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도 분포

검색결과 3,889건 처리시간 0.034초

절연용 FRP의 와인딩 각도에 따른 압축강도 연구 (Compressive Strength of FRP for Insulator According to Winding Angles)

  • 박효열;강동필;안명상;명인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439-1441
    • /
    • 2003
  • 전기절연재의 구조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는 열경화성 수지를 접착성 결합제(binder)로 하고 고강도 섬유를 보강재로 한 복합재료로서 기계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FRP의 기계적 강도는 유리섬유에 의존 하고 있으므로 유리섬유의 방향과 힘을 가하는 방향에 따라서 그 강도의 차이는 매우 크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의 배향에 따른 강도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시편을 제작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고 압축강도와 응력의 분포를 유한요소법으로 시뮬레이션하였다. FRP rod에 압축응력이 가해졌을 때 섬유의 배향에 따른 파괴강도와 응력의 분포를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고 모델링에는 3-D Shell과 3-D Brick 요소를 사용하였다. 제작된 시편의 강도특성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응력의 분포를 서로 비교하여 시편의 파괴에 미치는 응력을 고찰하였다.

  • PDF

북동중국해 코아 퇴적물의 희토류원소 분포양상과 기원 (Constraints of REE Distribution Patterns in Core Sediments and their Provenance, Northern East China Sea)

  • 정회수;임동일;;유해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1호
    • /
    • pp.39-51
    • /
    • 2006
  • 북동중국해 코아 퇴적물중 희토류 원소(REE) 함량을 분석하여 REE함량의 분포양상을 파악하고 퇴적물 기원지를 추적하였다. 북동중국해로 퇴적물을 공급하는 한국 강(금강, 영산강 등사 중국 강(황하, 양자강 등)에서 유출된 퇴적물 중 REE함량도 분석되어 한국/중국 강에서 유출되는 퇴적물 중 REE함량의 전형적인 분포양상이 구해졌다. 상부지각 중 REE 함량으로 정규화 된 중국 강과 한국 강 퇴적물 중 REE 함량의 분포양상은 각각 중간 희토류 원소(MREE)와 가벼운 희토류원소(LREE)가 부화된 형태로 나타났다. 중국 강 퇴적물에서 나타나는 REE 함량의 분포양상은 "C-type" 즉 MREE가 부화되어 가운데가 불룩한 형태이고, 한국 강 퇴적물에서 나타나는 REE 함량의 분포양상은 "D-type" 즉 LREE가 부화되어 원자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를 보인다. 북동중국해 코아 퇴적물중 REE 함량의 주요 제한인자는 LREE가 부화되어 있고 연구해역 인근 어디에나 분포하는 모나자이트$((Ce,\;La)PO_4)$로 해석된다. 한편, 북동중국해 퇴적물 중 REE함량의 분포양상은 C-type과 D-type의 중간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중간 형태에 근거할 때, 현재는 대륙붕 환경이지만 과거에는 강 하구였던 북동중국해의 퇴적물은 한국 강과 중국 강에서 유출된 퇴적물의 혼합체로 판단된다.

계통발생에 따른 각종 척추동물의 췌장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1. 포유강 및 조강에 관하여 (Immunocytochemical Studies on the Pancreatic Endocrine Cells of Phylogenetically different Vertebrates I. Mammalia and Aves)

