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정사전

Search Result 15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Study of Developing Korean SentiWordNet for Big Data Analytics : Focusing on Anger Emotion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한국어 SentiWordNet 개발 방안 연구 : 분노 감정을 중심으로)

  • Choi, Sukjae;Kwon, Ohbyung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9 no.4
    • /
    • pp.1-19
    • /
    • 2014
  • Efforts to identify user's recognition which exists in the big data are being conducted actively. They try to measure scores of people's view about products, movies and social issues by analyzing statements raised on Internet bulletin boards or SNS. So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determining how to find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degree of these values. The survey methods are us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for the basic emotional vocabulary and degree, and inferring from the dictionary's glosses for the extended emotional vocabulary. The results were found to have the 4 emotional words lists (vocabularies) as basic emotional list, extended 1 stratum 1 level list from basic vocabulary's glosses, extended 2 stratum 1 level list from glosses of non-emotional words, and extended 2 stratum 2 level list from glosses' glosses. And we obtained the emotional degrees by applying the weight of the sentences and the emphasis multiplier values on the basis of basic emotional list. Experimental results have been identified as AND and OR sentence having a weight of average degree of included words. And MULTIPLY sentence having 1.2 to 1.5 weight depending on the type of adverb. It is also assumed that NOT sentence having a certain degree by reducing and reversing the original word's emotional degree. It is also considered that emphasis multiplier values have 2 for 1 stratum and 3 for 2 stratum.

A Korean Sentence and Document Sentiment Classification System Using Sentiment Features (감정 자질을 이용한 한국어 문장 및 문서 감정 분류 시스템)

  • Hwang, Jaw-Won;Ko, Young-Joong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3
    • /
    • pp.336-340
    • /
    • 2008
  • Sentiment classification is a recent subdiscipline of text classification, which is concerned not with the topic but with opin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Korean sentence and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 using effective sentiment features. Korean sentiment classification starts from constructing effective sentiment feature sets for positive and negative. The synonym information of a English word thesaurus is used to extract effective sentiment features and then the extracted English sentiment features are translated in Korean features by English-Korean dictionary. A sentence or a document is represented by using the extracted sentiment features and is classified and evaluated by SVM(Support Vector Machine).

KE-T5-Based Text Emotion Classification in Korean Conversations (KE-T5 기반 한국어 대화 문장 감정 분류)

  • Lim, Yeongbeom;Kim, San;Jang, Jin Yea;Shin, Saim;Jung, Min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96-497
    • /
    • 2021
  • 감정 분류는 사람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을 구분하기 위한 중요한 열쇠로, 지난 수십 년간 감정 분석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감정 분류의 품질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단일 레이블링 대신 다중 레이블링된 데이터 세트를 감정 분석에 활용하는 연구가 제안되었고, 본 논문에서는 T5 모델을 한국어와 영어 코퍼스로 학습한 KE-T5 모델을 기반으로 한국어 발화 데이터를 단일 레이블링한 경우와 다중 레이블링한 경우의 감정 분류 성능을 비교한 결과 다중 레이블 데이터 세트가 단일 레이블 데이터 세트보다 23.3% 더 높은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했다.

  • PDF

A Study on Spatial Therapy through Spatial Psychology (공간 심리학을 통한 공간치유 연구)

  • Hae Rang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709-714
    • /
    • 2023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of spatial therapy through spatial psychology in various ways of healing for emotional damage received by individuals. It is intend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and specify the method through instructional cases of spatial therapy for general university students. The method of spatial therapy was designed as a preliminary question(past)-space exploration (present)-travel plan(future). In the preliminary question, the students remembered the happy trip with their family and the pleasant memories with a person for the longest time. In the space exploration, the places the students visited were all different, but they were fully satisfied and happy about the place they had been to. The students fully remembered and expressed their feelings about the person they were with and the place. In their travel plans, students were fully prepared for the trip and looking forward to various therapy emotions they wanted to feel there. Most of the students said they wanted to find peace of mind through travel, feel peaceful feelings, and enjoy a beautiful world. Travel for spatial therapy or visiting certain places gives those who are tired and struggling enough therapy power.

Emotion Recognition from Natural Language Text Using Predicate Logic Form (Predicate Logic Form을 이용한 자연어 텍스트로부터의 감정인식)

  • Seol, Yong-Soo;Kim, Dong-Joo;Kim, Han-Woo;Park, J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411-412
    • /
    • 2010
  • 전통적으로 자연어 텍스트로부터의 감정인식 연구는 감정 키워드에 기반한다. 그러나 감정 키워드만을 이용하면 자연어 문장이 원래 갖고 있는 통사정보나 의미정보는 잃어버리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 텍스트를 Predicate Logic 형태로 변환하여 감정 정보처리의 기반데이터로 사용한다. Predicate Logic형태로 변환하기 위해서 의존 문법 구문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Predicate 데이터 중 감정 정보를 갖고 있는 Predicate만을 찾아내는데 이를 위해 Emotional Predicate Dictionary를 구축하였고 이 사전에는 하나의 Predicate마다 미리 정의된 개념 클래스로 사상 시킬 수 있는 정보를 갖고 있다. 개념 클래스는 감정정보를 갖고 있는지, 어떤 감정인지,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 감정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자연어 텍스트가 Predicate으로 변환되고 다시 개념 클래스로 사상되고 나면 KBANN으로 구현된 Lazarus의 감정 생성 규칙에 적용시켜 최종적으로 인식된 감정을 판단한다. 실험을 통해 구현된 시스템이 인간이 인식한 감정과 약 70%이상 유사한 인식 결과를 나타냄을 보인다.

