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갈근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초

카드뮴을 급여한 흰쥐에서 갈근 열수 추출액의 해독작용효과 (Effects of Pueraria radix in Water Extract on the Detoxification in Rat administered with Cadmium)

  • 정영희;신미경;한성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6-464
    • /
    • 2002
  • 3%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와 카드뮴을 흰쥐에게 4주 동안 급여 한 후 간과 신장 조직의 카드뮴 함량, renin 호르몬 농도, 혈청중의 GPT, GOT 및 LDHas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식이섭취량에서 대조군인 24.62 g에 비하여, 3%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군은 23.41 g으로, 카드뮴 급여군은 23.76 g에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급여군과 카드뮴 병합 급여군은 22.25 g으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체중 증가량은 대조군이 124.50 g이고, 3% 갈근 열수 추출액급여군은 127.22 g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카드뮴 급여군은 107.57 g에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급여군과 음용수와 카드뮴 병합 급여군은 128.80 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식이효율은 카드뮴 급여군과 갈근- 카드뮴 병합 급여군 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간의 무게에서 대조근에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군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카드뮴 공급군에 비하여 갈근-카드뮴 병합 급여군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신장 무게는 카드뮴 공급군에 비하여 갈근 카드뮴 병합 급여군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 조직내에서의 카드뮴 함량은 대조군이 0.15 ug/g으로 갈근 열수 추출액급여군은 0.14 ug/g에 비하여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카드뮴 급여군은 3.04 ug/g에 비하여 갈근-카드뮴 음용수 병합 급여군은 2.87 ug/g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장 조직내에서 대조군은 0.21 ug/g이었으나, 갈근 열수 추출액급여군 은 0.23 ug/g으로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카드뮴 급여군은 6.48 ug/g에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급여군과 카드뮴 병합 급여군은 4.42 ug/g 4.57ug/g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호르몬인 renin 농도는 갈근차 음용수군은 16.73 ngAl/mL/hr으로 대조군인 15.89 ngAl/mL/hr에 비해서 증가하였다. 카드뮴 급여군은 25.72 ngAl/mL/hr으로 카드뮴과 갈근 열수 추출액 병합 급여군인 18.57ngAl/mL/hr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GOT는 대조군이 96.16 U/L에 비하여 갈근차 단독 급여군은 96.44 U/L로 약간 증가하였다. 카드뮴 급여군은 154.40 U/L인데 비하여 카드뮴과 갈근 열수 추출액 병합 급여군이 118.80 U/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GPT는 대조군이 59.60 U/L에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군은 63.46 U/L으로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카드뮴 급여군은 73.54 U/L 인데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군과 카드뮴 병합 급여군은 69.80 U/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DHase는 대조군이 179.00, 갈근 열수 추출액급여군은 198.60 U/L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지 않았다. 카드뮴 급여군은 264.30 U/L 인데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급여군와 카드뮴 동시 병합 급여군은 227.30 U/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카드뮴에 중독된 흰쥐에 대한 갈근 추출물의 해독 효과를 알아 보는 본 연구에서 50 ppm의 카드뮴액과 함께 3% 갈근 추출액을 급여한 흰쥐의 체중증가량과 사료 섭취 효율을 50 ppm의 카드뮴만을 급여한 흰쥐의 이들 측정값과 비교할 때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50 ppm의 카드뮴액과 함께 3% 갈근 추출액을 급여한 흰쥐군은 50 ppm의 카드뮴액만을 급여한 흰쥐군과 비교하여 신장내 카드뮴 함량과 GPT 및 LDH 활성도, renin 활성도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신장 무게는 정상 흰쥐와 같은 수준으로 회복하였고 GOT 활성도 역시 정상 흰쥐와 같은 수준으로 감소를 보여 갈근이 카드뮴 중독 흰쥐에서 신장 등의 장기내 카드뮴 축적의 감소로 카드뮴 중독 작용의 경감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근과 옻 혼합추출물의 성분변화 및 항알러지 효과 (Constituent Alterations of Pueraiae Radix and Lacquer Tree Mixture Extract and their Anti-allergic Effects)

