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각자극 프로그램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초

시각리듬자극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감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sual Rhythmic Stimulation in Gait and Proprioception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 조남정;이동엽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98-901
    • /
    • 2010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각리듬자극(RVS)을 이용한 보행 운동을 적용하여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1명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14m의 보행로가 확보된 공간에서 준비운도 5분, 보행운동 20분, 정리운동 5분 씩 주 3회, 4주간 12회을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의 운동프로그램과 같은 조건에서 보행운동시 시각리듬자극(RVS)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였다. 운동 전과 후에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을 측정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대조군과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각리듬자극(RVS)이 적용된 실험군에서 보행속도와 분속수, TUG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고유수용성감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결론적으로 시각리듬자극(RVS)을 이용한 보행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음악적 요소인 시각리듬자극 (RVS)이 정신적 육체적 기능을 상실한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PDF

초산모의 감각자극 프로그램이 영아의 성장 및 수유시 모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Program Conducted by Primipara on the Physical Growth and Mother-Infant Feeding Interaction for Full Term Infant)

  • 김미예;장군자;김선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20-828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stimulation program administered by primipara on the physical growth and mother-infant feeding interaction for the first 6 months of infancy.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2001 to June 30, 2003. A total of 35 mothers and their infants were assigned to a control(n=17) and an experimental(n=18) group.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education related to sensory stimulation program and administered to their infants twice a day for 6 months. Both groups were measured the weight, length, head circumference and chest circumference of infants at 6 weeks, 10 weeks, 14 weeks, 18 weeks, and 22 weeks and the mother-infant feeding interaction at 6 weeks, 10 weeks through the home visiting. Resul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larger increases in head circumference for intervention period. In addition t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mother-infant interaction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ed that sensory stimulation program administered by primipara may improve the physical growth of full term infant and mother-infant feeding interaction.

시각리듬자극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감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sual Rhythmic Stimulation in Gait and Proprioception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 조남정;이동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353-3357
    • /
    • 2010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각리듬자극(rhythmic visual stimulation, RVS)을 이용한 보행 운동을 적용하여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1명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14m의 보행로가 확보된 공간에서 준비운동 5분, 보행운동 20분, 정리운동 5분 씩 주 3회, 4주간 12회를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의 운동프로그램과 같은 조건에서 보행운동시 시각리듬자극(RVS)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였다. 운동 전 후에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을 측정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였고 대조군과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공분산분석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각리듬자극(RVS)이 적용된 실험군에서 보행속도와 분속수, Timed up and go test(TUG)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고유수용성감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결론적으로 시각리듬자극(RVS)을 이용한 보행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음악적 요소인 시각리듬자극(RVS)이 정신적 육체적 기능을 상실한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의식 환자를 위한 감각자극 중재 프로그램이 환자의 의식상태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tervetion Program of Sensory Stimulation for Comatous Patients on Their Consciousness Status)

  • 오현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85-896
    • /
    • 2001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ate of recovery from the consciousness impairment from two sessions of comprehensive consciousness stimulatio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was higher than the one which was obtained naturally with only conventional care. Method: The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e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or in the Sub-Intensive Care Unit in one of th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Inchon. For the treatment of the deterioration of his/her consciousness level resulting from neurological causes. Results: The effect of the first intervention on consciousness state began to appear two weeks the intervention initiation and to disappear two weeks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e significant effect of the second session of the consciousness stimulation program also began to appear two weeks the second intervention initiation and persisted until 4 months after intervention was terminated. Conclusion: It appeared that the first intervention effect had gradual onset and gradual decay, while the second intervention effect had gradual onset and permanent duration.

  • PDF

12주간의 고유감각자극운동이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만성요통과 감각운동 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12-Week of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s on Chronic Low Back Pain and Sensorimotor Control in Middle-Aged Females in Rural Areasa)

  • 김은주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3-42
    • /
    • 2024
  • 본 연구는 만성요통을 호소하는 농촌지역 50대 중반 여성을 대상으로 고유감각자극을 위한 소도구 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여 VAS(visual analogue scale), 정적균형능력 좌·우, 전·후, 그리고 고유감각 운동능력 신체안정성 좌·우, 전·후의 신체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experimental group; EG) 24명, 통제집단(control group; CG) 20명으로 무작위할당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동질성 검사는 독립 t-검정을 실시하여 평균의 유의차를 분석하였고, 동질성이 확보된 경우 Two-way ANOVA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과 12주 시기 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 내 시기 간 VAS, 정적균형능력 좌·우, 전·후, 그리고 고유감각 운동능력 신체안정성 좌·우, 전·후에서 유의한 평균차이로 개선된 결과를 나타냈으며, 집단 간 12주 후에서 실험집단이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인지자극 활동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자기효능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Cognitive Stimulation Activity Program on the Mild Cognitive Impairment Elderly's Cognitive Function, Self-Efficacy, and Depression)

