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 인력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23초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대한 예측변인으로서 간호단위의 사회연결망 (Social Networks of Nursing Units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 to Leave of Nurses)

  • 원효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87-196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단위의 사회연결망을 과업조언 연결망과 친교연결망으로 구분하여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 간호사의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4개 병원, 30개 간호단위에서 근무하는 420명의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UCINET 6.0, SPSS 20.0과 HLM 7.0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과업조언 연결망에서는 수간호사의 연결정도 중심성이 조직몰입에, 간호단위의 밀도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교연결망에서는 수간호사의 근접중심성과 책임간호사의 매개중심성이 조직몰입에, 간호단위의 밀도와 책임간호사의 매개중심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간호사들 사이에 형성되는 사회연결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인력 배치를 위한 연결망 구조와 기회, 조건을 개발하고 다양한 형태의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품질이 의료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Quality to Health Care Servic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al Commitment-)

  • 김노사;최호규
    • 산업진흥연구
    • /
    • 제3권2호
    • /
    • pp.21-31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 간병 통합서비스 품질이 의료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가설 검정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간호 간병 통합서비스 품질의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계산적 몰입, 신뢰성, 감정적 몰입은 의료서비스 성과의 지각된 성과, 충성도, 지각된 성과, 성과의 충성도와 의료서비스 성과의 지각된 성과는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은 채택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서비스 품질은 의료서비스 역량에 매우 중요함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간호팀원의 인력확충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우선되어야 하며, 우수한 간호팀원 양성을 위해서 전문적 간호능력 외에도 환자와의 공감을 통해 긍정적 관계 형성을 위한 인성 교육에도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통합서비스 품질이 의료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중 하였다는데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회복탄력성, 리더-구성원 관계 및 간호업무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lling, Resillence, Leader-Member Exchang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 이주연;이미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313-321
    • /
    • 2020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회복탄력성,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및 간호업무환경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인력유지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소명의식은 회복탄력성,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간호업무환경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간호업무환경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간호업무환경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에 중소병원 간호사의 개인적 측면에서 소명의식과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동기부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적 측면에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간호업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병원 관리자의 지속적인 리더십 강화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 이인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간호업무량 측정 및 간호인력 수요산정 (Measurement of the Nursing Staff Needed for Two Specialized Nursing units in a University Hospital)

  • 이윤신;박정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89-603
    • /
    • 1992
  • This study investigated a process to estimate the need for nursing staff on the basis of a patient elassification system and the required care needs and activities.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four steps. Step 1.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nursing care need on each shift as class I (mildly ill), class II (mederately ill), class III (acutely ill), and class IV (critically ill). Step 2. Measurement of the direct nursing care hours needed for each patient class, and measurement of indirect nursing care hourse and personal time of the nursing staff. Step 3. Calculation of he total nursing workload in a nursing unit. Step 4. Estimation of the nursing staff needed.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rom July 17th to 30th, during 24hours every other day. The subjects were the patients and the nursing staff on two uni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Some of the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 1) Distribution of patient classification On the neuro surgical (N.S.), the distribution was class I, 22 patient, 3, class II, 27 patients, class III, 26 patients, and class IV, 25 patients, For the orthopedic surgical unit(0.5.), it was class I, 43 patients, class II, 43 patients, class III, patients, and class IV, 3 patients. 2) Direct nursing care hours per day On the N.S. unit, 3.2 hours of direct nursing care were needed for class I, 3.9 hours for class II, 5.1 hours of class III, and 6.2 hours for class IV patients, while 2.0 hours for class I, 2.5 hours for class II, 3.5 hours for class III, 5.0 hours class IV patients were needed on the 0.5. units. 3) Analysis of direct nursing care activities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assessment and observation(47%), medication(38.7%), communiontion(5.1%), exercise(2.4%), elimination and irrigation(1.3%), treatmemt(1.1%), hygiene(0.8%), nutrition(0.8%), and hot and cold compress(0.1%). 4) Average hours of indirect nursing care per day. On the N.S. unit 4.2 hours, and on the O.S. unit, 3.5 hours of RN indirect care was needed. 5) The average personal time used by the of nursing staff was 17 minutes for both RNs and nursing assistants in the N.S. unit, and 32 minutes for both RNs and nursing assistants in the O.S. unit. 6) Estimation of nursing staff needed on two specialized units of a university hospital For the N.S. nursing unit of 43 beds, 31 nursing staff would be indicated. For the 0.5. nursing unit of the same number of beds, 19 nursing staff would be indicated.

