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tical Approach on Family Support, Social Security, and its Direction: Focusing on Old Parents and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가족부양 쟁점에 관한 일고찰: 노인과 이혼가족 아동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5.05.31

Abstract

The study is to analyze support-related issues,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elderly and children care, which have been a fundamental agenda of family welfare policy. We are expected for societal-level controversy on the relationship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security in the near future because of rapid increase in ageing and divorce rate. Accordingly, we need to establish social consensus on the extent to which both family support system and social support system are responsible for the life maintenance of the elderly and the children from divorced family. We also clarify the various characteristics(including scope, degree, period of time, and need/manageability) of support provided by family members. Considering the changes of family structure and population composition, the policy of supporting the old and children should go for social responsibility. Findings show that civil law and social welfare law have unclear appl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social security, and contents in family support. In particular, public assistance law strongly emphasizes the principle of family support while social insurance laws provide only limited and insufficient family maintenance. The suggestions of further study on support-related issues are given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he increasing economic instability.

본 연구는 가족복지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가운데 주요한 의제가 되고 있는 노인과 이혼가족 아동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제반 부양관련 쟁점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와 이혼율 증가라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 사적 부양과 공적 부양간 영역 및 경계, 부양관계, 부양의무자 역할 등에 대한 쟁점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양 부양체계의 범위와 역할은 물론 가족부양의 성격, 방법, 기간, 성립요건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 현행 가족구조와 인구구조의 변화로 고려해볼 때 가족을 통한 부양보다는 사회적 부양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가족부양 및 사회부양에 대한 내용을 규율하는 현행 민법과 사회복지법은 여전히 가족부양의 정책기조를 강하게 유지하고 있었으며 사적-공적 부양체계 간 관계정립이나 부양방식에 대한 미흡한 규정으로 많은 논란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구성원의 기본적인 생활안정과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법의 취지에도 불구하고 부양과 관련하여 사회보험법은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가족부양 원칙을, 공공부조법은 강한 가족부양의무를 부과하는 이중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었다. 결론에서는 급변하는 사회와 경제불안의 일상적 위협 속에서 노인과 이혼가족 아동부양에 대한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