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쟁점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n Analysis of Issue Shift in German Family Welfare Policy (독일 가족복지정책의 쟁점변화 분석)

  • Lee Jin-Soo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1
    • /
    • pp.91-119
    • /
    • 2004
  • 독일에서 가족은 전후의 산업화과정 속에서 다면적인 사회변동을 경험하면서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다양화와 탈제도화 그리고 개인화의 경향이 강해지는 현상을 보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과정 속에서 가족은 저출산문제, 보육문제, 역할분담을 둘러싼 갈등, 빈곤과 실업, 노인부양문제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와 직접적으로 당면하게 되었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는 통일을 전후로 하여 약 10년간에 걸쳐 저출산문제가 심화되면서 가족문제는 중요한 사회정책이 슈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근대적 가족주의에 기반한 가족의 복지정책의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증대시켰고 그로 인해 독일 가족복지정책은 인구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가족의 복지욕구를 수용해야 한다는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5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독일에서 시대별로 각 집권정당들은 다양한 가족쟁점들을 어떠한 관점에서 수용하여 정책의제화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써 어떠한 정책방안들을 발전시켜 왔는가 하는 과정적 전개양상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통해 획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일의 가족복지정책은 가족쟁점의 변화에 따라 1인 부양자모델의 확립기, 취업모 지원과 가족의 다양성에 대한 정책적 수용기, 보육정책의 확대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체계화된 정책 프로그램은 소득지원, 양육 및 교육지원 그리고 노인부양가족지원 프로그램이 핵심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발전은 정책이 1인 부양자모델에서 2인 부양자모델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족문제의 해결책을 모색 중인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

A Critical Approach on Family Support, Social Security, and its Direction: Focusing on Old Parents and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가족부양 쟁점에 관한 일고찰: 노인과 이혼가족 아동을 중심으로)

  • Song, Da-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7 no.2
    • /
    • pp.143-164
    • /
    • 2005
  • The study is to analyze support-related issues,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elderly and children care, which have been a fundamental agenda of family welfare policy. We are expected for societal-level controversy on the relationship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security in the near future because of rapid increase in ageing and divorce rate. Accordingly, we need to establish social consensus on the extent to which both family support system and social support system are responsible for the life maintenance of the elderly and the children from divorced family. We also clarify the various characteristics(including scope, degree, period of time, and need/manageability) of support provided by family members. Considering the changes of family structure and population composition, the policy of supporting the old and children should go for social responsibility. Findings show that civil law and social welfare law have unclear appl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social security, and contents in family support. In particular, public assistance law strongly emphasizes the principle of family support while social insurance laws provide only limited and insufficient family maintenance. The suggestions of further study on support-related issues are given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he increasing economic instability.

  • PDF

Social Work with Marriage Based Immigrant Families: an Application of Empowerment Approach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임파워먼트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연구)

  • Yoon, Hye-M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1 no.4
    • /
    • pp.85-108
    • /
    • 2009
  • The quickening pace of international migration in the last twenty years brought fundamental demographic and social changes to the Korean society. Increasing number of marriage-based immigrant families imposes new challenges on social work community; however, the social work community has not been equipped with necessary practice models, sets of skills and professionals with cultural competency.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 integrative framework of social work practice with this client group. Research foci include the profile of marriage-based immigrant families in Korea, available social services at the time, challenges and issues they face, the compatibility of the empowerment based social work practice, and micro/mezzo/macro level concerns that arise for the effective service provision. Challenges among marriage-based immigrant families are converged into personal/familial, community related, and larger social-cultural issues. Empowerment is a multi-dimensional social process to help people gain control over their lives; a process that fosters power in people, for use in their lives, their communities and in their society. Empowerment based social work practice can be the most competent framework for working with multi-cultural families considering their multi-faceted acculturation issues while they navigate thru Korean society. Issues of educating and training of culturally competent social workers are discussed.

