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각성상태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각성도 평가를 위한 생리신호와 반응시간과 주관적 평가와의 관계

  • 고한우;김연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04a
    • /
    • pp.159-164
    • /
    • 1997
  • 본 논문은 각성도 평가시 주관적 평가와 생리신호인 GSR과 자극에대한 반응시 간(RT)와의 관계 및 각성상태에 따른 human performance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KSS level이 높을 수록 Nz와 RT가 증가 하였고, 특히 KSS level 5이하 에서는 RT 값이 0.8 초 미만으로 낮으며 KSS level 7 이상에서는 평균 1.6초 이상의 높은 값을 갖는다. 이 는 KSS level 7 이상부터는 저각성상태로 인하여 작업에 대하여 human performance가 급격하게 저하함을 나타낸다. 5단계의 KSS level 에대한 Nz를 구현하였으며 KSS level 5에 대한 평균 Nz는 약 1.4이었다. 따라서 생리 신호를 기준으로한 각성상태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서는 Nz 값이 1.4이하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Dimensional Structure of Emotion in Schizophrenic Patients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서구조 분석: 2차원 모형을 중심으로)

  • 오경자;문혜신;김영아;박수경;김진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62-367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정서상태를 개념화하고 얼굴표정을 통하여 타인의 정서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정상인과 비교하였다. 연구1에서는 만 19세-46세의 정신분열병 환자 19명에게 정서 관련 형용사 15개로 구성된 105개의 형용사 쌍에 대하여 유사성을 평정하도록 하여 MDS로 분석한 결과, 쾌/불쾌와 각성의 두 차원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는 정상집단과는 달리 정신분열병 집단의 자료에서는 쾌/불쾌 차원만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각성 차원은 얻어지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다양한 정서를 표현한 얼굴 사진 28개를 정신분열병 환자 30명과 대학생 31명에게 제시하고 각 사진의 인물이 경험하고 있는 내적 상태를 쾌/불쾌와 각성의 두 차원에 대하여 각각 7점 척도로 평정하도록 한 결과 정신분열병 집단은 대학생 집단에 비하여 쾌/불쾌 차원에서는 보다 긍정적으로 평정하는 경향이, 각성 차원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부정적이고 각성 수준이 높은 내적 상태를 표현하는 사진 자극에 대하여 정신분열병 환자 집단이 각성수준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정서상태의 개념화 과정에서 각성 차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민감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부정적인 정서상태를 표현하는 얼굴들에 대란 판단에서는 각성 차원을 과소평가하여 높은 각성수준을 나타내는 표정과 낮은 각성수준을 변별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자율신경계의 높은 각성 수준으로 인하여 각성 수준을 더 높일 가능성이 있는 자극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는 Mednick의 가설과 일관되는 결과로 이들의 각성 수준에 대한 낮은 민감도는 방어적인 회피성향의 지속에 따른 둔감화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효과는 GSR를 비롯한 자율신경계지표에서 잘 반영되었다.^2$=.792가 되었다. 설명되는 누적분산값은 67.18%였다.주관적 평가의 결과와 객관적 평가 결과를 이용해 마직물의 태를 평가하는 산출식을 제시하였다. 태 평가치의 경우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과 stepwise 방법, 또 Kawabatark 사용한 순차적 군 회귀법의 세가지 방법의 회귀식 중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았다.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

  • PDF

A Study on the Driver's Drowsiness Warning System using Oxygen and Color (산소와 칼라를 이용한 운전자 졸음각성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이미희;김종윤;송철규;김남균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1 no.2
    • /
    • pp.175-180
    • /
    • 2000
  • 본 논문은 주행 중의 졸음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각성시스템의 평가에 관한 연구이다. 졸음운전을 방지하는 데에는 각성도의 저하상태를 높은 정확도로 검출하는 기술과 그것을 해소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졸음운저자를 위해서 졸음각성시스템을 향상시켰다. 개발된 각성시스템의 평가를 위해서 졸음을 유도하는 단조로운 행위를 수행하면서 뇌파, 심전도, 안전도와 같은 생체신호를 측정하였다. 피험자가 졸음상태에 있을 때에 산소, 향, 여러 가지 색 자극을 제시함으로써 각성효과를 평가하였다. 졸음의 해소에 효율적인 일정한 양의 산소와 멘톨 성분이 함유된 향을 동시에 각성자극으로 제시하였을 때와, 노란색의 색 자극을 주었을 때 가장 각성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Skin Impedance Signal, Reaction time, and Eye Blink Depending on Arousal Level (각성상태에 따른 피부임피던스 신호와 반응시간 및 눈 잡학임의 상관관계(E))

  • 고한우;김연호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18 no.4
    • /
    • pp.485-491
    • /
    • 1997
  • This paper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impedance signal, behavioral signal, and subjective evaluation depending on arousal level. Nz and reaction time had similar trend with mKSS level, but eyeblink rate was different from these two parameters. eye-blink rate increased slowly from mKSS level 1 to 5, and had high increasing rate at mKSS 7. But it showed steep descent at mKSS level 9. Each subject showed different eye-blink rates, but changing rates of EBR was similar at eachm KSS level. Therefore it suggests that rising rate of EBR can be used arousal level criterion. From the result of reaction time test. human performance was decreased rapidly above the mKSS level 5, and fals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data was observed above the mKSS level 3. It is desirable to give a subject some stimuli such as sound or aroma to rise arousal level between mKSS level 3 and mKSS level 5.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arousal level on 3-back task performance ability (각성 정도가 3-back 과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Lee, Su-Jeong;Choe, Mi-Hyeon;Jeong, Su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75-7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각성상태(긴장, 중립, 이완감정)가 3-back 과제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고자 한다. 10명의 남자 (평균 $25.7{\pm}1.5$ 세) 대학생과 10명의 여자 (평균 $24.5{\pm}1.8$ 세) 대학생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집단 검사를 통해 추출된 사진을 이용하여 긴장, 중립, 이완의 세 종류의 각성상태를 유발하여 3-back 과제 수행 능력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Rest 1 (2분), 감성유발사진제시 1 (2분), 3-back Task 1 (2분), 감성유발사진제시 2 (2분), 3-back Task2 (2분), Rest2 (2분)의 5단계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또한 제시된 감정 사진으로 적절한 arousal level 이 유발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GSR 신호를 측정하였고, 실험 종료 후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3-back 과제의 정답률은 중립감정일 때 가장 컸고, 이완, 긴장 감정 순서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중립감정일 때 반응시간이 가장 빠른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인지 처리와 무관하게 유발된 각성의 증가나 감소는 과제 수행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 PDF

