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여가

Search Result 8,46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Family Leisure on the Healthy Family and Family leisure Attitude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대전지역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및 가족여가 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가족여가 만족도)

  • Song, Jin-Suk;Lee, Young-Kwa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9 no.2
    • /
    • pp.185-19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of family leisure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student's gender, parent's income, father's job, healthy family, and family leisure attitude). Subjects were 200 middle school students. Instrumentation were questionnaires from the family leisure satisfaction scale, healthy family scale, and family leisure attitude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oneway-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student's gender and satisfaction of family leisur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family income and satisfaction of family leisur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family and satisfaction of family leisure.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mily leisure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family leisure. Fifth, emotional attitude in family leisure attitude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satisfaction of family leisure.

  • PDF

Influence of Stress on Family Adaptation of Disabled Family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Strength (장애인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Sim, Mi-Young;Kim, Jae-Lim;Ahn, Seong-Ah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4
    • /
    • pp.267-276
    • /
    • 2014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stress on family adaptation and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tress and family adaptation of disabled family. As a result, family stress bas also been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amily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adaptation through family strength. Family strength i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on effect. In summary, the findings suggest that disabled family with higher levels of family stress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family strength and lower family strength decreases the probability of conducting family adap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ould prevent family stress, family strength and family adaptation.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

  • Gu, In-Hoe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0a
    • /
    • pp.473-497
    • /
    • 2003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998-2001 자료를 이용하여 성장기에 경험한 가족구조와 저소득, 빈곤 등의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각각 분석한 결과 각 변수는 청소년의 학력연수와 대학입학확률, 진학고교유형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19세의 학력연수와 대학진학확률의 경우 이혼 별거가족의 청소년과 한부모가족을 장기적으로 경험한 청소년, 빈곤가족의 청소년은 특히 낮은 수준의 성취도를 보였다. 가족구조가 19세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소득수준이나 빈곤을 통제한 후에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빈곤의 영향력 또한 가족구조가 모형에 포함된 후에도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16세의 진학고교유형에 대해서는 가족구조와 가족소득을 같이 모형에 포함하는 경우 가족구조의 영향은 일관되지 않고 빈곤의 영향 또한 사라진다. 가족구조와 빈곤의 상대적 영향력을 두 변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대학진학모형에서 비교한 결과 가족구조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발견은 한부모가족과 빈곤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원 대책이 청소년 교육성취 수준을 향상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Family Stress and Family Resiliency's Effects on Family Adaptation - Elderly Family care Services Targets on - (가족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재가요양서비스 부양가족을 대상으로)

  • Son, Byoung-Il;Jung, Min-S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9
    • /
    • pp.193-203
    • /
    • 2013
  • Home care services, this study dependent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stress, family adaptation through any route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the Gwangju JeonNam home care services for elderly dependents, a survey of 203 people was conducted. The study of home care services dependent family adaptation family stress family tension without affecting the direct communic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indirectly through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look more family stress, family resilience to adapt because it affects family adapt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defects to reduce family stress perspectiv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trengths of family resilience must be done in terms of the transition is proposed.

가족정책의 성 통합적 재구조화: 노동 주체의 관점에 근거한 일과 가족의 양립을 중심으로

  • Yun, Hong-Sik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4a
    • /
    • pp.469-492
    • /
    • 2005
  • 본 논문은 성 통합적 관점에서 가족정책의 재구조화에 대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는 가족정책의 관점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 섰을 때 일과 가족 양립의 문제가 특정성의 문제가 아닌 보편적 시민의 문제가 된다는 점이다. 즉 허구적 믿음에 근거한 공 사적영역의 분리를 (성별구분 없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통합시킬 때 공적가치인 정의의 문제와 사적가치인 보살핌의 대림이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노동주체로서 남성과 여성의 통합성과 현실적 문제로써 여성과 남성의 차이에 근거한 '이해'의 상이함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가족정책의 틀은 가족 구성원이 노동하는 장소에 따라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가족정책의 틀에 따라 가족정책을 가족영역과 시장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가족정책의 내용은 가족구성원이 노동권과 부모권(모성권+부성권)을 실현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완화 제거하는 정책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족정책의 방향은 여성과 남성이 생계부양과 보살핌의 책무를 함께 나누게 하는 것이다. 이는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허구적인 공 사적영역의 분리를 통합시켜 내는 것으로, 궁극적인 가족정책의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는 보편적 일과 가족 양립을 실현하는 길이라는 것이다.

