sand in mixed sand resulted in a decrease in compressive strength. For drying shrinkage, N0C0R3 had the largest drying shrinkage among various mixture type. The combination of large contents of recycled sand and small contents of river and crushed sand had a large amount of drying shrinkage.

  • PDF

자연과학적 방법을 통한 앙덕리 토기의 원료산지 분석 (Origin of Raw Materials of Angdeok-ni Earthenwares Based on Geoscientific Data)

  • 양동윤;김주룡;한창균;이승구
    • 고문화
    • /
    • 58호
    • /
    • pp.3-24
    • /
    • 2001
  • 앙덕리 유적에서 출토한 토기의 원료산지 추정을 위하여, 실체현미경과 편광현미경분석, X선회절분석(XRD) 그리고 희토류원소분석을 하였다. 분석된 유물은 신석기시대 토기 1점, 청동기시대 토기 4점, 초기철기시대 토기 4점이다. 광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결과와 희토류원소분석 결과에 의하면, 9점의 토기 중에서 5점이 같거나 유사하게 나왔다. 광물학적 분석과 희토류원소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AD1은 외부에서 유입된 토기원료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AD22는 강뻘 기원의 토양을 이용하였고, 나머지는 반상섬장암, 흑운모화강암, 각섬석반려암을 이용하였다. 또한 비짐은 호상편마암이나 흑운모화강암 기원의 재료 또는 강모래를 이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토기의 원료로 가장 많이 이용된 재료는 기원암인 반상섬장암인데, 이것은 유적에서 약1km 떨어진 회현리 일대에 분포한다. 이번에 이루어진 광물학적 분석과 희토류원소분석은 토기원료의 기원지를 추정하는데 좋은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 PDF

窯業廢棄物을 콘크리트용 骨材로 再活用하기 위한 硏究 (A Research on the Recycling of Ceramic Wastes as an Aggregate for Concrete)

  • 문한영;김기형;신화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0권2호
    • /
    • pp.41-49
    • /
    • 2001
  • 본 논문은 여주, 이천 등지의 도자기 공장지대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폐도자기를 파쇄하여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 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정리한 내용이다. 실험방법으로써는 요업폐기물을 파쇄하여 크기에 따라 콘크리트용 잔골재와 굵은골재로 분류한 후 대체율을 달리하여 모르터 및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유동성 및 재령별 압축강도 등 콘크리트의 기초적 성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요업폐기물을 잔골재로 사용한 모르터의 경우, 강모래만을 사용한 모르터보다 대체율에 관계없이 플로우 값 및 압축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용으로 요업폐기물 잔골재로 대체한 콘크리트의 경우 슬림프 값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나타났으나, 압축강도의 경우 요업폐기물을 잔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는 초기재령에서는 낮게 나타났으나 장기재령에서는 요업폐기물 골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거의 유사하거나 오히려 상회하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불포화 다공질매질의 물성치 측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Physical Parameters of Unsaturated Porous Media in the Laboratory)

  • 김만일
    • 지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69-177
    • /
    • 2004
  • 포화 및 불포화 상태로 이루어진 지반 내에서 지하수의 함량 및 오염물질의 침투 이동은 지반을 구성하고 있는 다공질 매질의 공극률과 유효공극률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불포화 매질에 대한 유효공극률을 측정하기 위해서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FDR) system 및 측정센서를 개발하여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측정된 유전율상수의 관계로부터 유효공극률을 산정할 수 있는 유전을 믹싱모델(dielectric mixing model)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에서 불포화 흙 시료인 표준사(standard sand)와 강모래(river sand)의 유효공극률의 범위는 공극률과 비교해 약 65∼85% 내외에서 측정되었다. 특히, 측정된 유효공극률과 공극률의 관계에서 공극률이 증가할수록 유효공극률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흙 입자사이의 공극 내에 존재하는 미량의 공기에 의한 것으로써 불포화 상태의 흙 칼럼이 충분히 포화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폐 PET 병을 이용한 경량모르터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Mortar Using Lightweight Aggregate with Waste PET Bottle)

