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응성

검색결과 496건 처리시간 0.024초

Dual pH sensitive polyelectrolyte complex membranes composed of chitosan and poly(acrylic acid)

  • 박호범;남상용;이영무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6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80-81
    • /
    • 1996
  • 일반적으로 고분자전해질은 고유의 독특한 특성으로 고분자 분리막, 이온교환수지, 의료용고분자등에 널리 응용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전해질은 음이온성과 양이온성이 있으며, 그 이온적성질으로 인하여 반대의 전하를 띄는 고분자전해질들끼리 결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전해질 착체는 고분자전해질과는 또 다른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고분자분리막과 의료용재료 분야에 응용가능성이 큰 물질이다. 특히 양이온성과 음이온성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구조적 특성에 의하여 산성과 염기성 모두에서 감응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겔의 경우 산성 또는 염기성 영역에서 해리되는 특성에 의하여 pH 감응성을 나타내지만 한쪽 영역에서만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키토산과 폴리아크릴산으로 제조된 고분자전해질착체를 이용하여 pH변화에 따른 함수거동을 관찰함으로써 양쪽의 pH 감응성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 PDF

Tungstate Ion 감응 전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ungstate-Sensing Electrodes)

  • 인권식;이중화
    • 대한화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16
    • /
    • 1983
  • Tungstate 이온 감응에 대하여 세가지 성분인 $Ag_2S-PbS-PbWO_4$로된 전극이 제조되어 평가 되었다. 성분비(w/w%)가 51.71 : 16.64 : 31.65인 전극이 전위차 감응, 안정도, 감응속도, 감응속도, 재현성이 우수 하였다. $0.1F-NH_4Ac-NH_4OH$ 완충용액 속에서 일정한 이온강도와 pH 8.00로 조정된 $10^{-1}~10^{-4}M WO_4^{2-}$ 농도범위에서 실험하였고 감응성은 phosphate 감응 전극과 비슷하였다. 많은 이온들이 방해를 하였다.

  • PDF

Hollow $TiO_2$의 결정성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rystallinity of hollow $TiO_2$ spheres on conversion efficiency of DSSC)

  • 송민경;김정현;유연태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50.2-50.2
    • /
    • 2011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날씨 조건에서도 태양광과의 반응성이 안정하다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광전 변환 효율이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과 장기적으로 안정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크게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료는 염료, $TiO_2$와 같은 반도체 산화물전극 재료, 전해질이다. 이 중 $TiO_2$의 특성 및 크기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TiO_2$는 넓은 비표면적, 높은 전자의 이동성 및 태양광과의 우수한 반응성을 가져야 한다. Microwave hydrothermal 방법에 의해 제조된 hollow $TiO_2$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시킬 경우 기존의 $TiO_2$의 광흡수 반응이 200~400 nm 사이에서 발생하는 반면, hollow $TiO_2$의 광흡수 반응은 기존의 UV 영역인 200~400 nm 뿐만 아니라 가시광 영역인 400~460 nm 에서도 광흡수 반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광전 변환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microwave hydrothermal법에 의해 제조된 hollow $TiO_2$는 150-200 nm의 크기를 갖으며 20-30 nm 크기의 $TiO_2$ particle들로 이루어져 있다. hollow $TiO_2$ (150-200 nm)를 기존의 $TiO_2$ (10-20 nm) 층 위에 올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electrode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TiO_2$ 단층을 이용한 것보다 우수한 light-scattering 효과를 갖게 되어 광전 변환 효율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hollow $TiO_2$의 광학적 특성 및 결정성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hollow $TiO_2$의 광학적 특성 및 결정성의 변화를 위하여 microwave hydrothermal 법의 합성 온도 및 합성시간에 변화를 주었다. hollow $TiO_2$의 광학적 특성은 UV-visible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hollow $TiO_2$의 형상과 결정학적 특성은 TEM과 SEM 그리고 X선 회절 분석을 이용하여 관찰되었고, hollow $TiO_2$의 비표면적 측정은 BET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cell을 제작하여 $100mW/cm^2$(AM 1.5G) 기준에서 광전 변환 효율을 측정하였다.

