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책임 부담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Family life (주거빈곤이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

  • Lim, Jae-hy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2 no.1
    • /
    • pp.279-304
    • /
    • 2011
  • The housing is basic need to human life, foundation of family lif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o control human life and acti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have various effects on the family life such as family lifestyle, relationship of family members and child development and health by family struc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housing poverty, defined as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s, excess housing expenditure and housing instability, affects the family responsibility burden,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third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analytic method used wa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the model fit had a considerable validity by inspecting the SE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ousing pover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amily responsibility burden, whil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family conflict action metho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health(subjective, mental, physical). The indirect effects on housing poverty had better effect by family conflict action method than effect by health, but the direct effects had the most.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 Son, Mun-Geum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277-311
    • /
    • 2005
  • 본 연구는 여성이 가족과 일을 병행하려 할 때 안게 되는 이중부담의 양과 유급노동시간과 무급노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의 차이를 통해 남성과 여성의 시간사용구조를 살펴보고, 이중부담이 노동시간양${\cdot}$노동시간대${\cdot}$노동장소로 나타나는 여성 유급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료는 통계청의 1999년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맞벌이 가구의 여성은 남성보다 하루 평균 1시간 51분 많은 총노동시간을 가지면서 주당 약 13시간의 이중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만성과 여성의 노동시간사용구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었다. 즉, 여성은 경제활동에 참여한다할지라도 무급노동시간의 89%를 책임지고 있었으며 여성의 노동시간은 가족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젠더화된 생활시간사용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연구결과와 다르게 가내하청/재택근무, 자영, 무급가족종사와 같은 종사상지위와 미취학자녀의 존재는 여성에게 유급노동시간을 조절하는 기재가 되지 못했고 무급노동시간을 늘리는 역할을 할 뿐이라는 점이 한국사회 여성의 이중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맞벌이가구 여성은 무급노동에의 일차적 책임으로 남성보다 야간유급노동이나 휴일유급노동시간을 줄이고, 단시간노동을 선택하며, 집안에서의 유급노동시간을 길게 하면서 가족생활시간을 확보하는 유급노동시간 조절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노동방식은 노동시장에서 여성노동의 불안정성을 만들어내고 주변화시키는 요인이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 서구사회와 비교하면 한국사회에서 여성이 경제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야간노동과 휴일노동, 장시간노동이라는 남성적 노동조건을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판매/서비스직의 자영자와 무급가족종사자 여성들, 가내하청이나 재택근무를 하는 임금근로자 여성들, 학력이 낮은 기능/조립직과 단순노무직 여성들은 야간노동이나 휴일노동, 집안에서의 유급노동시간이 길뿐 아니라 절대적인 유급노동시간과 무급노동시간도 길게 나타났다. 그러나 미취학자녀의 존재가 이러한 여성적 유급노동시간의 특징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다.

중국 가족에서의 여성의 지위: 6개 도시와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 Song, Yu-Ji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203-233
    • /
    • 2005
  • 기존 연구에 의하면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높게 평가된다. 그러나 실증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중국 여성의 가족 내 지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 연구는 중국 여성의 지위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을 얻기 위하여 가족 내 여성의 지위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족 내 여성의 지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아버지의 자녀 양육과 자녀교육 관련 의사결정 과정에의 참여를 중심으로 성역할 분담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6개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와 상해 산동 지역에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통합적으로 이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에 관계없이 중국 사회에서 자녀 양육의 주책임은 어머니에게 있다. 둘째, 아버지들은 자녀 양육 활동보다 의사결정 과정에 더 높은 참여율을 보인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율은 농촌에 비해 도시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다. 반면, 의사결정의 경우는 도시에 비해 농촌 지역 아버지들의 참여율이 더 높다. 넷째, 전통적인 성역할 구분에 대한 가치관도 도시와 농촌 지역간에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 가족 내 여성의 지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중국 가족에서 자녀 양육 책임이 동등하게 분담되지 않아서 여성의 이중부담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The Nature and Challenges of Childcare Policies for Working Mothers in Korea (취업여성을 위한 보육정책의 특성과 과제)