  • 김남중;권혁방최월봉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52-367
    • /
    • 1991
  • 척추동물 11목 21종의 췌장에서 insulin(B)세포, glucagon(A)세포, somatostatin( D)세포 및 pancreatic polypeptide(PP)세포 등을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동정하여 이들의 출현율, 분포양상 및 형띨 등을 계통별로 비교하였다. 포유강에서는 전형적인 췌도를 형성하였고, 조강에서는 대 ·소췌도로 구분되었다. 내분비세포의 크기는 계통간의 차이가 있어서 B세포와 PP세포는 포유강의 것이 조강의 것에 비해 윤으나, A세포와 D세포는 그 반대이었다. 세포의 모양은 B세포의 경우 두 강에서 대체로 원형 및 난원형이었고, A세포와 D세포는 원형, 난원형 및 방추형이었다. PP세포는 방추형 및 난원형이 대다수 이었으며 간혹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모습도 나타났다. 세포들의 출현율은 두 강에서 모두 B세포가가장 많았고, A, D및 PP세포 순으로 낮아졌다. B세포는포유강이 조강보다높았고, A, D및 PP세포는조강이 포유강보다 많았다. B세포는 조강의 경우 대췌도 주변부와 소췌도 중앙부에 분포하였고, 포유강에서는 중앙부에 균등하게 분포하였다. A와 0세포는 포유강에서 주로 췌도 주면부에 분포하나, 조강에서는 췌도중앙부에 위치하였다. PP세포는 두 강에서 대부분 췌도 주변부에 위치하였다. 일반적으로 두강에서 모두 외분비 선포조직에서도 내분비세포들이 출현하였으며 일부 종에서는 췌관상피에서도 내분비세포들이 드물게 나타났다.

  • PDF

2상 다결정 미세구조의 상 분포 위상에 따른 역학적 거동 분석 (Analysis of Mechanical Response of Two-phase Polycrystalline Microstructures with Distinctive Topology of Phase Clustering)

  • 정상엽;한동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9-16
    • /
    • 2011
  • 다상 재료는 상(phase) 분포 상태에 의해 그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상 분포에 따른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구조의 상 분포 특성을 묘사할 수 있는 확률 분포 함수를 사용하여 등방성/이방성 미세구조의 상분포 상태를 표현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상 분포를 가진 미세구조들에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미세구조의 역학적인 거동을 분석함으로서, 상 군집의 분포 상태에 따른 재료의 강도 및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상 군집의 위상에 의한 재료 강도의 영향 및 군집 크기가 커질수록 강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금호강 저니토에 함유된 PCBs 분포 특성

  • 이상원;김영복;정기호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1년도 정기총회 및 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07-10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부산, 경남 주민의 중요한 식수원인 낙동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금호강을 대상으로 하여 난분해성 물질이며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PCBs의 분포 상태를 조사하였다. 금호강 저니토에서의 PCBs 분석은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였고 실리카 겔과 플로리실 칼럼을 통과시켜 정제한 다음 GC-ECD로 분석하였다. 모든 조사 지점에서 26개 congener가 고루 검출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금호강으로 유입되었던 PCBs의 종류는 다양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금호강 유역의 저니토에 축적되어 있는 PCBs가 낙동강 하류로 유입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감마분포를 따르는 재료강도의 신뢰도 예측과 응용 (Estimation and Application of Reliability Values for Strength of Material Following Gamma Distribution)

  • 박성호;김재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2호
    • /
    • pp.223-230
    • /
    • 2012
  • 취성이 큰 재료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정규분포 또는 와이블분포로 설명되어 왔으나 감마분포도적합할 수 있다. 재료의 파손이 가해진 응력의 연속된 값 중 가장 큰 값에 좌우된다면 극치분포를 적용하는 것이 합당하다. 본 논문에서는 재료강도가 감마분포를 따르며 극치분포하는 응력이 작용할 경우 응력-강도 간섭이론에 기반하여 신뢰도 계산식을 제시하였으며, 확률분포 파라미터별 신뢰도와 안전율 및 변동계수와의 관계를 통하여 신뢰도 계산식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안전율과 변동계수에 기반한 신뢰도 예측방법으로 목표 신뢰도가 설정되었을 때 최소한 요구되는 안전율과 최대로 허용되는 응력의 변동계수를 예측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합리적인 압축강도 추정기법 연구 (Realistic Estimation Method of Compressive Strength in Concrete Structure)