  • PDF

실리콘러버-지지체 염화이온선택성 막전극 (Silicone Rubber Membrane-Based Chloride Ion-Selective Electrode)

  • 사공동식;김진목;차근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653-660
    • /
    • 1997
  • Tetradecyltrimethylammonium chloride(TDTMACl)을 첨가한 실리콘러버-지지체 전극막은 생체시료중 염화이온의 측정시 보다 향상된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이때 최적화된 전극막의 조성비는 95.4 wt% 실리콘러버, 4.6 wt% TDTMACl이며 이 전극막의 pH 감응성은 pH 6-10 영역에서 무시할 수 있었다. 이들 전극막들의 염화이온에 대해 감응기울기는 10-300 mM 영역에서 -3.75 mV/decade로 이론적인 Nernstian 감응기울기에는 못 미쳤으나 살리실레이트 이온 등 다른 음이온에 대한 선택성은 매우 우수하였다: KpotCl,NO3=1.3, KpotCl,I=2.0, KpotCl,Sal=0.8, KpotCl,SCN=2.0, KpotCl,ClO4=0.8. 또한 실리콘러버-지지체 전극막은 PVC-지지체 전국막에 비해 고체상 전극표면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므로 CWE형 고체상 전극에 도입되었을 때 향상된 전극수명을 나타내었다. 이들 고체상 전극들은 35일까지 염화이온에 대한 감응기울기나 살리실레이트 이온에 대한 감응성에 변화없이 우수하게 작동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나노 Ruthenium Oxide 고분자 복합재료 pH전극 (Nano-Ruthenium Oxide Polymeric Composite pH Electrodes)

  • 박종만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269-274
    • /
    • 2018
  • 금속산화물 고분자 복합재료전극 제조기법을 수소이온 감응성이 높은 $RuO_2$에 적용하여 표면연마가 가능한 나노 $RuO_2$ 복합재료 pH전극을 제조하였다. $RuO_2$ 함량 53 wt%을 가지는 나노 $RuO_2$ 복합재료 전극의 경우 나노 $IrO_2$ 복합재료 전극과 비슷한 수소이온 감응특성을 나타내었다. pH 1~9의 범위에서 이론치에 가까운 -58.7 mV/pH의 감응기울기, 1초 이하의 감응속도, 평균 $-57.0{\pm}0.3mV/pH$ (n=5)의 표면재생성, 장기 안정성 등 제반 특성과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이 높은 화학종에 의한 방해효과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pH 10 이상의 염기성 용액에서의 감응기울기와 감응속도는 나노 $IrO_2$ 복합재료전극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복합재료 매질 속의 금속산화물 함량에 따른 물리적 성질 차이에 따른 것으로 추측된다.

pH 감응성 P(MAA-co-PEGMA) 수화젤이 알부민의 방출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Sensitive P(MAA-co-PEGMA) Hydrogels on Release and Stability of Albumin)

  • 양주승;김범상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262-26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pH 감응성 수화젤 입자를 이용하여 외부환경에 불안정한 활성물질을 화장품 제형 내에서는 안정하게 보존하고, 피부에 도포 시 빠른 방출로 피부에 흡수될 수 있는 지능형 전달시스템의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산광중합을 이용하여 pH 감응성을 가지는 P(MAA-co-PEGMA) 수화젤 입자를 평균 크기 약 $2{\mu}m$의 구형 입자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P(MAA-co-PEGMA) 수화젤 입자는 수화젤의 MAA에 존재하는 카르복시기의 이온화에 의하여 pH 5를 전후로 한 급격한 팽윤비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pH에 따른 수화젤 내부에 탑재된 알부민의 방출 및 피부투과 실험결과, P(MAA-co-PEGMA) 수화젤 입자는 pH 4.0에서는 소량의 알부민이 방출되어 피부 투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은 반면, pH 6.0에서는 초기부터 다량의 알부민이 방출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피부투과율을 나타내었다. 펩신을 이용한 알부민의 안정성 실험결과, P(MAA-co-PEGMA) 수화젤은 내부에 탑재된 알부민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알부민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주었다.

과채류 재배에 사용되는 잔류성 농약의 돌연변이 유발성에 관한 연구 (Mutagenicity of residual pesticides using to cultivate the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Salmonella typhimurium)