  • 정용준;양윤정;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3-110
    • /
    • 2013
  • 옻나무는 옻오름 같은 알러지 반응으로 인해 식품으로의 활용이 제한되므로 이러한 알러지 반응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갈근 추출물과 혼합하여 알러지 억제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알러지를 유발시키는 성분의 변화를 측정하여 화학적 구조변화 및 생물학적 알러지 반응 억제 양상을 관찰하였다. 이에 갈근 추출물에 대한 옻나무 추출물의 알러지 반응 완화효과를 RBL-2H3 세포에서 ${\beta}$-hexosaminidase의 양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갈근 추출물에서 매우 우수한 억제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갈근 추출물을 혼합한 결과 양성대조군 ketotifen보다 다소 우수한 효능이 나타났다. 옻나무 추출물의 알러지 유발물질 확인하고, 갈근과 혼합 추출 하였을 때의 알러지 유발물질 함량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GC/MS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종의 알러지 유발물질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갈근 추출물과 혼합시 알러지 유발물질은 그 함량이 적어지거나 소멸되었다. 따라서, 갈근과 혼합하여 추출하였을 때 함량이 낮아지거나 소멸되는 알러지 유발물질 4종에 대하여 탈과립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옻의 알러지 유발물질 4종으로부터 알러지를 유도한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화 억제효능 양상이 유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갈근 추출물은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능을 통하여 옻과 갈근을 혼합하여 추출한 복합추출물의 경우 옻의 문제점인 알러지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녹차와 갈근을 혼합한 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a Mixed Tea of Pueraria Radix and Green Tea)

  • 전주연;최성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0-355
    • /
    • 2010
  •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갈근을 중급 정도의 녹차와 혼합하여 갈근녹차를 제조하고 기호도와 관련이 있는 휘발성성분을 동시증류추출법에 의해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 동정하고 비교하였다. 갈근과 녹차를 1:1로 혼합한 갈근녹차의 향기성분으로 총 82종류를 동정하였다. 갈근녹차에는 갈근의 향기성분 18종류와 녹차의 향기성분 33종류 및 공통으로 포함된 31종류의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녹차의 향기성분으로 linalool, $\alpha$-ionone 및 nerolidol 등의 꽃향과 safranal, methyl butanal 등의 달콤한 향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갈근의 향기성분으로 hexanal, trans-2-nonenal 및 $\beta$-selinene 등의 풋풋한 향과 decanal, limonene 등의 달콤한 향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갈근녹차의 향기성분은 녹차의 향기성분인 달콤한 향을 띄는 furan류와 꽃향이나 산뜻한 과일 향을 띄는 linalool, nerolidol, 구수한 향을 띄는 pyrazine류와 pyrrole류에 갈근특유의 향기성분인 terpene계 화합물과 풋풋한 향을 띄는 trans-2-nonenal 및 $\beta$-selinene 등이 혼합되어 나타났다.

갈근가루 첨가 다식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rowroot Dasik Prepared With the Arrowroot(Puerariae Radix) Powder)

  • 최봉순;김혜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7-20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갈근가루 첨가에 따른 다식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갈근가루 첨가량에 따른 다식의 수분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갈근가루 첨가시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조군의 명도(L 값)와 황색도(b 값)는 갈근가루 첨가 다식보다 높았다. 반면 대조군의 적색도(a 값)는 갈근가루 첨가군에 비해 낮았다. 기계적 특성에서, 대조군의 경도는 갈근가루 첨가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부착성과 응집성, 검성 그리고 씹힘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갈근가루 첨가군의 색, 향 그리고 쓴맛의 강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갈근가루 첨가군의 맛과 전체적 기호도는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식에 갈근가루를 6% 정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갈근 추출물이 납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효소활성도 및 조직의 납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s of Pueraria radix on Enzymes Activities of Serum and Lead Level of the Tissues of the Pb-administered Rats)

  • 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914-919
    • /
    • 2000
  • 갈근은 두과식물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남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간질환 치료에 많이 이용되어 오는 전통 식품으로 음용수 대신 3% 갈근 추출물과 납을 흰쥐에게 4주 동안 경구 투여 한 후 각 장기 무게, 간, 폐, 위, 신장, 심장 및 비장 조직의 납함량과 혈청중의 GPT, GOT, LDH, ChEas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최종일 체중을 보면 대조군이 298.15 g으로 납-단독 투여군은 $203.38{\sim}214.76\;g$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각 장기 무게에서 대조군은 갈근 추출물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였고, 납 단독 투여군은 갈근추출물-납 동시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 하였다. 각 조직의 납 함량에서 납 단독 투여군은 대조군, 갈근추출물-납 동시 투여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GPT, GOT의 활성도에서 대조군은 각각 78.07, 104.80, 갈근 추출물군은 각각 63.46, 96.44로 대조군 보다 감소하였고, 납 단독 투여군은 $83.96{\sim}88.02,\;133.07{\sim}139.62$, 갈근추출물과 납 동시 투여 군에서는 $43.50[\sim}51.40,\;96.00{\sim}99.80$으로 납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DH에서 대조군은 499.33, 갈근 추출물군은 213.60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납 단독투여 군은 $595.30{\sim}615.50$, 갈근추출물과 납 동시 투여군은 $161.80{\sim}247.00$으로 납 단독 투여군 보다 LDH활성이 감소되었다. ChEase 활성은 대조군은 70.60, 갈근 추출물은 81.60으로 대조군보다 약 15.6% 증가하였고, 납 단독 투여군은 갈근 추출물-납 동시 투여군에 비하여 약 $42{\sim}73%$의 증가를 가져왔다.

