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의 사회적 자원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6초

가구유형별 농촌 노인의 사회적지지 및 건강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s and Health on the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Focus on Household Patterns)

  • 조희금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4호
    • /
    • pp.35-5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and health on the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according to their household patterns. Data were collected from 1,000 of the elderly over 65 living in rural Korea. A questionnaire was used with direct interviews and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s, and health of the rural elderl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household patterns. Second, depression in the rural elderly i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ousehold patterns; elderly people in a single household report greater depression than elders in a coupled household or those in a household with a child. Third, satisfaction with health conditions and nutrition management variable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in all household patterns.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among variables that affect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according to their household patterns.

조선족 유수청소년의 발달자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assets for Korean Chinese left-behind adolescents and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 박지선;현미나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05-221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assets(social support, ego-resilience) on school adjustment on Korean Chinese left-behind adolesc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find implications for preparing supportive measures for the school adjustment of them. Method: 412 students who were in 3 middle schools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Region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programs.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ft-behind adolescents' social support is influenced directly on school adaptation and indirectly through ego-resilience. Second, the left-behind adolescents with higher ego-resilience showed higher school adjustment.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a balanced support system for developmental assets as inter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s necessary for Korean Chinese left-behi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자생적 과학문화 실천과정으로서의 가족팬덤 형성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가족프로그램 참가 가족들을 중심으로-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Process of Forming a Family Fandom as a Self-sustaining Scientific Cultural Practice Process: Focusing on Participating Families in the Family Program of the National Marine Biodiversity Institute of Korea)

  • 홍채홍;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73-299
    • /
    • 2024
  • 이 연구는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서 운영하는 가족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세 가족에 대하여 과학문화에 초점을 맞추어 가족팬덤 형성과정을 문화기술지방법론으로 수행한 질적연구다. 이는 서로 다른 환경의 세 가족이 가족교육을 통해 과학 활동을 일상적 문화실천 행동으로 나타난 향유-해독-변용의 과정을 거쳐 자생적 과학문화실천 형성 과정으로 가족팬덤 완성에 대하여 분석⋅요약된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과 함께 한 과학 활동이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유대감 강화와 과학문화에 대한 공감대가 확대된다. 둘째, 부모와 자녀는 일상생활에서 과학 관련 경험을 공유하며 과학적 소양인이 될 수 있는 독특하고 자신들만의 문화적 생활 속 문화공유형태로 실천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완성형 자체로서의 과학문화 가족팬덤의 의미가 아닌, 완성형을 향해 가는 과정으로 종합적으로 밝혀보고자 했으며, 가족활동의 의미생산이 과학문화로 발전시킬 수 있는 사회문화적 함의를 갖는다.

가족정책의 개인화와 젠더화된 무급노동 분담: 한국, 네덜란드, 독일 비교 연구 (Individualization in Family Policy and Gender Division of Unpaid Work in Germany, Netherlands and South Korea)

  • 안미영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4호
    • /
    • pp.105-124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네덜란드, 독일 가족정책의 개인화와 젠더화된 무급노동 분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한국가족정책의 개인화는 네덜란드 및 독일에 비해 미비한 수준이 아니지만 국제사회조사 2012년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 나라에 비해 기혼여성의 무급노동 분담은 현저히 불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 분석결과세 국가 기혼여성의 무급노동 분담은 상대적 자원에 의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와 독일 여성의 무급노동 분담이 여성 개인의 성역할 인식에 따라 달라지는 반면 한국에서는 그러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네덜란드와 독일의 경우 사회화된 성의 영향, 즉 응답자의 젠더 자체가 무급노동 분담에 미치는 영향이 개인의 상대적 자원이나 성역할인식과 비슷하거나 낮은데 비해, 한국의 경우 젠더 자체가 무급노동 분담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상대적 자원의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독일과 네덜란드의 경우 상대적 자원과 성역할 인식의 영향이 사회화된 성, 젠더의 영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의 경우 사회화된 성의 영향이 상대적 자원의 영향보다 더 중요하게 일하는 기혼여성의 무급노동 분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형태가 부의 자녀양육시간과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mily Type on the Extent and Determinants of Fathers' Child Care Time)

