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 즉시성, 감정지능이 융합적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Stress Response, Immediacy, Emotional Intelligence on Converged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 이정민;박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05-31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 즉시성, 감정지능이 융합적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B도시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없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180명의 간호사이다. 자료는 스트레스 반응, 계획성 부족, 감정지능, 간호업무수행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의 감정활용(β=.31~.39)이 간호업무수행의 간호과정 기술, 지도력, 교육 및 협력관계에 미치는 가장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총 설명력은 48.2%였다. 그 다음 연령(β=-.29~-.30), 타인감정이해(β=.17~.23), 직위(β=.19)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정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 신체활동, 수면위생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tress Response, Physical Activity, and Sleep Hygiene on Sleep Quality of Shift Work Nurses)

  • 정지영;구미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46-55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반응, 신체활동, 수면위생과 수면의 질의 관계를 분석하고,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경남 C시에 소재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서 교대근무 하는 간호사 168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3월 25일부터 2016년 3월 31일까지 였다. 연구도구는 Pittsburgh Sleep Quaility Index, Stress Response Inventory, Korean version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Short Form 및 Sleep Hygiene Practice Scale을 사용하였다.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및 사후검증,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은 7.35점(범위 0-21점), 스트레스 반응은 2.20점(범위 1-5점), 신체활동량은 3986MET-min/week, 수면위생은 2.73점(범위 1-6점)이었다. 수면의 질은 교대근무 간호사의 특성 중 교대근무 경력, 건강상태, 일주기 리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교대근무경력, 수면위생, 스트레스 반응, 신체활동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0%(F=8.16, p<.001)였다. 따라서,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면위생 증진 교육을 실시하고, 스트레스 반응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며, 중간정도의 신체활동을 권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신과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sychiatric Nurse)

  • 최재은;배정이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5-92
    • /
    • 2022
  •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간호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본 연구는 정신과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이를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9년 2월 18일부터 3월 31일까지 수행하였다. 경남에 있는 정신과 전문병원에서 근무하는 정신과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직무 스트레스 측정, 대인관계 반응지수, 회복력 척도,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 공감 능력, 회복 탄력성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수준은 2.34점~ 3.33점 범위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회복 탄력성과 안녕감 수준은 40대 이상, 기혼, 종교가 있을 때, 간호사 경력 10년 이상, 보통 이상의 경제 수준, 정신과 관련 자격을 가지고 있을 때, 책임간호사 이상, 탄력성 등의 교육에 참여자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p < .001). 심리적 안녕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 수준과 회복탄력성에 있었다(𝛽 = .76, p < .001). 이들 요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설명력은 67%였다. 경제 수준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은 증가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었다. 따라서 정신과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안녕감 향상을 위한 맞춤형 교육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반응과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leep Q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tress Response of Shift-Working Nurses)

  • 길숙영;오원옥;허유진;석민현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1권4호
    • /
    • pp.266-274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leep q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tress response of shift-working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0 nurses who had more than 6 months of shift-working experienc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to June 2017 in a hospital in Gyeonggi-do, South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9.4 program. The analysis was based on Baron and Kenny's model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q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tress response of shift-working nurses. Results: In the first and second steps, job stress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leep quality (β= .29, p= .001) and stress response (β = .24, p= .004). In the third step, sleep (B = .55, p< .001) was observ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tress response, an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tress response was not significant (β= .07, p= .291). Sleep quality was found to exhibit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tress respons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rategies for managing the stress of shift-working nurses should include effective ways to ensure sleep quality.

암 환자와 간호사의 통증관리 장애정도 (Levels of Barriers to Pain Management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Nurses)

  • 유양숙;이원희;조옥희;이소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2호
    • /
    • pp.224-233
    • /
    • 2005
  • 목적: 통증은 암 환자들이 겪는 가장 흔하고 고통스러운 증상이다. 만성적 통증은 환자들로 하여금 신체적인 괴로움은 물론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하며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암성 통증의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통증을 경험하고 있는 전이성 혹은 진행성 암 환자와 그들을 돌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통증관리 장애 정도를 비교하여 암성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2004년 1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3개 대학병원에서 전이성이나 진행성 암으로 치료를 받는 환자 155명과 그들을 돌보는 간호사 153명이었다. 통증관리 장애정도는 Gunnarsdottir 등(2002)이 개발한 27문항의 6점 척도를 우리말로 번역하고 이를 다시 영어로 재번역하여 수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우리말로 번역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스트레스 반응은 고경봉 등(2000)의 스트레스 반응척도를 수정한 29문항의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암 환자의 특성에 따른 통증관리 장애 정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파악하였으며, 환자와 간호사의 통증관리 장애 정도의 비교는 t-test로 하였다. 결과: 암 환자의 특성에 따른 통증관리 장애 정도는 중졸이하 군과 항암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군, ECOG가 2점인 군에서 높았다. 암 환자의 통증정도는 10점 만점에 5.83점이었다. 암 환자의 통증관리 장애 정도는 2.55점으로 간호사의 1.76점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암 환자와 간호사는 모두 '진통제는 중독 될 위험이 있다.'와 '진통제를 사용하면 통증이 새로 발생하더라도 알 수 없다.' 문항의 장애 정도가 높았다. 암 환자와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암 환자의 경우 통증이나 통증관리 장애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반응 정도도 높았다. 결론: 효과적으로 암성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암 환자와 그들을 돌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통증관리 장애요인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디지털 융복합시대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일상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반응 -간호학사 특별편입과정 학생을 중심으로 (Daily Hassles, Self-Efficacy, and Stress Responses of Adult Learners of Distance Education in Digital Convergence Era -Based on RN-BSN Students)

  • 박영숙;김정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397-40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융복합 시대의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로서 직업과 학업을 병행하는 RN-BSN 학위과정 학생의 일상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반응간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자료는 일 국립원격대학의 간호학사 특별편입과정의 직업을 가진 여성 간호사 229명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일상생활스트레스의 하부 영역들 중 당면과제 영역이 대인관계 영역 보다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가 높았고, 당면과제 영역에서는 학업문제가,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가족관계가 각각 가장 높았다. 자기효능감의 평균 점수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스트레스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건강상태, 업무부담, 직업만족과 일상생활스트레스의 가치관문제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가 스트레스반응의 총변량 44.2%를 설명하였으며 일상생활스트레스의 가치관문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디지털 융복합 시대의 직업을 가진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원격교육지원 정책과 전략들이 필요하다.

