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갑상선 조직검사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6초

갑상선미세유두암의 수술 전 진단에서 $^{18}F$-FDG PET/CT: 이중시간 영상의 유용성 ($^{18}F$-FDG PET/CT for the Preoperative Diagnosis of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The Value of Dual Time Point Imaging)

  • 서영덕;김성민;김근호;김제룡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6호
    • /
    • pp.543-556
    • /
    • 2009
  • 목적: 이중시간 $^{18}F$-FDG PET/CT 영상(dual time point $^{18}F$-FDG PET/CT imaging)을 통해 갑상선미세유두암 원발 병소와 양성 갑상선결절의 FDG 섭취 양상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갑상선유두암으로 진단받고 수술 전 이중시간 $^{18}F$-FDG PET/CT를 시행한 환자들 중 134명의 갑상선미세유두암(154개)과 49명의 1.0 cm 이하의 양성 갑상선결절 양성 갑상선결절(61개)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두 번의 영상에서 모두 갑상선미세유두암과 양성갑상선결절의 최대 표준화섭취계수(SUVmax)와 두 영상 간 SUVmax의 백분율 변화(${\Delta}%SUVmax$), 병소와 정상조직의 SUVmax의 백분율 변화(${\Delta}%L$:B ratio)를 계산하였다. 두 영상 간의 시간 차이는 평균 $23.4{\pm}4.4$분(갑상선 부위 기준 평균 $10.7{\pm}4.4$분)이었다. 결과: 이중시간 $^{18}F$-FDG PET/CT 영상에서 154개의 갑상선미세유두암은 평균 SUVmax가 $4.9{\pm}4.3$ (1.1~29.9)에서 $5.3{\pm}4.7$ (1.0~33.1)로 증가하였고(p<0.001) 평균 $12.3{\pm}23.6%$ (-34.1~85.3%) 증가하였으나, 61개의 양성 갑상선결절은 $2.1{\pm}1.0$ (1.0~5.3)에서 $2.1{\pm}1.3$ (0.9~8.0)으로 변하였고 평균 $0.3{\pm}20.5%$ (-41.7~118.2%) 감소하였다. 또한 갑상선미세유두암은 100개(64.9%)가 두 번째 영상에서 SUVmax가 증가하였으나 양성 갑상선결절은 19개(31.1%)만 증가하였다. 첫 번째 영상보다 이중시간 $^{18}F$-FDG PET/CT 영상에서 더 많은 수의 갑상선미세유두암이 육안적으로 양성 소견을 보였고(62.3% vs. 76.6%, p=0.006), 크기가 0.5 cm 이하인 경우에도 발견율이 증가하였다(38.6% vs. 60.0%, p=0.011). 결론: 갑상선미세유두암의 평가에 있어서 일반적인 한 번의 영상검사(single time point $^{18}F$-FDG PET/CT imaging)에 비해 이중시간 $^{18}F$-FDG PET/CT 영상이 원발 갑상선미세유두암 병소와 양성 갑상선결절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특히 특히 단일 $^{18}F$-FDG PET/CT 영상에서 불확실 소견 또는 음성 소견을 보이는 경우나 크기가 0.5 cm 이하인 경우에 이중시간 $^{18}F$-FDG PET/CT 영상을 시행하는 것이 병소의 악성여부 감별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갑상선 유두암의 크기에 따른 초음파 특징 분류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According to the Size : Especially Less Than 0.5 cm)

  • 박소영;김연민;이현복;조남수;윤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2호
    • /
    • pp.149-155
    • /
    • 2013
  • 대한갑상선학회는 0.5 cm 보다 큰 경우에만 미세침흡인술을 권고하고 있으나, 본원에서는 0.5 cm 이하의 결절에서도 갑상선 유두암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 연구는 건강의학센터에서 미세침흡인술을 시행하여 갑상선 유두암으로 확진된 결절을 토대로 크기에 따른 초음파 특징을 분류해 보고자 한다. 결절의 크기를 장경 0.5 cm 이하, 0.5~1 cm, 1 cm 보다 큰 결절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에서의 악성을 시사하는 초음파 소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288개의 악성결절 중 0.5 cm 이하 크기는 21.5 % (62/288), 0.5~1 cm 54.9 % (158/288), 1 cm 보다 큰 결절은 23.6 % (68/288)로 나타났다. 앞뒤가 긴모양의 특징은 0.5 cm 이하 그룹 90.3 % (56/62), 1 cm 보다 큰 그룹 48.5 % (33/68)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0.5 cm이하 그룹에서 well defined smooth 결절은 1예도 없었으며, 침상(spiculated) 혹은 불규칙한 경계는 크기가 클수록 빈도가 증가하였다(p=0.024). 내부에코는 0.5 cm 이하 그룹에서 고에코(hyperechogenicity)와 동에코(isoechogenicity)의 결절은 1예도 없었으며, 각 그룹별로 현저한 저에코(marked hypoechogenicity)보다 저에코(hypoechogenicity)가 많았다(p=0.034). 미세 혹은 거대석회화는 0.5 cm 이하에서 77.4 % (48/62)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0.5 cm 이하 그룹부터 21.0 % (13/62), 48.1 % (76/158), 64.7 % (44/68)로 결절 크기가 증가할수록 관찰빈도가 증가하였다(p<0.001). 초음파에서 0.5 cm 이하의 결절은 앞뒤가 긴 모양과 침상 혹은 불규칙한 경계, 불분명한 경계를 보였고, 저에코 혹은 현저한 저에코가 많았다. 그러나 미세 혹은 거대석회화는 없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따라서 0.5 cm 이하의 작은 크기의 결절에서 악성을 시사하는 초음파적 특징은 미세침흡인 술이나 추적검사에 대한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발성골수종 환자의 파라핀포매조직에서 MicroRNA 발현 (Expression of Micro RNA in Paraffin Embedded Tissue of Multiple Myeloma)

