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도 분포

Search Result 3,88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Probabilistic Fiber Strength of Composite Pressure Vessel (복합재 압력용기의 확률 섬유 강도)

  • 황태경;홍창선;김천곤
    • Composites Research
    • /
    • v.16 no.6
    • /
    • pp.1-9
    • /
    • 2003
  • In this paper, probabilistic failure analysis based on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is proposed to predict the fiber strength of composite pressure vessel. And, experimental tests were performed using fiber strand specimens, unidirectional laminate specimens and composite pressure vessels to confirm the volumetric size effect on the fiber strength. As an analytical method, the Weibull weakest link model and the sequential multi-step failure model are considered and mutually compared. The volumetric size effect shows the clearly observed tendency towards fiber strength degradation with increasing stressed volume. Good agreement of fiber strength distribution was shown between test data and predicted results for unidirectional laminate and hoop ply in pressure vessel. The site effect on fiber strength depends on material and processing factors, the reduction of fiber strength due to the stressed volume shows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material and processing conditions.

An Analysis of the Temporal Pattern according to Hydrologic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Urban Area (도시지역에서 강우의 수문학적 특성에 따른 시간분포 분석)

  • Lee, Jung-Sik;Shin, Chang-Dong;Kim, 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30-183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수문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도시지역에서의 시간분포를 분석하고, Huff의 무차원 누가곡선 및 Yen과 Chow의 무차원 특성변수를 제시하였으며, 강우의 수문학적 특성은 지속기간, 강우의 발생원인(장마, 태풍, 집중호우, 전선형 강우), 강우강도 등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인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도시지역의 단시간 강우의 최대강우강도는 전방위구간에서 발생할 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강우발생원인별 분류에서도 전반적으로 전방위구간에서, 태풍의 경우에는 후방위구간에서 최대강우강도가 발생하였다. 셋째, 평균강우강도이하의 경호우와 평균강우강도이상의 중 호우에서는 전방위구간에서 최대강우강도가 발생하였다. 넷째, 전기간 강우자료를 이용한 기존 연구들의 무차원 누가곡선 및 특성변수와의 비교를 실시하여, 수문학적 특성에 따라 무차원 누가곡선의 위치 및 특성변수의 값에서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Immunocytochemical Studies on the Pancreatic Endocrine Cells of Phylogenetically Different Vertebrates ll. Reptilia, Amphibia, and Pisces (계통발생에 따른 각종 척추동물의 췌장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 세포화학적 연구 II. 파충강, 양서강 및 어강에 관하여)

  • 김남중;권혁방최월봉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4 no.4
    • /
    • pp.433-451
    • /
    • 1991
  • 척추동물(7목 23종)의 췌장에서 insulin( B)세포, glucagon(A)세포, somatostatin( D)세포 및 pancreatic polypeptide( PP)세포 등을 면역세포화학법으로 동정하여 이들의 출현율, 분포양상 및 형태 등을 계통별로 비교하였다. 파충강의 거북목, 양서강의 유미목 및 어강의 악상대목 들을 제외한 모든 종에서 췌도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췌도를 구성하는 내분비세포의 크기에는 계통간의 차이가 있었다. B세포는 파충강의 것이 가장 크고, 양서강, 어강의 순이 었으며 A와 PP세포는 양서강, 파충강 및 어강의 순서였다. D세포는 양서강의 것이 가장 윤고, 다음이 어장이었으며, 파충강의 것이 가장 작았다. 이들 세포의 모양은 B세포의 경우 양서강과 어장에서는 원형, 난원형 및 방추형이었으며, 파충강에서는 원추형 및 단기형 등 다양한 모습이었다. A세포는 어강에서는 원헝, 난원형 및 방추형이 고르게 나타났고, 파충강과 양서 강에서는 원주형, 다각형 및 쐐기형이 나타났다. D세포는 모든 동물에서 원형, 난원형 및 방추형이 관찰되었고, 특히 파충강에서는 원추형및 쐐기형도 나타났다. PP세포는 주로 방추형 및 반원형이 대다수이였으며 간혹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모습도 나타났다. 각 내분비세포의 출현율은 파충강 열 어강 들에서는 B, A, D 및 PP세포 순이었으나, 양서 강에서는 B, A, PP 및 D세포 순으로 나타났다. B와 PP세포는 양서강, 어강 및 파충강 순서로 출현하였고, A세포는 파충강, 어강 및 양서강의 순서이었으며 D세포는 어강, 파충강 및 양서강의 순서였다. 췌도 내에서의 세포의 분포 위치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여 B세포의 경우 대다수 동물들에서 중앙부에 균등하게 분포하였으나 A, D및 PP세포는 주로 췌도 주변부에 분포하였고, 어강에서의 D세포는 췌도 중앙부에서도 관찰되었다. 일반적으로 파충강 및 양서 강에서는 외분비 선포조직에서초 내분비세포들이 출현하였으나, 어강에서는 내분비세포가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양서강 및 어강 들의 일부 수에서는 췌관상피에서도 드물게 나타났다.