일반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결정 요인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job stress responses of the staff nurses)

  • 김정희;박성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7-232
    • /
    • 2003
  • Purpose : This paper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job stress related factors among the staff nurse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concerning development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focused on hospitals. Method : The subjects were 309 staff nurses at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SPSS-PC+10.0 for descriptive analysis,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factor analysis. Results : The subjects exhibit significantly highest level of 'th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factor'. The mean score of 'control coping strategies' was higher than 'avoid coping strategies'. The mean scores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responses were high. The main factor that affected the stress responses was 'the job characteristic factor' and it was explained 23.0%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stress responses. Also, it would be explained 42.6%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stress responses with 'the control coping strategies, work overload factors,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factors'. Conclusion: For developing the hospital- focu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staff nurses, 'th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factors' and 'the job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Also, the organizational efforts and supports should be required to support and use of 'control coping strategies' of nurses

  • PDF

아로마 손 마사지가 밤 근무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 및 IgA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and Massage with Aroma Oil on Stress Responses and Serum Immunity of Registered Nurse during the Night Duty)

  • 이혜숙;황혜숙;김영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9-176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aromatherapy hand massage on stress responses and serum Immunity of RN's before the night duty.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Oct. 10 to Nov. 15, 2005 at S-Hospital in Seoul. There were forty-eight subjects, 24 for the experimental and 24 for the control group. A Pre & post 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pulse rate, perceived stress(level and score) and a blood sample for cortisol and IgA. In the experimental group, lavender and geranium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t-test with SPSS program. Result: The pulse rate was reduce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cores of subjective stress(V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romatherapy hand massage and the level of serum Cortisol was reduced significantly. The level of serum IgA was elevated significantly. Conclusion: Aromatherapy hand massage could be a useful intervention to reduce stress and elevate the immunity of nurses during the night duty.

  • PDF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스트레스 지각, 대처유형,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the Perceived stress, Stress response, Ways of Coping of Nurses)

  • 하나선;최정;이용미;임미영;이규은;길숙영;고명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1-44
    • /
    • 200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the perceived stress, stress response, ways of coping of nurses.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2 to December 21, 1997. The subjects were 45 emergency nurses of thre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 25 assign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for the control group.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was composed of cognitive training, behavioral training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15-minut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according to recorded-tape once a day for 6 weeks. The cognitive and the behavioral training were conducted by the investigator for 5~8 subjects at a time for 9 series, at an interval of 4~5days.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as the perceived stress scale developed by Levenstein et al.(1993), Symptoms of stress Inventory(1991), and ways of coping scale developed by Lazarus & Folkman(1984).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st, paired t-test.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rceived stress of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revealed.2. The stress response of experimental group was reduced after stress management program and the stress response of control group was reduced after stress management program.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revealed.3. The problem oriented cop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revealed.4. The emotional oriented cop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revealed.

  • PDF

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양상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tress Response of Nurses Working on Pscychiatric Wards to that of Nurses Working on General Wards)

  • 김영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99-41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response of nurses working on psychiatric wards (psychiatric nurses) compared with that of nurses working on general wards (general nurses) in order to provide assessment data for intervention of the stress response. The Symptoms of Stress Inventory was used to measure the stress response. Data were collected by a direct survey method using a questionnaire and were collected from March first to March 30, 1995. A sample of 200 nurses working in three psychiatric hospitals and psychiatric wards in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K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and 200 nurses working on general wards from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were also selected for a total sample of 400 nurses. Nurses who had experienced more than one of the major life events in the last two years were excluded from the total number in the samples, so the final sample was 161 psychiatric nurses, and 169 general nurses. The Scores for the total stress response, scores of the SOS subscales, stress response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nurses working on the psychiatric ward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urses working on the general ward.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1. The mean total SOS score for the psychiatric nurse was 0.81 (SD=0.48) and that of the general nurses was 0.90(SD=0.53). 2. The Mean score for peripheral manifestation, con tral-neurological symptoms, gastrointestinal symptoms, muscle tension, habitual patterns, de-pression, anxiety, anger and cognitive disorganization for the general nurses showed a tendency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psychiatric nurses. Mean score for cardiopulmonary symptoms for the general n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sychiatric nurses. 3. The mean scores for the sixteen SOS items for the general n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the psychiatric nurses. The 16 items were flushing of the face, sweating excessively even in cold weather, thumping of the heart, rapid breathing, dry mouth, a choking lump in the throat, hoarseness, muscle tension in hands or arm, muscle tension in leg, working tiring one out completely, severe aches a핀 Pain make it diffi-cult to do the work, severe nervous exhaustion, worrying about health, feeling weak and faint, so upset that one wants to hit something, unable to keep thoughts from running through one's mind. The mean score of only 505 item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psychiatric nurses. 4. Stress responses between psychiatric nurses and general nur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follow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marriage, duration of work, position, accommodation, planning to move into another working site, working ward, education in psychiatric nurs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