Evaluation of Arousal Level to Prevent Drowsy Driving by Fuzzy Inference (졸음운전 방지를 위한 fuzzy 추론에 의한 각성도의 평가)

  • Kim, Y. H.;Ko, H. W.;Lyou, J.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18 no.4
    • /
    • pp.491-498
    • /
    • 1997
  • This paper describes the arousal measurement and control system using fuzzy logic to prevent drowsy driving. Sugeno's method was used for fuzzy inference in this study. Arousal evaluation and control criteria were modified from result of Nz-IRI analysis depending on arousal sate. Membership function and rule base of fuzzy inference were determined from the modified arousal level criteria When lRl (Inter-SIR Interval) was shorter than 60sec, outputs of both methods were changed from small to big, but output of three step warning method was same level until the next warning range. Since output of fuzzy inference tracked well the change of subject's arousal level, problems of three step warning method could be overcome by fuzzy inference method Furthermore, the output of the fuzzy inference was highly correlated with Nz(r = 0.99). Therefore, the fuzzy inference method for evaluation and the control of arousal will be more effective at real driving situation than three step warning method.

  • PDF

Compensation of Arousal Level Criteria by a Modified KSS Scale (수정된 KSS 측도에 의한 각성도 평가기준 보상법)

  • 고한우;김연호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18 no.4
    • /
    • pp.477-484
    • /
    • 1997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compensation method to evaluate arousal level in different initial arousal states. Arousal level was measur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IRI and Nz. Since Nz is affected by BI which is directly proportional to initial arousal state of subjects, the arousal level is underestimated To overcome this problem, we proposed the compensation method using modified Karolinska sleepiness scale, and determined compensation coefficients derived from this scale with five arousal levels. Applying these coefficients to portable arousal monitoring system,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could be useful for real-time evaluation and control of arousal level. As a result the developed system can detect and control the arousal state from initial drowsing sate.

  • PDF

Analysis on Psychological Self-regulation and Arousal Variation of Actors on Performance (공연 시 배우의 각성변화와 심리적 자기조절 분석)

  • Hong, Kil-Dong;Lee, Hong-Sik;Lee, Hyung-Kook;Oh, Jin-Ho;Lee, Ki-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12
    • /
    • pp.176-18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lf-regulation about changing heart rate and perceived arousal variation when actors start their performance. Object of this study were 5 actors who belong to the theater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is study used a measuring instrument of heart rate to measure arousal status, used behavior observation paper to observe and record self-regulation behavior and executed personal consultation after ending performance. There was graph mad by variation transition which calcula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bout variation of heart rate each time of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high variation of awake level that actor's heart rates were rising before starting performance and the most high level of arousal was from 20minutes to 5minutes before starting performance. Second, there were self-regulation behaviors appeared such as deep breathing, breath controling, self talking, talking with other actors, concentrating an script, going to toilet, smoking, checking closes before starting performance. Third, when performance start, actors used psychological self-regulational method such as relaxation, self concentration, confidence reinforcement, coping with state or accommodation for controling raised arousal status.

Emotion Classification based on EEG signals with LSTM deep learning method (어텐션 메커니즘 기반 Long-Short Term Memory Network를 이용한 EEG 신호 기반의 감정 분류 기법)

  • Kim, Youmin;Choi, Ahyou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6 no.1
    • /
    • pp.1-10
    • /
    • 2021
  • This study proposed a Long-Short Term Memory network to consider changes in emotion over time, and applied an attention mechanism to give weights to the emotion states that appear at specific moments. We used 32 channel EEG data from DEAP database. A 2-level classification (Low and High) experiment and a 3-level classification experiment (Low, Middle, and High) were performed on Valence and Arousal emotion model. As a result, accuracy of the 2-level classification experiment was 90.1% for Valence and 88.1% for Arousal. The accuracy of 3-level classification was 83.5% for Valence and 82.5% for Arousal.

Analysis of Perceptual Hierarchy for Facial Feature Point (얼굴 특징점의 지각적 위계구조 분석)

  • 반세범;정찬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89-193
    • /
    • 2000
  • 표정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얼굴 특징점이 특정한 내적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를 알아야한다. 이를 위해 MPEG-4 FDP 중 39개의 얼굴 특징점을 사용하여 쾌-불쾌 및 각성-수면의 내적상태와 얼굴 특징요소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극배우들의 다양한 표정연기 사진 150장으로부터, 5개의 필터 크기와 8개의 필터 방위로 구성된 Gator wavelet을 사용하여 39개의 특징점을 중심으로 영상처리 하였다. 이들 특징점의 필터 반응 값과 내적상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적상태의 쾌-불쾌 차원은 주로 입과 눈썹 주변의 특징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각성-수면 차원은 주로 눈 주변의 특징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필터의 크기는 주로 저역 공간빈도 필터가 내적상태와 관련이 있었고, 필터의 방위는 주로 비스듬한 사선 방위가 내적상태와 관련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