  • PDF

Ka Band Rain Attenuation Analysis of Domestic Regional Rainfall-Rate Distribution by Crane Prediction Model (Crane 예측 모델을 활용하여 국내 지역별 강우강도 분포에 따른 Ka대역 강우감쇠 분석)

  • Cho, Yongwa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1 no.3
    • /
    • pp.110-113
    • /
    • 2016
  • In this paper of ka band satellite communication using geostationary satellite is very weak to rainfall. So the rain attenuation reflect the values calculated using the satellite communication links vulnerable when designing a more reliable rainfall area distribution of rain attenuation and accurate predictive models must analyze the link budget. In this paper, by utilizing domestic distribution analysis in the recent local rainfall Crane and regional rainfall in the model and compared with the country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rainfall in your area to fit the rain attenuation in Ka 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Crane rain attenuation prediction models were analyzed to between geostationary satellites and ground station position, distance and year time percentage(%).

Study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Soils in Mangeong-Dongjin and Yeongsan Watersheds (영산강(榮山江)과 만경(萬頃)·동율강유역(東律江流域)의 답토양분포(畓土壤分布)에 관(關)하여)

  • Kim, Han-Myoung;Cho, Guk-Hyun;Yoo, Chul-Hyun;Eun, Mu-Young;Rho, Sung-Pyo;Shin, Yong-Hwa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7 no.2
    • /
    • pp.125-133
    • /
    • 1984
  • To obtain the basic date for the improvement of cultural and managemental problems caused by soil characteristics and soil productivity in rice cultivation of Honam area,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soils were investigated in Mangeng-Dongjin and Yeongsan Water-sheds, and compaired differences between two major Watershed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U.S.D.A. Soil Taxonomy Classification System, eight great groups are distributed in rice soils of two major Watersheds. More than 50% of rice paddy soils are classified as Haplaquepts. 2. Two Watersheds are quite different in soil parent materials. In Mangeong-Dongjin Watershed, most soils (55.1%) are derived from fluvic-marine deposits. Remainders are derived from local alluvium (24.7%) and alluvium (14.2%). But in Yeongsan Watershed, the order is local alluvium>alluvium>fluvio-marine deposits. 3. Rice soils occur mostly in coastal and inland flat-site with the slope of less than 2% (57.8%) in Mangeong-Dongjin Watersheds. However, in Yeongsan Watershed, flat-site and low undulating terrace are mostly distributed (52.9%). 4. About 81.9, 61.4 and 53.3% of rice soils are classified as fine textured in Yeongsan, Dongjin, and Mangeong Watersheds, respectively. 5. More normal paddy soils and less sandy paddy soils are distributed in Yeongsan Watershed. The results indicate that more rice soils are classified as productivity classes of I and II in Yeongsan Watershed than in Mangeong-Dongjin Watersheds.

  • PDF

Extraction of Snowmelt Parameters using NOAA AVHRR and GIS Technique for 5 River Basins in South Korea (NOAA AVHRR 영상 및 GIS 기법을 이용한 국내 5대강 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추출)

  • 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76-81
    • /
    • 2007
  • 융설 모형의 중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은 실제 우리나라에서 적설과 관련한 관측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매개변수 추정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 부터 2006년 까지의 겨울철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의 AVHRR(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위성영상의 8 sets의 총 108개 영상을 이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고,기상청의 지상기상관측소의 최섬적설심 자료를 이용하여 GIS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적설심의 공간적 분포를 추출하였다. 이를 국내 5대유역인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섬진강 유역에 대하여 융설모형의 주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유역 평균, 최대 적설심과 적설분포감소비곡선을 구축하였다. 그 중 적설분포면적감소곡선 (SDC : Snow cover Depletion Curve)는 적설분포면적의 감소형태를 나타내 주는 지표로써 융설의 가장 민감한 매개변수이다. 이를 국내 5대 강 유역에 대해 구축하여 정량화 하였다.

  • PDF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Strong Small Farm: Focusing on Apples (강소농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결정요인 분석 -사과를 중심으로-)

  • Kim, Hyun Joong;Lee, Seong W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9 no.4
    • /
    • pp.961-987
    • /
    • 2012
  •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spatial distribution of strong small farm by defining the term, strong small farm (SSF) extracting the SSF households data dealing with apples, from 2010 Censu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orea. Spatial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of SSF are analyzed based on spatial clustering techniques. We construct discrete dependent variables on strong and non-strong small farms and then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SSFs using probit model, with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population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characteristics. As of 2010, the apple SSFs, 1,529 households in total, are geographically concentrated in Gyeonsangbuk-do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determinants of SSF are similar to those of farms' earnings. When located in the apple producing area, and participating in producers organization while selling products directly, the farm is highly likely an SSF. The findings and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helpful for prepar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for SSFs in tha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SSF, which is a prerequisite step for SSF-related policies.