  • 최우순;권계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2-297
    • /
    • 2015
  • 우리나라의 경우 갑상선암, 간암, 폐암 관련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다발성 골수종환자에 관한 microRNA 연구는 보고된 경우가 없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골수(bone marrow)에서 채취한 검체를 이용한 연구가 대부분 보고되고 있으며, 파라핀 포매 조직을 이용한 경우는 거의 없어 파라핀 포매 조직에서도 가능한지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2010년 1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 다발성 골수종 진단을 위해 골수검사를 의뢰한 8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microRNA는 보고된 내용 중 관련성이 높다고 한 miR-15a와 miR-16, miR-21, miR-181a, miR-221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검체별 fold change 값이 1.5 이상 또는 -1.5 이하로 유의성을 보인 경우는 miR-15a에서 3예(37.5%)로 나타났다. Microarray 검사법으로 보고한 기존 연구와 비교한 결과, miR-15a의 경우 일치하는 결과로 한국인의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진단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iR-221은 상반된 결과를 얻었다. 이와 같이 miR-15a의 경우, 서양인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miR-221은 서양인과 상반된 결과로 좀 더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파라핀 포매 조직에서도 microRNA를 검출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검체수가 적어 좀 더 정확한 확인 검사와 많은 검체를 이용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플라워혼 시클리드에서 발생한 갑상선종과 간에 대한 영향 (Occurrence of Goiter in Flowerhorn Cichlid (Family : Cichlidae) and Its Effect on Liver)

  • 신상필;지향;김지형;데니스K.고메즈;카시아노 허모피아 추레스카Jr;한지은;;김대용;박세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2-204
    • /
    • 2010
  • 아가미 덮개 아래에 종괴를 가진 플라워혼이 서울의 사설 수족관에서 사육되다가 폐사 전 진단의뢰 되었다. 이 플라워혼은 무기력, 식욕부진, 침울 및 호흡곤란의 증상을 보인 후 폐사하였다. 종괴와 내장기관을 조직병리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갑상선에서 많은 양의 교질을 가진 다양한 크기의 낭포가 관찰되었고 간에서는 지방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증례는 플라워혼에서의 갑상선종 발생과 그것이 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하고자 한다.

분화된 갑상선암의 수술후 경과 관찰에서 Tc-99m MIBI 스캔과 다른 추적 지표들의 유용성 비교 (Usefulness of Tc-99m MIBI Scan in the Postoperative Follow Up Of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 유계화;송재순;신준재;이현경;차왕기;김도민;김은실;김종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56-364
    • /
    • 1997
  • 분화된 갑상선암의 수술후 경과 관찰에서 암조직의 잔류, 전이, 혹은 재발로 생각하여 치료적 용량의 방사성 옥소를 투여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I-131 진단적 스캔과(5mCi 이하), Tc-99m MIBI 스캔, 갑상선호르몬 투여중의 티로글로블린(Tg(on)), 갑상선 호르몬 투여중단 후의 티로글로블린(Tg(off))및 I-131 치료적 용량 스캔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I-131 진단적 스캔의 양성율이 Tc-99m MIBI 스캔보다 13% 더 논게 나왔다. 2) Tg(on) 혹은 Tc-99m MIBI 스캔의 양성율에 비해 Tg(off) 혹은 I-131 진단적 스캔의 양성율이 Tg(off)의 양성 기준치와 상관없이 Tg(on)이 1.5ng/ml, 5ng/ml시 각각 14%, 18% 더 높았다. 3) Tg(on)의 예민도는 1.5ng/ml, 5ng/ml을 양성기준치로 할 경우 각각 68%, 50%로 나와 양성 기준치를 1.5ng/ml로 할 경우 더 높은 예민도를 보였으며 Tg(off)의 예민도는 양성 기준치를 10ng/m1, 40ng/ml로 할 경우 각각 77%, 59%를 보였다. 4) Tc-99m MIBI 스캔에 양성이면서 I-131 진단적 스캔에 위음성을 보였던 경우도 4예에 해당하였다. 결론적으로, Tc-99m MIBI 스캔은 갑상선 호르몬을 중단하지 않은채 Tg(on)과 함께 측정한다면 갑상선암의 재발을 스크리닝 하면서, Tg(off) 및 I-131 진단적 스캔을 보완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로 생각된다.