  • 허경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7-71
    • /
    • 1995
  • 가족형태가 부의 자녀양육시간과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기혼여성의 취업증가로 인해 아버지의 적극적인 자녀양육 참여가 요구되어 왔다. 또한 이 같은 요구는 부의 참여가 기혼여성, 자녀의 성장발달등 가정천체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부의 자녀양육시간 연구는 중요한 사회적 관심사로 동시에 연구대상으로 대두되었다. 이같은 변화속에서, 실제 가정생활에서 부의 자녀양육시간은 개개인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냄에 따라, 어떤 개인적, 가정적, 또는 사회인구적 요인들이 양육시간량을 결정하는가를 연구하는 것은 그 의미가 있다. 현대가정의 또 하나의 커다란 변화는 미혼부 증가, 이혼증가로 인한 편부의 증가, 재혼 증가로 인한 계부의 증가 등 가족형태의 다양화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변화를 반영하여, 각기 다른 가정형태에서의 부의 자녀양육 참여시간을 비료 분석하였다, 또한 부의 자녀양육 시간량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노동시장의 근로시간, 개별적 인적 자원, 역할관념, 가정환경등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미국 위스콘신대학내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인구 및 생태센터 (Center for Demography and Ecology)에서 1988년에 실시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로써, "전국 가족 및 공도거주체 조사" (National Survey of Family and Households)에서 추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족형태가 부의 자녀양육시간에 미치는 효과는 큰 것으로 검증 되었다. 각 그룹간 비교에서 편부가정의 부는 여타의 가정내의 부보다 많은 시간을 자녀와 놀아주고, 야외활동 및 과제물 도와주기 등에 할애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계부는 여타의 가정내의 부보다 더욱 적은 시간을 자녀와 함께 하였다. 부의 자녀양육시간 결정요인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직장에서의 노동 시간, 교육수준, 자녀 연령이 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의 직장 근로시간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양육 참여시간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자녀를 가진 아버지일수록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청소년의 여가활동유형, 사회적 관계,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ype of Leisure Activity, Social Relation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Youth People)

  • 박민정;윤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1호
    • /
    • pp.125-13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ich types of leisure activities promote happiness in young people.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dolescents' levels of happiness and examine the academic and political challenges that occur in their social networks. In this study, subjects as "more than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less than a high school students". A sampling of the group was completed using a pre-percentage assignment and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The primary research method employed was internet research,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secondary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The final analysis used 1.046 (final response rate 83.4%).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parts: social network and the characteristics of youths' subjective happiness;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network;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organized according to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that affect the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In conclusion,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leisure activities, and youth's subjective happiness.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of adolescents confirmed that the type of active participation in leisure and the type of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variety were the highest in terms of contributing to the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Generally, a discussion of how the existing leisure life affects the subjective happiness of young people needs to be taken one step further.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 because the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this study determined that leisure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and positively impact young people.