Archimedean Copula for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이변량 빈도해석을 위한 Archimedean Copula)

  • Sung, Jang-Hyun;Baek, Hee-Jeong;Kwon, Won-Tae;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00-604
    • /
    • 2010
  • 수문설계 인자인 확률홍수량 산정시 짧은 홍수량 자료 길이로 인해 홍수량을 직접 이용하기 보다는 강우자료와 강우-유출모형에 의존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신뢰할 만한 확률강우량이 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강우빈도해석(rainfall frequency analysis)은 강도(intensity), 지속기간(duration), 깊이(depth) 사이의 연관성은 고려하지 않은 단편적인 방법론에 그치고 있다. 즉, 강우를 표현하는 인자들 간 독립(independency)이라는 가정을 거친 후, 간단한 단변량(univariate) 강우빈도분포(rainfall frequency distribution)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간단한 모형에 따른 이점은 있으나 최근의 강우 형태는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어, 단변량 강우빈도분포로 이를 대표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빈도해석의 인자가 독립적이며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라 가정하지 않고, 세 개의 주변 분포(marginal distribution)의 형태가 같지 않다는 점, 또한 가정하지 않는 방법론 중, 그 가치를 널리 인정받고 있는 Archimedean Copula (AC)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AC를 이용하여 강도, 지속기간, 깊이 사이의 종속성 중, 두 가지 변량을 고려한 이변량(bivariate) 강우빈도해석을 수행하였고 그 효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 PDF

The Change of Microstructures According to the Charging Amounts of Hydrogen in High Strength DP Steels and TRIP Steel (고강도 DP강과 TRIP강의 표면 수소 주입량에 따른 수소취성평가)

  • Park, Jae-U;Lee, Cheol-Chi;Gang, Gye-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5a
    • /
    • pp.252-253
    • /
    • 2012
  • 음극전기분해법을 이용하여 고강도 DP강과 TRIP강에 수소를 강제 주입시켜, 시험편 내 수소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표면하 미소경도분포 측정과 소형펀치시험 및 파단면 관찰을 통하여 수소주입량에 따른 고강도 박강판재의 수소침투 및 수소취화거동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DP강은 강도가 클수록 높은 수소량으로 조사되었고, TRIP강은 DP강에 비해 주입된 수소량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미소경도분포 및 소형펀치시험에서도 DP강은 TRIP강에 비해 수소취성에 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Temperature and Wind Control of Virtual Warmth Image Using Fuzzy Reasoning Rule (퍼지 추론 규칙을 이용한 가상의 열 영상 온도와 풍향 제어)

  • Kang, Kyoung-Mi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87-39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법으로 여름철 냉방의 적정 온도 및 풍향을 제어하기 위한 가상의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열 영상과 퍼지 추론 규칙을 적용한 온도 및 풍향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온도 제어를 위한 가상 시뮬레이션에서 열 영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영상을 $300{\times}400$의 크기를 가지는 색상 분포 영상으로 변환한다. 색상 분포 영상은 Red, Magenta, Yellow, Green, Sky, Blue의 온도 값을 가지는 R, G, B 값이며 각 색상은 $ 24.0^{\circ}C$에서 $27.0^{\circ}C$의 분포의 온도 값을 가진다. 색상 분포 영상은 아래 계층부터 레벨1에서 레벨10의 높이 계층으로 분류한다. 분류한 각 계층은 고유의 색상 분포도를 가지며 색상이 가지는 온도 수치에 따라서 계층별로 온도를 구성한다. 풍향 제어를 위한 각 계층의 높이는 레벨1에서 레벨3까지는 하위층이며, 레벨 4부터 레벨 7은 중간층, 레벨 8부터 레벨 10은 상위층으로 분류한다. 각 계층의 온도와 높이 레벨 값은 온도 조절과 풍향의 우선 순위, 강도 조절, 지속 시간을 구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실내 공간의 전체적인 온도의 균형과 풍향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풍향의 방향, 지속시간을 적용하고 풍향의 강도를 구하기 위해서 색상 분포영상의 각 구간의 온도 및 높이의 특징을 적용하여 퍼지 소속 함수를 설계한 후, 소속 함수의 소속도를 구하고 퍼지 추론 규칙을 적용하여 풍향의 강도를 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