  • PDF

갈근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Moisturizing Effects of Puerariae Radix Ethanol Extract)

  • 홍철희;이성진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6-117
    • /
    • 2017
  • Objectives : 갈근의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Methods : HaCaT 세포주에 갈근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고 Retinoic Acid $1{\mu}M$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MTT assay, RT-PCR, Hyaluronidase enzyme assay, HA-ELISA kit를 통해 Hyaluronic Acid의 합성량, Hyaluronidase 저해율, 농도별 Hyaluronic Acid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더불어 실제로 피부에 도포 시 보습 능력이 있는지 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Results : 갈근 에탄올 추출물은 뚜렷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는 않았고, 모든 농도에서 Hyaluronic Acid 합성과 관련된 hyaluronic acid synthase 2 유전자가 발현되었고, 실제로 Hyaluronic Acid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임상 효능 평가에서는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는 없었다. Conclusions : 갈근을 한방 외용제로 사용할 때 유의성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실험 결과를 토대로 갈근의 최적 사용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적 연구와 복합 처방으로 사용했을 경우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된다면 한방 외용제로서 잠재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흰쥐에서 갈근 추출물이 혈장 및 간장의 지질구성, 간장기능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lgeun(Pueraria radix) Extracts on Plasma and Liver Lipid Composition, Liver Function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Fed High Oxidized Fat)

  • 이은;신주옥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75-480
    • /
    • 2007
  •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흰쥐에서 갈근 추출물이 체지질구성, 간장기능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량 및 혈장 중성지질량은 과산화지질첨가군 모두가 정상군 보다 증가하였으나 갈근추출물 첨가에 의해 하락하여, 대조군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혈장 HDL-cholesterol량은 갈근추출물 첨가군이 대조군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05). 간장의 총콜레스테롤량은 전 처리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중성지질량은 정상군보다 과산화 지질처리군 모두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과산화지질 처리군 간에서는 갈근 처리군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 및 간장 내 TBARS량은 과산화지질 처리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과산화지질첨가군들 간에서는 갈근 처리군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 GOT 및 GPT의 활성치는 과산화지질첨가군들이 정상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갈근처리에 의해 하락했다. 간장 GSH-Px, SOD 및 CAT활성치는 과산화지질 첨가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과산화처리군 간에서는 갈근처리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장내 유용세균 Clostridium butyricum KCTC 1785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항산화 천연산물의 조합구성 (The Growth Promoting Effect of Useful Entevobacteria Clostridium butyricum KCTC 1785 by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Bearing Antioxidative Capacity)