  • PDF

Population and Value : Changes in Values on Population Issues, Republic of Korea, 1955-96 (인구쟁점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1995~96년간 우리 나라 주요 신문의 사설을 중심으로-)

  • 박상태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2 no.2
    • /
    • pp.5-45
    • /
    • 1999
  •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 나라에서 인구증가나 인구억제 등 인구에 관한 국민들의 가치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가치란 특정한 사회구조의 산물이며 동시에 그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들의 행위의 동기가 되며 행위의 지침이 되는 모든 태도와 관심을 말한다. 우리 나라는 1960년대 초부터 정부가 주도하여 실시한 가족 계획 사업을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받아 들여 출산율의 억제에 성공한 대표적인 나라로 손꼽힌다. 이에 따라 우리 나라에서는 많은 조사 특히 인구억제를 위한 피임 및 자녀수에 대한 조사연구를 했다. 이들 조사는 대부분 질문표를 이용한 조사였기에 실제 상황에 접하지 않고 가상적인 상황을 설정하여 그에 대한 반응을 알아 낸 자료이기에 실제상황에 봉착했을 때 꼭 그와 같이 행동하리라는 보장은 없다. 위와 같은 단점을 고려하여 주요 신문의 사설을 국민감정과 가치를 대변하는 가장 적합한 자료로 이용했다. 우리 나라에서 지난 수십년간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대중매체는 신문이었으며 또한 오늘날까지 계속 발간되고 있는 신문으로서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를 손꼽을 수 있다. 1955년부터 1996년 말까지 두 신문이 밝나한 사설의 수는 30,000여 편을 넘는다. 인구에 간접적으로 관련되는 사설의 수는 수백 수천편에 달하겠으나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설을 130편으로 집계되었다. 이 자료를 인구증가, 산아제한 및 가족계획, 법 및 정책, 인구 재분배, 수도권 인구 억제, 인구와 사회문제, 노동력과 취업, 및 인구자료-센서스 등 8가지 범주로 구분했다. 이들 각각에 대한 관점을 5년 간격으로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역년(曆年) 5년 간격으로 그 주요 쟁점의 변화를 요약했다.

  • PDF

Key Issues and Research Direction of the Psychological Researches for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탈북청소년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의 주요 쟁점과 연구방향)

  • Jung-Min Chae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2 no.4
    • /
    • pp.675-693
    • /
    • 2016
  • As North Korean Youths are getting bigger, many psychologists have focused on them academically. But earlier studies showed many mistakes which have to be solved quickly. So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set as the main problems as follows: Key issues and research direction for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s research participants, issues and research direction for the objectivity of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psychological states, issues and research direction for the Young North Korea defectors' life in South Korea. Results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enough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no consistency among the research results, and second, most of the researchers have no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subjects' psychological states, and finally, most of the researchers have a 'adaptation model' strongly. So we have to have a more proper and objective stance for the Young North Korea defectors' life in South Korea.

The Application of the Simple System Model Analysis to the Housewives분 Study (단순체계모델의 단순기능분석을 적용한 주부연구의 쟁점)

  • 김선미;송혜림;이승미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5 no.1
    • /
    • pp.141-150
    • /
    • 2001
  • This study applicates one of the five elaborated functional analyses of Piotr Stztompka to the housewives’study. The four general assumptions of plurality, wholeness, integration and boundary of the simple system issue the eight specific solutions; reciprocity, exploitation, consensus, conflict, dependence, autonomy, isolation and structural context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ous elements of the system. From the eight specific assumptions of the housewives’studies, we have found that many managerial subsystem studies see the housewives’relationships to other elements in their reciprocity, concensus, dependence and isolation characteristics. If the assumptions of autonomy and structual context are used to this kind of study, we can understand the housewives’problem and potential but as an active subject of their humanlives, not as a simply passive primary manager of the family, and we can find a new concept of the development to change the housewives’quality of lif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