  • PDF

코로나19 상황에서 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박화옥;임정원;김민정
    • 한국노년학
    • /
    • 제41권4호
    • /
    • pp.587-609
    • /
    • 2021
  • 본 연구는 개별 심층면접을 통해 조손가족 조모의 손자녀 양육에 대한 경험을 확인하고, 양육자의 관점에서 어떠한 신체-심리-사회적 이슈들을 당면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 조모와 손자녀가 경험하는 다양한 이슈와 변화 및 어려움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동거가족 내 부모세대 없이 6개월 이상 손자녀를 전담 양육하는 7명의 조모이고, 자료수집은 반 구조화된 심층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1) 손자녀 양육에 대한 나의 느낌, 걱정, 그리고 대처, 2) 손자녀 양육의 현실에서 부딪히는 어려움과 장애, 3) 자라면서 변화하는 손자녀와의 갈등 그리고 대처, 4) 조부모, 부모, 손자녀 그들 간의 관계와 감정, 5) 서비스 및 자원에 대한 욕구와 바람이라는 5개의 주요 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 범주에서는 총 16개의 주제어와 60개의 하위주제어가 도출되었다. 전반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조모는 손자녀 양육에 대해 양가감정(보람과 부담감)을 갖고 있었고, 공통적으로 경제적 어려움과 건강의 한계, 손자녀와의 소통 단절에 대한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손자녀가 조모와의 대화 없이 하루 종일 집에서 컴퓨터와 게임에 몰입하면서 세대 간 갈등이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조모의 서비스 욕구는 손자녀를 위한 학습지원과 정서적·관계적 지원, 그리고 경제적 지원에 우선순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손가족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치매 노인을 돌보는 노년기 배우자의 돌봄 부담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Care Burden of Elderly Spouses Caring for Dementia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4호
    • /
    • pp.43-54
    • /
    • 2021
  •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을 돌보는 노년기 배우자가 지각한 돌봄부담과 사회적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 재가방문요양센터의 치매 노인을 돌보는 만60세 이상 배우자 165명을 조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 노인을 돌보는 배우자의 전체 돌봄부담은 3.76점(SD=.57)으로 중앙값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사회적지지의 경우 비공식적지지는 2.65점(SD=.78), 공식적지지는 2.60점(SD=.77)으로 중앙값 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생활만족도는 3.11점(SD=.78)으로 중앙값 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치매 노인 배우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소득수준, 사회활동 부담, 비공식적지지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치매 노인 배우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활동 부담이 낮을수록, 비공식적지지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활동 부담과 비공식적 지지 상호작용 항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치매 노인에 대한 사회활동 부담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비공식적지지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치매 노인 배우자가 사회활동 부담을 경험하여도 비공식적지지를 많이 사용할수록 생활만족도가 감소하는 정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족 양립 정책 이용과 양육 스트레스 : 성별과 직업군을 중심으로 (Work·Family Compatibility Policy Usage and Parenting Stress : Focusing on Sex and Occupational Groups)

  • 조윤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8권1호
    • /
    • pp.27-38
    • /
    • 2024
  • 본 연구는 일·가족 양립 정책 중 출산 및 육아 지원 제도의 활용 정도, 그리고 제도의 이용 여부와 양육 스트레스 양상을 알아보고자 남녀를 대상으로 다양한 직업군을 포함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사용된 『한국아동패널』 13차(2020년) 자료는 기술 통계, 교차 분석, One-way ANOVA와 Duncan의 사후 검증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녀 모두 관련 제도 중 '유연근무제'를 이용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직업군별로는 두 집단 모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에서 '유연근무제'를 제일 많이 선택하였다. 관련 제도 이용 여부와 양육 스트레스는 응답자 모두 평균 이상의 양육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남성은 '유연근무제' 이용자, '가족돌봄휴직' 이용자 순으로 높았으며, 직업군별 양육 스트레스 정도는 '군인'이 가장 낮았다. 여성의 경우, '육아휴직' 이용자의 양육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육아기근로단축시간' 이용자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가족 양립 정책 활성화에 관한 함의를 논하였으며 사회적, 개인적 측면에서 제언을 하였다.

빈곤노인의 경제활동 결정요인 연구 (Determinants of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Poor Elderly)

  • 이성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3호
    • /
    • pp.39-5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determin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oor elderly in economic activity. This study analyzed secondary data of the second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poor elderl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age, gender, region, public assistance, education, health status, chronic illness, contacts with acquaintances, and support from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The study's findings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services. The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an age- and gender-specific approach to promoting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among the poor elderly. Regional difference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creation of work opportunities for older adults. In terms of human capital, the positive effect of good health indicates that strategies are needed to address the needs of older adults with health issu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more jobs for elderly job seekers with high levels of education. Finally,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should explore interventions for enhancing the social network involvement and community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in pover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