  • PDF

Using CNN-LSTM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Dialogue Context to Emotion Classification (CNN-LSTM을 이용한 대화 문맥 반영과 감정 분류)

  • Shin, Dong-Won;Lee, Yeon-Soo;Jang, Jung-Sun;Rim, Hae-Chang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141-146
    • /
    • 2016
  • 대화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나타내는 발화에 내재된 감정을 분류하는 것은, 시스템이 적절한 응답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화 내 감정 분류를 하는데 있어 직접적,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감정 자질을 자동으로 학습하고 감정이 지속되는 대화 문맥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CNN-LSTM 방식의 딥 뉴럴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그리고 대량의 구어체 코퍼스를 이용한 사전 학습으로 데이터 부족 문제를 완화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SVM이나, 단순한 RNN, CNN 네트워크 구조에 비해 전반전인 성능 향상을 보였고, 특히 감정이 있는 경우 더 잘 분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entiment Classification System Using Feature Extraction from Seed Words and Support Vector Machine (종자 어휘를 이용한 자질 추출과 지지 벡터 기계(SVM)을 이용한 문서 감정 분류 시스템의 개발)

  • Hwang, Jae-Won;Jeon, Tae-Gyun;Ko, Young-Jo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938-942
    • /
    • 2007
  • 신문 기사 및 상품 평은 특정 주제나 상품을 대상으로 하여 글쓴이의 감정과 의견이 잘 나타나 있는 대표적인 문서이다. 최근 여론 조사 및 상품 의견 조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대용량의 문서의 의미적 분류 및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에 나타난 내용을 기준으로 문서가 나타내고 있는 감정을 긍정과 부정의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문서 분류의 시작은 감정을 지닌 대표적인 종자 어휘(seed word)로부터 시작하며, 자질의 선정은 한국어 특징상 감정 및 감각을 표현하는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를 대상으로 한다. 가중치 부여 방법은 한글 유의어 사전을 통해 종자 어휘의 의미를 확장하여 각각의 가중치를 책정한다. 단어 벡터로 표현된 입력 문서를 이진 분류기인 지지벡터 기계를 이용하여 문서에 나타난 감정을 판단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 PDF

Using CNN-LSTM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Dialogue Context to Emotion Classification (CNN-LSTM을 이용한 대화 문맥 반영과 감정 분류)

  • Shin, Dong-Won;Lee, Yeon-Soo;Jang, Jung-Sun;Rim, Hae-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141-146
    • /
    • 2016
  • 대화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나타내는 발화에 내재된 감정을 분류하는 것은, 시스템이 적절한 응답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화 내 감정 분류를 하는데 있어 직접적,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감정 자질을 자동으로 학습하고 감정이 지속되는 대화 문맥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CNN-LSTM 방식의 딥 뉴럴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그리고 대량의 구어체 코퍼스를 이용한 사전 학습으로 데이터 부족 문제를 완화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SVM이나, 단순한 RNN, CNN 네트워크 구조에 비해 전반전인 성능 향상을 보였고, 특히 감정이 있는 경우 더 잘 분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utomatic Construction of a Negative/positive Corpus and Emotional Classification using the Internet Emotional Sign (인터넷 감정기호를 이용한 긍정/부정 말뭉치 구축 및 감정분류 자동화)

  • Jang, Kyoungae;Park, Sanghyun;Kim, Woo-Je
    • Journal of KIISE
    • /
    • v.42 no.4
    • /
    • pp.512-521
    • /
    • 2015
  • Internet users purchase goods on the Internet and express their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of the goods in product reviews. Analysis of the product reviews become critical data to both potential consumers and to the decision making of enterprise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opinion mining techniques which derive opinions by analyzing meaningful data from large numbers of Internet reviews. Existing studies were mostly based on comments written in English, yet analysis in Korean has not actively been done. Unlike English, Korean has characteristics of complex adjectives and suffixes. Existing studies did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language. This study proposes an emotional classification method which increases the accuracy of emotional classific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language connoting feelings. We can classify positive and negative comments about products automatically using the Internet emoticon. Also we can check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through the result of high precision, recall and coverage for the evaluation of this method.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Feature Reweighting (자질 가중치의 재조정을 통한 감정 분류)

  • Seo, Hyung-Won;Kim, Hyung-Chul;Kim, Jae-Hoon;Lee, Kong-J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145-150
    • /
    • 2009
  • 이 논문은 한글 뉴스 기사의 댓글에 대한 감정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계학습을 이용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자질의 가중치를 재조정하는 좀 색다른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댓글은 독자들이 특정 기사에 대해서 어떠한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그런데 독자들의 감정은 가사에 어떤 분야에 속하느냐에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정치 기사는 부정적인 댓글은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인물 기사는 긍정적인 기사를 많이 포함한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댓글의 속성을 이용해서 기사의 원문과 기사의 분야 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조정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신문 기사와 댓글을 수집하여 감정 말뭉치를 구축하였으며 감정자질을 추출하기 위해 감정 사전을 구축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F_1$ 척도는 92.2%였으며 원문의 감정 단어와 분야 정보가 댓글의 감정을 분류하는데 중요한 자질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