  • Yu, Bo-Gye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2
    • /
    • pp.91-120
    • /
    • 2004
  • 이 연구는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는 한국 보육정책의 특성을 분석한다. 우선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보육정책의 규정들은 무엇보다 성 평등의 관점에서 볼 때 불완전하다. 취업여성의 육아가 사회의 책임, 남녀공동의 책임이라는 인식에 못 미치고 있다. 둘째, 기존 보육정책은 일반적인 취업여성의 대리보육 지원을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저소득층 영${\cdot}$유아, 영아보다는 유아에 대한 보육지원에 역점을 둠으로써 취업여성의 실제 보육수요를 충족하지 못한다. 셋째, 정부는 강제적 규정, 재정지원의 확대라는 조치들을 통해 취업여성의 보육을 지원하고 있으나 그 수준은 그렇게 강력하지 못하다. 넷째, 정책결과의 관점에서 볼 때, 그동안 보육시설은 상당한 정도로 증가하였으나 공공보육시설, 직장 보육시설의 비율은 매우 낮다. 육아휴직 정책 역시 전체적 이용률이 낮은 수준이며, 남성의 이용률은 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기업체 및 근로자의 보육실태에 대한 사례조사 결과에서도 취업여성의 육아부담은 여전히 매우 높으며, 특히 가족에 의한 대리보육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보육정책이 취업여성의 육아부담을 경감하여 고용평등을 제고하고, 출산율 향상을 도모하는 방안과 연계되기 위해서는 정책의 보완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The Role of Women in Health Care in Korea (한국 보건의료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44-50
    • /
    • 1984
  • 한국여성은 전통적으로 대가족제도 속에서 육아 및 가사활동에만 종사해왔다. 그러나 산업화 및 사회구조의 변화로 여성들도 교육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전통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가치변화와 함께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반면에 가족 형태가 핵가족화 함으로서 가족 내에서의 자녀양육을 비롯한 가정적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여성에게 현재의 사회구조와 핵가족 속에서는 시간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두 가지 상반된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반된 역할사이에서는 여성은 갈등과 좌절감을 느끼게 되며 이중적인 부담 속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가치관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여성-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족은 부계 중심의 혈연 계승을 중요시하는 가부장적 대가족제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계 계승을 통한 가족의 영속성과 가 중심사상에 기반을 둔 철저한 가족주의적 가치관이 전통적 사회를 지배하여 왔다. 그러므로 자연히 개인보다 가족집단이 우의적인 지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행동의 결정에도 중요한 준거 집단이 되었다. 이러한 가의 영속 및 번영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녀를 필요로 했으며 부계중심 가족에서 자연히 남아 선호사상이 강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것은 조상에 대한 의무요 책임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가부장권의 확대에 반비례해서 가정 내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은 축소되어갔다. 여성들의 절대적인 예속을 필요로 하여 삼종지도니 칠거지악이니 불경이부등의 도덕률을 만들었으며 여성들 스스로가 이러한 정절과 복종을 미덕으로 생각하도록 교육받음으로서 여성들 자신이 자기희생의 굴레 속에서 인내와 복종의 생활을 운명처럼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남편과 자식을 위해서는 목숨까지도 희생하게끔 철저히 사회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가족 제도 안에서의 남녀의 지위는 동위 항렬 내에서만 해당되고 항렬을 달리할 때는 삼종지도의 이론에 부합된다. 어머니로서의 존장련이 인정되어서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종속적인 지위에 비하여 모의 권한은 절대적이었다. 상례와 제례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의식에는 차이가 없으며 내외 명부제도에 의해서 부인도 남편과 똑같은 대우를 받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존장련에 의한 모의 권리와 더불어 부부유별에 의해서 가사권의 독자적인 결정권도 인정되고 있었다.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 전통적으로 건강관리에 관련된 한국여성의 역할은 1. 씨받이로서의 역할로 생명을 잉태하도록 돕고 건강한 아이의 수태를 위해 태교에 힘썼으며 2. 자녀의 의식주를 해결하는 가사 역할만을 담당하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며 출산한 생명을 건강하게 자라도록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였으나 체계적인 건강관리는 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으나 정서, 사회면은 도외시 한 과잉보호현상이었다. 3. 결혼 후에는 남편의 건강관리를 위해 철저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고 정서적으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유념하였다. 4. 또한, 임종시 평안한 죽음을 맞도록 도왔다. 전통적으로 한국여성의 역할은 돕는 역할이었다.

  • PDF

The Lived Experience of Suffering of Family with Cancer Patients: Parse's Human Becoming Research Method (암환자 가족의 고통체험 -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 -)

  • Choi, Ye-Sook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9 no.2
    • /
    • pp.127-135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structure of the lived experience of suffering of families with cancer patients to develop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an be used to reinforce nursing practice for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performed using Parse's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were four families with cancer patients. From February 2009 through April 2010, data were collected via dialogical-engagement between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er and analyzed through the extraction-synthesis and heuristic interpretation processes. Results: The structure was identified as follows. The families' lived experience of suffering was a process through which they experienced a psychological shock of cancer diagnosis an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reshuffled roles among family members, and made efforts to care for the patients. Conclusion: Amidst sadness, pain, anxiety, guilt, fear and agony, the families focused on the human-health-universe aspect and found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as love, triumphant, responsibility and hope. As such,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suffering of families with cancer patients is a human becoming process of positive transformation.