  • 최연왕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2권5호
    • /
    • pp.16-22
    • /
    • 2003
  • 폐 PET 병을 재가공하여 콘크리트용 경량골재(LAPET)로 제조하였으며, LAPET의 품질 및 LAPET사용 모르터의 물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LAPET의 비중 및 단위용적 중량이 각각 1.39 및 844 kg/㎥로 강모래에 비하여 매우 작으며, LAPET의 혼합률이 클수록 골재의 비중이 작아지므로 강도가 크게 떨어졌으나, LAPET를 25 및 50%로 혼합한 경우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30 MPa 이상의 강도를 발현하였다. LAPET의 입형은 대부분이 일정한 형대로 둥근 모양을 지니고 있었으며, 표면조직이 매끄러워 모르터의 유동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한편, LAPET가 단입도로 구성되어 있어 모르터의 모세관 흡수량은 LAPET를 혼합하지 않은 모르터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LAPET의 내부구조는 유기질 계통의 고분자 재료인 PET로 구성되어 있어 흡수율이 0%이므로 일반 경량골재의 단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LAPET를 경량콘크리트용 골재로 재이용하게 되면 폐 자원 재활용 및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기대된다.

요각류 Paramphiasella vararensis(T. Scott) (Hapacticoida: Diosaccidae)의 유생 발생: I. nauplius 유생의 발생 (The larval development of Paramphiascella vararensis(T. Scott) (Copepoda: Harpacticoida: Diosaccidae) reared in laboratory: I. Larval development of nauplius stages)

  • 정민민;이화자;김형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3호
    • /
    • pp.233-237
    • /
    • 2000
  • Harpacticoida 목, Diosaccidae 과에 속하는 Paramphiascella vararensis를 실험실내에서 배양하여 nauplius 단계의 유생 발생을 기술, 도시하였다. P. vararensis는 부화 후 VI단계의 nauplius 유생기가 관찰되었으며, 제 VI nauplius 단계 이후에는 copepodid로 탈피하였다. 22${\sim}$23$^{\circ}$C의 배양 온도, 33${\sim}$34ppt의 염분 농도 그리고 구멍 갈파래의 분말을 먹이로 급이하면서 사육한 결과, 부화 후 nauplius VI 단계까지 12일이 소요되었다. nauplius 유생의 형태는 납작하고 체장의 길이보다 체폭의 길이가 긴 타원형이며, 전방에 하나의 붉은색 안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크기의 범위는 35${\sim}$98${\mu}$m였다. 그리고 제 2촉각의 저절과 기절의 강모식에 의해 제 I nauplius 유생기에서 제 IV nauplius 유생기까지 발생 단계의 식별이 가능하며, 제 V nauplius 유생기와 제 VI nauplius 유생기는 제 2소악과 미부의 강모식에 의해 식별이 가능하였다. P. vararensis의 nauplius 유생기에서 제 1소악의 원기는 제 III nauplius 유생기에서 관찰되었으며,제 2소악의 원기는 제 V nauplius 유생기에서 관찰되었다.

  • PDF

급냉 제강슬래그를 사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물성(II) (급냉 제강슬래그를 잔골재와 굵은 골재 대체용으로 사용) (Physical Properties of Polymer Concrete Composites Using Rapid-Cooled Steel Slag (II) (Use of Rapid-Cooled Steel Slag in Replacement of Fine and Coarse Aggregate))

  • 황의환;이철호;김진만
    • 공업화학
    • /
    • 제23권4호
    • /
    • pp.409-415
    • /
    • 2012
  •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제조에 재활용하기 위하여 산업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 제강슬래그를 아토마이징 공법으로 구형의 골재를 제조하였다. 구형의 급냉 제강슬래그는 입도에 따라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잔골재(강모래)와 굵은 골재(쇄석)를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급냉 제강슬래그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제 물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폴리머 결합재의 첨가율과 급냉 제강슬래그의 대체량에 따라 다양한 배합의 폴리머 콘크리트공시체를 제조하여 물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급냉 제강슬래그를 적정량 대체하여 사용한 공시체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향상되었으며(최대압축강도 117.1 MPa),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생산원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폴리머 결합재의 사용량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내열수성시험에서 공시체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