  • 오병환;양인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1-249
    • /
    • 1999
  • 실제 구조물의 정확하고 합리적인 압축강도 추정을 위해서는 통계학적으로 많은 실험데이타가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로 압축강도 자료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추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은 자료를 가지고 콘크리트의 실제적인 압축강도 추정을 위해 합리적인 베이시안 기법을 도입하여 콘크리트 강도추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콘크리트의 평균 압축강도는 확률변수로 고려한다.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베이시안 업데이팅을 위해 사전확률분포는 기존의 자료를 반영하여 표현하며, 우도함수는 측정치의 특성을 반영하였다. 사후확률분포는 사전확률분포와 우도함수를 조합하여 나타내었다. 콘크리트 교량 현장에서 제작한 실린더 공시체로부터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결과는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측정자료를 사용하고도 실제에 가까운 사후확률분포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우도함수 분포의 신뢰구간에 대한 사전확률분포의 신뢰구간의 상대적인 크기는 사후확률분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은 적은 현장측정자료를 가지고도 합리적인 강도추정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실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고강도 콘크리트에 적합한 응력-변형율 모델과 응력분포 모델의 제안 (A Proposal of New Model for Stress-Strain Relationship and Stress Distribution of Ultra High-Strength Concrete)

  • 장일영;박훈규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197-206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초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실험자료를 근거로 합리적인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설계 실용화를 위한 응력-변형율 관계 모델과 응력분포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콘크리트의 응력-변형율 특성을 결정하는 재료 변수들(탄성계수, 최대 압축강도시 변형율 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일반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갖춘 초고강도 콘크리트(700~1400kg/$\textrm{cm}^2$)에 적합한 응력-변형율 모델을 제안, 비교, 고찰하엿다. 셋째, 제안된 응력-형율 모델로부터 초고강도 콘크리트 구조의 극한강도를 평가하기에 적합한 응력분포모델을 제안, 일반성과 정확성을 비교 검증하였다.

성능 중심 설계기준을 위한 콘크리트 압축응력 분포 (Compressive Stress Distribution of Concrete for Performance-Based Design Code)

  • 이재훈;임강섭;황도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65-376
    • /
    • 2011
  • 현행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7)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에 적용하는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분포로 ACI 318의 등가 직사각형 응력 분포를 규정하고 있다. 단면의 휨강도 해석에는 등가 직사각형 응력 분포가 충분하겠지만, 성능 중심 설계의 한계 상태 검증에는 실제와 가까운 압축응력-변형률 관계가 필요하다. 또 등가 직사각형 응력 분포는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휨강도 해석에 비안전측의 결과를 준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이를 대신하는 새로운 응력 분포 모델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Eurocode와 일본 토목학회의 설계기준에서 채택하고 있는 포물선-직선 형상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응력 분포 모델은 이 연구에서 수행된 압축응력 분포 실험과 타 연구자들의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보통 강도뿐만 아니라 고강도 콘크리트를 포함한 것이다. 제안 모델의 특성은 미국 ACI 318, 캐나다 CSA, 유럽의 Eurocode, 일본 토목학회 설계기준의 응력 분포 모델과 함께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분단위 강우강도-지속시간-재현기간 관계의 유도: 모포마 분포의 적용 (Derivation of Minutely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Applications of Moupfouma Distribution)

  • 유철상;박창열;김경준;전경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8-172
    • /
    • 2007
  • 소유역의 배수시설물 설계를 위한 확률강우량 결정에는 일반적으로 건설교통부 (2000)에 의해 제시된 강우강도식을 이용하며, 강우의 지속시간이 10분이하인 경우에도 통상 제시된 강우강도식의 지속시간 최소단위인 10분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달시간이 수 분 정도인 도로 배수시설물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과대설계가 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모포마 분포를 시자료에 적용하여 분단위 연최대치 강우계열을 구성하고 이를 빈도해석하여 확률강우량을 추정하였다. 1분단위 강우자료(MMR 자료)를 이용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한 결과 기존 건설교통부 (2000)에 의해 제시된 강우강도식은 분단위로 내삽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60분 집성자료를 모포마 분포에 적용하여 추정한 지속시간별 분단위 연최대치 강우계열은 관측된 분단위 연최대치 강우계열의 특성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모포마 분포를 이용하는 경우 시단위자료를 이용하여 1분단위 자료의 특성 재현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60분 집성자료와 시단위 자료를 이용하여 모포마 분포에 각각 적용하여 IDF 관계를 유도한 경우 그 차이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사용된 자기상관함수에 따른 차이도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모포마 분포는 시단위 자료로 부터 60분 이하의 지속시간에 대한 연최대치 강우계열을 적절히 재현할 수 있는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