  • 고용구
    • 환경위생공학
    • /
    • 제3권1호
    • /
    • pp.41-67
    • /
    • 1988
  • Salmonella typhimurium을 이용하는 Ames방법 (1973)에 따라 과채류 재배에 많이 사용되는 12종의 농약에 대하여 돌연변리 유발성을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잔류성 농약 12종에 대한 돌연변이유발성은 Dicofol을 제외한 11종의 농약에서 나타났다. 특히 쥐간 혼합추출물(S-9 mixture)로 活性化시쳤을 때 강한 돌연변이 유발성을 보였다. 2) 돌연변이 유발성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었다. (1) 본 실험의 시료인 12종의 농약의 돌연변이유발성은 Salmonella typhimuriumTA 100에서 EPN과 Dicofol을 제외한 10종의 농약에서 감응성을 나타내였으며 특히 S-9 mixture로 활성화 시켰을 경우에는 강한 감응성을 보였다. 각 농약의 가장 높은 감응성을 나타낸 농약별 농도를 보면, Thalonil은 $0.2{\mu}g/plate(710),\;Monopho$$0.05{\mu}g/plate(1,260),\;Tedion$$1.0{\mu}l/plate(9,900),\;Danoton$$1.0{\mu}l/plate(4,910),\;Ometon$$0.10{\mu}l/plate(4,980),\;prosing$$0.20{\mu}g/plate(283),\;Phentoate$$1.0{\mu}g/plate(494),\;Parathion$$0.05{\mu}l/plate(145),\;Sappiran$$0.05{\mu}g/plate(295)$ 및 Captan은 $1.0{\mu}g/plate(2,700)$이었다. (2) Salmonella typhimurium TA98에서는 Dicofol과 Captan을 제외한 10종의 농약에서 반응성을 보였다. 각 농약의 가장 높은 감응성을 나타낸 농약별 농도를 보면, Thalonil은 $0.05{\mu}g/plate(1,237),\;Monopho$$1.0{\mu}g/plate(1,737),\;Tedion$$1.0{\mu}l/plate(4,937),\;Danoton$$0.5{\mu}l/plate(2,000),\;Ometon$$0.10{\mu}l/plate(112),\;prosing$$0.50{\mu}g/plate(670),\;EPN$$0.05{\mu}l/plate(440),\;phentoate$$0.01{\mu}g/plate(540),\;parathion$$0.05{\mu}g/plate(910)$ 및 Sappiran은 $0.02{\mu}g/plate(1,210)$이었다. (3) Salmonella typhimurium TA1535 TA1538에서는 TA100과 TA98에 비하여 대체적으로 낮은 감응성을 나타내었는데, TA1535에서는 Canoton이 $0.02{\mu}l/plate(148),\;Tedion$$1.0{\mu}l/plate(295)$ 및 Captan이 $1.0{\mu}g/plate(170)$이었고, TA 1538에서는 Thalonil $0.2{\mu}g/plate(1,233),\;Monopho$$0.1{\mu}g/plate(1,783),\;Tedion$$1.0{\mu}l/plate(483),\;EPN$$1.0{\mu}l/plate(180),\;phentoate$$0.05{\mu}g/plate(142)$이었다. 3) Salmonella typhimurium TA100과 TA98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감응성을 보이는 농약은 Thalonil, Monopho, Tedion, Danoton, Prosing, Phentoate, Parathion 및 Sappiran이었다. Ometon은 TA100, EPN은 TA98에서만 활성을 보였다. 4) Dicofol을 제외한 11종의 농약이 과피를 식용하는 과실류 및 채소류에 사용하는 것은 식품위생상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며 앞으로 이에 대하여는 더욱 연구검토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 PDF

pH 감응형 나노입자를 이용한 멜라닌 합성저해 연구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by Enhanced Cytosolic Delivery of N-glycosylation Inhibitors Using pH-Sensitive Nano-carrier)

  • Park, Ju-Young;Park, Hyun-Jung;Shim, Jong-Won;Ahn, Soo-Mi;Kim, Junoh;Chang, Ih-Seop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9-32
    • /
    • 2004
  • 내형질 세망 조직에서 N-글리코실레이션 과정의 초기 단계를 차단하면 멜라닌 생 합성의 주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활성이 저해된다.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환경에서 N-글리코실레이션 저해제의 활성을 증가시키고자 전달체로 pH 감응성을 갖는 나노크기의 지질구조체를 제조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이 pH 감응성 지질구조체 Melexsome은 일반적인 지질성분인 포스포리피드와 콜레스테롤 기반의 지질안정 성분으로 구성되며, 통상적인 리포좀 제조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글리코실레이션 저해 성분물질을 포집시킨 Melel[some의 효과는 EndoH & PNGaseF 분해와 western blotting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고, 멜라닌 합성량 또한 측정 되었다. 이 결과, pH 감응성을 갖도록 제조된 Melexsome이 N-글리코실레이션 저해제의 효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초점 주사 현미경에 의한 세포관찰 결과에 따르면 Melexsome은 여타의 전달체에 비하여 세포질 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이같은 양친성 지실성분 기반의 pH 감응성 나노 전달체는 N-글리코실레이션 저해제의 전달 시스템으로서 미백 화장료 제품이 가져야 하는 침착된 색소에 의해 어두워진 피부톤의 개선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데 적합하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