  • 김종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95-604
    • /
    • 2002
  • C. butyricum은 선택되어진 천연산물의 한 종류 단독으로서도 성장이 촉진되었으며, 또한 두 종류, 세 종류 및 네 종류의 조합에 의하여 특징적으로 성장이 촉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항산화력이 강한 천연산물들을 사용하여 free radical의 제거와 동시에 C. butyricum의 성장 촉진물질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체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제제로의 응용 가능성을 보였다. C. butyricum을 CAB Medium에서 배양하였을 때, 구기자, 괴화, 백굴채,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진피, 당귀, 황금 및 오가피 등의 한가지의 천연산물에 의하여 성장이 촉진 되었고, 두 종류 천연산물의 조합인 백작약과 음양곽, 백작약과 진피, 백작약과 갈근, 백작약과 당귀, 백작약과 황금, 백작약과 괴화, 백작약과 녹차, 음양곽과 진피, 음양곽과 갈근, 음양곽과 황금, 음양곽과 괴화 등의 조합에 의하여 성장이 촉진되었으며, 백작약과 음양곽, 백작약과 진피, 백작약과 당귀, 음양곽과 갈근, 음양곽과 진피, 음양곽과 괴화의 조합 등은 대조군보다 2.0배 이상의 성장이 촉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천연산물의 성분이 membrane의 구성 성분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세 종류의 천연산물 조합인 음양곽과 갈근 및 괴화, 음양곽과 갈근 및 백작약, 음양곽과 갈근 및 당귀, 음양곽과 갈근 및 연자육, 음양곽과 갈근 및 황금 등의 조합에 의하여 성장이 촉진되었고, 음양곽과 갈근 및 연자육의 조합은 대조군 보다 1.7배의 성장 촉진 효과를 보였다. 4 종류 천연산물 조합인 음양곽, 갈근, 연자육 및 괴화의 조합, 음양곽, 갈근, 연자육 및 당귀의 조합은 대조군의 2.2배, 연자육, 백작약, 괴화 및 당귀의 조합, 갈근, 연자육, 백작약 및 괴화의 조합은 2.3배, 갈근, 백작약, 괴화 및 당귀의 조합은 2.0배의 성장 촉진 효과를 보여, 천연잔물의 조합에 의하여 생체에 probiotics의 역할을 하는 대부분의 유용균의 성장 향상을 위한 조합의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고, 이들의 응용은 생체방어의 새로운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종류의 조합의 항산화력을 용존산소 분석법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연자육, 백작약, 괴화 및 당귀의 조합의 AUC가 631.45로써 가장 높았으며 이때의 성장촉진 효과는 2.3배로 나타났다. C. butyricum의 성장을 촉진하는 4 종류의 조합에 대한 hydroxyl radical의 소거활성은 50, 100, 200 및 300 배로 희석하여 검토하였을 때 음양곽, 갈근, 연자육 및 당귀의 조합이 200 배의 희석율에서 94.63%의 소거율을 보였고, 4 종류의 조합 모두 높은 희석율에도 90% 이상의 높은 소거율을 보여 높은 희석률을 필요로 하는 음료 제제로서의 탁월함을 보였으며, 또한, 4종류의 각 조합에 따른 방향족의 함량 및 총 phenol도 가공된 차보다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화와 갈근 열수추출물들이 에탄올 투여 흰쥐의 혈청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eraria flos and radix Water-extracts on levels of Several Serum Biomarkers in Ethanol-treated Rats)

  • 조수열;장주연;김명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2-96
    • /
    • 2001
  • 갈화와 갈근의 에탄올성 간손상 흰쥐의 혈액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에게 갈화와 갈근을 수준별로 5주간 급여한 후 효과를 관찰하였다. 간손상 지표 효소인 혈청 AST, ALT, ALP와 ${\gamma}-GTP$ 활성은 에탄올 투여로 증가되었으나 칡추출물 급여로 감소 되였으며, ${\gamma}-GTP$의 경우 갈화추출물이 갈근추출물에 비하여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활성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혈당치와 간조직의 글리코겐 함량은 에탄올 투여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힘추출 물급여시 증가되었다. 힘의 부위에 따른 차이는 갈근추출물에 비해 갈화추출물이 함량 증가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알부민 함량은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였으며 칡추출물 급여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빌리루빈, 직접 빌리루빈, 간접 빌리루빈, 크레아 티닌과 요산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였으며 갈화와 갈근급여군에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갈화와 갈근추출물이 에탄올 투여로 인한 간조직 손상 지표효소의 활성을 감소시켜 에탄올성 간손상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칡추출물이 알코올을 급여한 흰쥐의 뇌조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uerariae thubergiana Bentham Extract on Brain Tissue in Alcohol-Treated Rats)

  • 김명주;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69-675
    • /
    • 2000
  • 칡추출물이 알코올성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 을 구명하기 위해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에게 갈화와 갈근을 수준별 (I;1.2 g/kg B.W., II;2.4 g/kg B.W.) 로 5주간 급여한 후 \ulcorner 열수추출물이 알코올 대사와 유리기 생성 및 제거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ADH 활성응ㄴ 갈화 및 갈근추출물 급여시 에탄올만 투 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ALDH 활성은 갈근추출물 급여군에서 유의 적으로 증가하였는데 1수준군의 증가정도가 현저하였다. P450 함량과 AD, AH 활성은 대조 군에 비하여 칡 열수추출물 급여시 감소되는 경향이었는데 갈근 급여군의 감소효과가 현저 하게 나타났다. AO와 XO 활성은 갈화 및 갈근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 는데 특히 갈근추출물 1수준군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SOD 활성은 칡 열수추출물 급여시 증가하였으며 CAT와 GSH-Px 활성은 에탄올 투여로 증가된 활성이 갈근 열수추출믈 I 수 준 급여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갈화 및 갈근 열수추출물 급여는 뇌조 직 중의 에탄올 대사효소계의 활성을 촉진시켰으며, 유리기제거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항 산화효소계를 활성화하여 에탄올 투여에 인한 뇌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 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