  • PDF

고칼슘혈증을 보인 폐암환자에서 부갑상선호르몬(PTH)과 부갑상선호르몬관련단백질(PTHrP)이 동시에 증가된 1예 (Simultaneous Elevation of Serum Parathyroid Hormone(PTH) and Parathyroid Hormone-related Protein(PTHrP) in a Case of Lung Cancer with Hypercalcemia)

  • 김유일;김규식;유영권;박창민;임명수;고경행;황준화;박형관;임성철;김영철;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4호
    • /
    • pp.525-532
    • /
    • 1999
  • 악성질환에서 체액성 고칼슘혈증은 주로 부갑상선호르몬관련단백질(parathyroid hormone related hormone ; PTHrP)이 매개물질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PTHrP포 인한 고칼슘혈중이 발생한 경우에는 원발성부갑상선기능항진증을 동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환자에서 부갑상선호르몬(PTH) 농도는 저하되며 PTHrP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부갑상선이외의 종양에서 이소성 부갑상선호르몬을 생성한다거나 PTH와 PTHrP를 동시에 산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고칼슘혈증을 동반한 편평상피세포 폐암환자에서 혈청 부갑상선호르몬(PTH)과 부갑상선호르몬관련단백질(PTHrP)이 동시에 증가된 1례를 경험하여 이에 보고한다. 61세 남자 환자로서 혈청 칼슘은 7.5 mEq/L로 증가되어 있었으며, iPTH와 PTHrP(C 말단 부위 : 109-138)는 각각 150 pg/mL, 99.1 pmol/L로 모두 상승되어 있었다. 골전이나 부갑상선 기능 장애의 동반여부를 알기 위해서 시행한 골스캔이나 경부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 Tc-99m MIBI 스캔 검사에서 모두 정상소견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는 고칼슘혈증을 보인 편평상피상피세포 폐암환자에서 PTH와 PTHrP가 동시에 증가된 경우이다. 이러한 매개물이 동시에 증가한 원인으로 PTH와 PTHrP을 분비하는 타병변이 있을 수 있지만, PTH와 PTHrP를 동시에 분비할 수 있는 주된 기관인 부갑상선에 대한 상기 검사상 특이한 이상소견이 없었던점으로 미루어 보아 편평상피세포 폐암조직으로부터 이소성 PTH와 PTHrP가 동시에 분비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 PDF

갑상선 수질암 조직에서 RET 원암유전자의 돌연변이 양상 (RET Proto-Oncogene Mutation in Medullary Thyroid Carcinoma)

  • 정웅윤;송현정;조남훈;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10
    • /
    • 2002
  • Background: The molecular pathogenesis of hereditary medullary thyroid carcinoma is well known to be associated with germ-line mutation in the RET proto-oncogene and sporadic medullary thyroid carcinoma has been shown to carry somatic RET mutation especially in exon 13 and 1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genetic background in the pathogenesis of the sporadic medullary thyroid carcinoma which shows extremely high incidence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Direct DNA sequencing for RET exon 13 and 16, as well as immunohistochemistrical assay for a monoclonal RET antibody were performed from 20 cases of archival tissues of medullary thyroid carcinoma. Results: Monoclonal RET antibody with C-terminal epitope showed comparatively stronger expression in tumor cells than in normal tissues and immunoreactive area in the tumor was $66.0{\pm}40.1%$. Direct sequencing of RET exon 13 revealed 4 cases of mis-sense mutations in Codon 778, Codon 767, and both in Codon 768 and 778. One case showed a silent mutation (ACG-ACT) in RET exon 16 (Codon 926). Conclusions: The strong RET immunoreactivity of medullary thyroid carcinoma may suggest that there could be a genetic alteration in oncoprotein level. RET proto-oncogene mutation may be involved in the evolutional process of medullary thyroid carcinoma in the aspect of molecular basis.