  • 방주희;방요순;손보영;오은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31-248
    • /
    • 2019
  • 본 연구는 인지자극 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상생활 및 지역사회 활동은 가능하지만, 지속적인 인지기능의 저하를 겪고 있는 노인의 인지기능, 자기효능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 및 지역사회 활동은 가능하지만, 지속적인 인지기능의 저하를 겪고 있는 노인의 특성 및 인지수준에 따른 하위영역별, 난이도별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활동과제에 대한 수행력과 적응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인지기능의 하위영역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키어 치매로의 전환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감각자극을 촉진하는 활동과 상황적·관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사건 또는 추억에 대해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성공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및 태도를 갖게 하여 자기효능감을 높였다. 그룹활동을 통해서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함은 물론 타인에 대한 공감, 이해, 배려 등을 나눔으로써 우울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인지자극 활동프로그램은 인지 기능의 저하를 겪고 있는 노인의 임상적 중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기에, 조기치매의 예방적 차원에서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감각자극 프로그램이 영아의 성장과 행동발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ensory Stimulation Program on Growth and Behavioral Development of Infants)

  • 김정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445-1454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nsory stimulation program on the growth (weight, height, head circumference, and chest circumference), behavioral development, behavioral states, and the heart rate of the infants. A total of 23 infants of 2 weeks old were divided into sensory stimualtion group (11 infants) and control group (12 infants). The infants of sensory stimulation group had received sensory stimulation for 6 weeks. Sensory stimul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tactile and kinesthetic stimulation. We assessed growth, behavioral state and heart rate every week and behavioral development every 2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ody weight in sensory stimulation group, from two weeks after the sensory stimulation progra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head circumference, and chest circum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2. Behavioral developmental score of sensory stimul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from two weeks after the sensory stimulation program. Developmental states of sensory stimulation group showed more 'high average developmental state' than the control group from 4 weeks after sensory stimulation program. 3. Behavioral states of sensory stimulation group after the sensory stimulation program, the 'sleeping st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control group. The 'awakening state' and the state of fuss or crying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4. The heart rate of the sensory stimulation group after the sensory stimul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nsory stimulation program decreases heart rate and improves the sleeping state to be effective on promo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infants. In view of these experiments, we suggest sensory stimulation program might be considered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infants not only in clinical settings but also at homes and in the communities.

  • PDF

미술치료가 노인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rt Therapy impact on the lives of the elderly study)

  • 김성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319-324
    • /
    • 2013
  • 노인은 그 어느 연령층보다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다양한 환경과 경험에 따라 다른 성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노인들에게 획일적인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진행은 불가능하며 스스로가 치료의 필요성을 느낄 때 참여하여야만 효과적이라고 본다. 미술치료는 미술매체를 통해 내면의 감정을 표출하기 때문에 노인들의 심상에 간직된 감정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것을 돕고, 감정의 위기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술치료에서의 치료수단은 비언어적 수단이므로 통제를 적게 받아 자기방어가 감소된다. 또한 미술매체는 감각을 사용할 기회 자체가 줄어드는 노인들의 본연의 감각을 자극하므로 매우 유용한 교육프로그램으로 평가되어진다.

단도박자의 감각 회복 체험 (The Experiences of Gambling Abstinences' Sense Recovery)

  • 강준혁;이혁구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4호
    • /
    • pp.121-150
    • /
    • 2016
  • 본 연구는 도박에 중독되고 회복되는 과정에서 주체의 감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단도박자 10인과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Giorgi(1970; 1985)가 제안한 현상학 방법으로 분석했다. 분석 과정에서 드러난 여러 의미단위(meaning unit)를 18개의 '드러난 주제'로 재구성했으며, 드러난 주제들 간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총 6개의 '본질적 주제'로 통합했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도박중독 과정에서 시각, 청각과 같은 특정 감각에만 모든 정신을 집중시킴으로써 다른 감각들을 상실해갔다. 둘째, 참여자들은 회복 과정에서 '금단의 고통'을 겪었지만 이를 통해 잃어버린 감각을 회복해 갔다. 셋째, 참여자들의 체험에 관한 주제들을 일관적 진술로 통합한 결과 참여자들에게 있어서 회복은 일종의 '도박으로 잃어버린 감각 회복 과정'이었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감각에 대한 정보 제공', '자극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 '감각회복훈련 적용'과 같은 실천적 대안들을 제시했다.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A Study of Postural Control Characteristics in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이형수
    • 재활복지
    • /
    • 제14권3호
    • /
    • pp.225-256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각, 안뜰감각 그리고 몸감각을 조합하여, 실험 조건에 따라 자세유지를 위하여 어떤 감각을 활용하고 있는지, 부적절한 감각자극에 대해서 통합시스템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외부 동요에 대해 신경근육의 자세조절 전략 시 동원되는 근육의 수축 개시시간과 개시순서를 각각 측정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자세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적용 시 방향을 제시해주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 26명과 일반아동 26명의 아동으로부터 자세조절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세조절과 감각계와의 관계를 파악한 평형점수와 감각활용 분석, 엉덩관절 전략에 의지하는 자세조절 전략, 근수축 개시지연과 근수축 개시순서의 변화 등을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의 문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의 자세조절 시스템 전반에 걸친 총체적인 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을 포함하는 포괄적 자세조절 훈련 프로그램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다양한 감각을 제공하여 주고, 제공된 감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감각훈련과 함께 고위중추에서 입력된 감각들을 정상적인 자세조절 발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 시켜주어야 한다. 적응 반응을 계획하고 조직화하여 의미 있는 활동을 통해 중추신경계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자세조절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안정성 한계를 넓힐 수 있는 신경발달학적 치료와 함께, 근골격계에서 빠른 근수축 반응과 효율적인 근수축 개시순서를 유발 할 수 있도록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 자세반응 촉진 프로그램과 같은 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