A Dynamic Analysis of the Women's Labor Market Transition: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nd Reproductive Labor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 이재열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5-44
    • /
    • 1996
  • Wornen's lahor market participation as well as the policy concern for wider utilization of married women, have continuously grown up. However, research efforts on the determinants of wome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hetween life courses and active entry into lahor market, has been far behind the growing interest in this field. This study has conducted an event histoiry analysis of women's labor market transition utilizing personal occupational history data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Women's Development in 1991.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tow parts: First part introduces logit regression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wome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exit. The second part employs Cox regression to see the variation of transition rate between employment and non-employ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wide variation in wome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according to age, cohort, and family formation. Special note is needed for th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f marriage and child birth on labor market participation. The transition pattern of lower class women with less education fits well to the prediction of neo-classical economics; but the tendency of highly educated women's regression to non-employment reveals the strong influence of the unfavorable labor market structure, which can be better explained by the neo-structuralist perspective. There is a strong trade-off between productive and reproductive labor of women, which can only be corrected by strong policy implementation, such as extended child care facilities, abolition of discriminatory employment practices, and expansion of flexible part-time employment.

  • PDF

Current Management Status of Welfare Medical Device Center (복지용구사업소 운영 현황)

  • Chin, Young Ran;Lee, Hyo Young
    • 한국노년학
    • /
    • v.30 no.3
    • /
    • pp.803-814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urrent management status of welfare medical device centers and to suggest complementary point. Method: We surveyed 194 welfare medical device centers through the mail. The survey was done in three domains, i. e. management of service, assuring the health resources, offering the service. Results &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our study, several problems, which should be improved in the near future, were suggested. That were improving facilities(especially in sanitization of the devices), operating an education or training program for the personnel, and making up for the current management. It was very important for soft landing of long-term care insurance and improving quality of the elderly's life tha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must support welfare medical device centers for discharging their roles

Development of Daycare Center for Senior Users as Community-Cohesive Facility (노인데이케어센터의 지역융합형 발전방향)

  • Han, Jeong-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3
    • /
    • pp.1489-1495
    • /
    • 2014
  • Facing aged society, long-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since 2008 in order to take away care burden from family. Daycare Center is one of the institutions developed by the idea of social care. Noticing many problems around adult day services (ADS) such as low quality of services and lack of running sources, this paper would suggest the norm of day care center in terms of community cohesive facilities. In addition, to find out the future vision of ADS, interviews with 10 experts are also analyzed. The result is that new health care program would be community-friendly, tailor-made, communication-based and intergenerational one.

A Study of Effect on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Caregive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eeling of Burden and Growth (사회적 지지와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의 관계에서 돌봄부담감과 내적성장의 매개효과)

  • Rhee, Young-S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1 no.2
    • /
    • pp.325-348
    • /
    • 2009
  •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main and mediating effects which caregiving appraisal and positive reappraisal exert on quality of life (QOL)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The processes of this study are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which research model were chosen on the basis of stress-appraisal-coping theory through reviews of the previous studies.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upon 295 primary caregiver of patient with cancer at National Cancer Cente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an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using AMOS 5.0.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entire model including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 shows sufficient fit index of CFI(.951), TLI(.940) and RMSEA(.062).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direct effects among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Social suppor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feeling of burden' and 'growth'. The 'feeling of burde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growth' and 'QOL-mental and physical'. The 'growth'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QOL-mental'.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and QOL' and 'feeling of burden and QOL' are as follow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QOL-mental'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 'feeling of burden' and 'growth'.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QOL-physical'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 'feeling of burden'. The effects of 'feeling of burden' on 'QOL-mental'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growth'. Through this research, these implications in social work study and practice are found: (1) this study extended the scope of study in the caregiver's health area from negative sides into positive ones by using growth variables as positive reappraisalof caregiving in research model, which has not been tried on the Korean family caregivers of the cancer patient. (2) The effects of positive reappraisal on QOL-mental can provide a foundational necessity for social workers to help family caregivers find positive meaning in their caregiving experience. This approach of social work practice will improve QOL of family caregivers. (3) This study present a framework including social support, negative appraisal, positive reappraisal, and QOL variables available to social work practice and explaining affectiv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in various asp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