I-131 전신 스캔을 위한 Transmission Scan Tool 제작과 활용 (The Fabricating and Utilizing of the Transmission Scan Tool for I-131 Whole Body Scan)

  • 신채호;표성재;김봉수;조용귀;조진우;김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3권1호
    • /
    • pp.40-46
    • /
    • 2009
  • 목적 : 분화된 갑상선암 환자에서 방사성옥소(I-131)를 이용한 전신스캔은 보통 수술 후 잔여 갑상선 조직, 재발된 병변 부위 또는 전이 병소 등을 찾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최근 고선량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치료는 증가 추세에 있으며, 동위원소 치료를 위한 입원대기는 수개월씩 지연되고 있다. 본원에서는 정화조 설비를 확장하여 주당 치료 가능 인원이 증가되었고 이로 인해 I-131 전신스캔 환자가 늘어나면서 검사시간 또한 증가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검사시간을 단축하면서 병소의 위치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Transmission scan tool을 제작하여 우수한 분해능을 가진 전신영상을 얻고자 한다. 실험재료 및 방법 : 2008년 2월부터 7월까지 본과를 내원하고 ORBITER Gamma Camera를 이용하여 I-131 전신스캔을 시행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전신 스캔을 시행한 후 Transmission scan를 위해 검사 Table에 Rail을 설치하고 $^{99m}Tc$-pertechnetate 2 mCi를 희석한 Flood phantom을 올려놓을 수 있는 Tool을 자체 제작하여 Transmission image를 얻어 전신 스캔에 Fusion 하였다. 결과 : I-131 전신스캔과 Transmission scan의 Fusion된 영상은 간단한 marking을 통하여 구강이나 침샘부위, neck 부위의 병소, 전이병소의 위치를 감별하는데 우수한 분해능을 가진다. 또한 추가적인 국소 영상이 불필요하여 8~28분 정도의 검사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결론 및 고찰 : I-131 전신스캔에서 Transmission scan은 방사능의 감약을 통하여 체표면의 윤곽을 정확히 나타낼 수 있으며 미리 시행한 I-131 전신스캔과의 Fusion 영상을 통하여 분해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잔여 갑상선 조직이나 전이병소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유용하다. 또한 추가적인 국소영상 촬영이 불필요함에 따라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체표면 윤곽을 나타내어 해부학적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른 임상검사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경부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

  • 김광문;홍원표;최홍식;조정일;최은창;김명상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5년도 이비인후과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90.1-90
    • /
    • 1995
  • 저자들은 최근 4년간 11례에서 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사용하였기에 그 치료 결과를 살펴보고 치료적용의 범위를 넓혀보고자 한다. 대상은 후두-기관협착증 2례, 기관협착증 8례, 갑상선암 1례로 총 11례였으며 이중 3례에서 기관-식도누공이 동반되어 있었다. 술후 발거가 가능했던 경우는 8례였으며 발거가 불가능했던 경우는 술전에 이미 양측성대마비가 있던 경우 l례, 문합부위 아래에 새로운 협착 부위가 생겼던 1례, 기관 연골의 과도한 결손이 있었던 경우가 1례 있었다. 합병증으로 창상감염 1례, 육아조직 3례의 경우는 치료되었으며 양측성대마비가 있던 경우는 편측성대절제를 하여 관찰 중이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이 실패한 경우는 2례로 술전 동반질환의 정확한 검사 및 절제부위의 국소화, 수술시 문합부위의 장력을 최소화하여 시행한다면 합병증은 비교적 받아들일만 하며 비교적 성공율도 기대할 만한 술식으로 여겨졌다.

  • PDF

두경부에 국한된 표현형으로 발생한 면역글로불린 G4와 연관된 질환: 증례 보고 (Immunoglobulin G4-Related Disease Involving Various Head and Neck Regions: A Case Report)

  • 임준용;선우미옥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910-917
    • /
    • 2022
  • 면역글로불린 G4 (immunoglobulin G4; 이하 IgG4) 관련 질병은 한때는 장기별 별개의 질환으로 진단되었던 질환들을 근래에 공통적인 병리학적, 혈액학적 및 임상적 특징을 가지는 면역 매개 질환을 일컫는다. 이 분류의 질환은 다양한 장기를 침범할 수 있으며, 두경부 역시 침범할 수 있다. 두경부를 침범하였을 경우, 주로 눈물샘, 안와, 갑상선, 뇌하수체 및 뇌수막 등을 주로 침범한다. 이에, 초기 급성중이염과 유양돌기염으로 증상으로 내원한 65세 여자환자에서 안면신경, 뇌경막, 비인강과 경부임파절에 동시에 발생하여 자기공명영상과 조직검사로 진단된 IgG4 연관 질환에 대하여 증례 보고를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