  • PDF

혈액원 간호사의 재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연구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of Retention Intention to Job Stress of Nurses in Korean Red Cross Blood Center :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강지순;박민주;이현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721-732
    • /
    • 2024
  •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 혈액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재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6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1년 5월부터 2022년 4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ver.25를 이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재직의도의 관련성은 독립표본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가설분석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재직의도와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스트레스에 음의 영향력을 가진다는 가설1이 지지되었다. 가설2는 재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 간에 긍정심리자본의 영향성은 부분 간접매개효과가 존재하여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따라서, 혈액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하여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고 긍정심리자본은 높일 수 있는 인력관리제도가 필요하며, 특히 혈액원에서의 긍정심리자본 수준을 향상시켜야 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혈액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인력관리 및 역량강화교육에 필요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혈액원 간호조직의 성과 및 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혈액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긍정심리자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임상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감사성향, 희망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Grateful Disposition, Hope on Nursing Performance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 김영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257-266
    • /
    • 2023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감사성향, 희망 및 간호업무성과에 대하여 조사하고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K시, P시 및 S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총 323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7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해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간호업무성과는 4점 만점에 평균이 3.01점, 간호일터영성은 7점 만점에 4.48점, 감사성향은 7점 만점에 4.23점, 희망은 4점 만점에 2.77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성과는 간호일터영성(r=.58, p<.001), 감사성향(r=.41, p<.001), 희망(r=.47,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보였다. 간호업무성과에 감사성향(β=.417 p<.001), 희망(β=.357 p<.001), 간호일터영성(β=.235 p<.001)은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력은 30.1%이었다. 따라서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해서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감사성향, 희망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인력관리 제도가 요구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 김명숙;김갑중;김연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77-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을 조사하고 비교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비교조사 연구이다. 대상자는 D광역시 일개 종합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136명으로,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SPSS WIN 23.0 program 으로 분석하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방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간호업무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20.6%, 일반병동 간호사는 47.5%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직무만족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적정 유지시킬 수 있는 간호업무수행 능력증진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부산광역시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관한 인식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Pusan metropolitan city)

  • 남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00-203
    • /
    • 2009
  • 이 연구는 간호사의 환자안전 인식에 대한 조사이다. 이 조사는 2차, 3차의료기관 886명 간호사를 조사했다. 그것은 미국 AHRQ가 개발한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를 김 등이 번역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안전문화에 관한 인식은 3.46(${\pm}$0.37) 로 보통 이상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2년미만인 간호사와 주 45시간미만 근무자가 환자안전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3) 환자안전활동수준은 3.79(${\pm}$0.56)이었다. 결론적으로 첫째, 병원간호사의 인력충원, 간호등급 상향조정, 적정근무시간 이 필요하다. 둘째, 자발적으로 보고 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 PDF

2010년까지의 간호사 인력 수요 및 공급 추계 (The Supply and Demand Projection of Nurses in Korea)

  • 박현애;최영희;이선자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46-168
    • /
    • 1993
  • The study was conducted to project supply and demand of the nurses till year 2010 based on analysis of supply and demand of nurses up to year 1991.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invaluable information for nurses manpower planning as well as overall health manpower planning for the 21th century. It is projected that nurses will be oversupplied based on the current prductivity which is undesirable situation if the quality of care is considered, and undersupplied based on the the medical law as well as optimal productivity. Thus, it is desirable to increase active supply of nurses. One of the ways of increasing active supply would be increasing the size of training and education. But, considering low employment rate of nurses which is about 59% better way of solving problems related to nurses shortage would be improvement in nurses' employment rate. According to simulation study done as part of this study, if nurses' employment rate goes up to 80%, there is no need for increasing the size of training to meet the demand at the level of medical la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