  • PDF

Integrated Theoretical Approach for the Stress Management of Dual-Career Family

  • 현은민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1 no.4
    • /
    • pp.23-35
    • /
    • 1993
  • 현대사회에서 맞벌이부부 가족이 증가하고 있고 맞벌이부부가족으로써 가족체계가 유지되고 발달됨에 따라 맞벌이부부 가족의 스트레스 관리 방식을 밝히기 위해서는 가족간의 정서적, 관계적 상호작용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맞벌이부부 가족에 관한 이전의 연구들은 가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촛점을 두었고 정서적 상호작용과정에 대해서는 중요시 하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부부 가족의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하여 가족의 발달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어 두가지 이론―가족자원관리 이론과 Family FIRO모델의 통합을 제시하는데 있다. 가족자원관리 이론과 Family FIRO모델의 통합은 이론이 설명하지 못하는 측면에 대해 상호보완적이 시각을 제시해 준다.

  • PDF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Family life (주거빈곤이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

  • Lim, Jae-hy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2 no.1
    • /
    • pp.279-304
    • /
    • 2011
  • The housing is basic need to human life, foundation of family lif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o control human life and acti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have various effects on the family life such as family lifestyle, relationship of family members and child development and health by family struc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housing poverty, defined as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s, excess housing expenditure and housing instability, affects the family responsibility burden,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third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analytic method used wa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the model fit had a considerable validity by inspecting the SE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ousing pover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amily responsibility burden, whil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family conflict action metho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health(subjective, mental, physical). The indirect effects on housing poverty had better effect by family conflict action method than effect by health, but the direct effects had the most.

A Study on Types of Family Systems, Marital Conflicts and Coping Strategies (가족체계 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 최규련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140-152
    • /
    • 1994
  •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를 둔 가정에서 부부가 지각하는 가족체계 유형에 따라 부부간 갈등과 대천방안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시와 근교에 거주하는 532쌍에 부부를 대상으로 조사한결과 부부 양반이 지각한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은 높은 편이고 부인이 남편보다 가족응집성을 더 높게 지각한다. 가족체계 유형은 HH가족이 47.9%, LL가족이 35.1% 이며, 교육수준, 직업, 결혼기간, 종교일치여부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부인이 남편에 비해 갈등정도가 더 높고 신앙에 의지, 외부도움 요청, 감정표출, 회피 등 의 대처방안을 더 많이 사용한다.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이 높을수록 부부 양방에서 부부간 갈등정도가 낮고 이성적 대처방안을 많이 사용하며 행동표출, 회피 등의 대처방안은 적게 사용한다. 따라서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이 부부 공통적으로 부부간 갈등정도 및 이성적 대처, 행동표출, 회피등의 대처방안과 선형적 관계를 보인다. 또한 가족의 응집성은 부부 공통적으로 감정표출의 대처방안과도 선형적 관계를 보인다. 가족체계 유형중 HH가족과 LL가족에서 역시 부부간 갈등정도와 대처방안 사용이 각각 차이를 보인다.

  • PDF

An Analysis of Issue Shift in German Family Welfare Policy (독일 가족복지정책의 쟁점변화 분석)

  • Lee Jin-Soo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1
    • /
    • pp.91-119
    • /
    • 2004
  • 독일에서 가족은 전후의 산업화과정 속에서 다면적인 사회변동을 경험하면서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다양화와 탈제도화 그리고 개인화의 경향이 강해지는 현상을 보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과정 속에서 가족은 저출산문제, 보육문제, 역할분담을 둘러싼 갈등, 빈곤과 실업, 노인부양문제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와 직접적으로 당면하게 되었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는 통일을 전후로 하여 약 10년간에 걸쳐 저출산문제가 심화되면서 가족문제는 중요한 사회정책이 슈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근대적 가족주의에 기반한 가족의 복지정책의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증대시켰고 그로 인해 독일 가족복지정책은 인구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가족의 복지욕구를 수용해야 한다는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5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독일에서 시대별로 각 집권정당들은 다양한 가족쟁점들을 어떠한 관점에서 수용하여 정책의제화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써 어떠한 정책방안들을 발전시켜 왔는가 하는 과정적 전개양상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통해 획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일의 가족복지정책은 가족쟁점의 변화에 따라 1인 부양자모델의 확립기, 취업모 지원과 가족의 다양성에 대한 정책적 수용기, 보육정책의 확대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체계화된 정책 프로그램은 소득지원, 양육 및 교육지원 그리고 노인부양가족지원 프로그램이 핵심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발전은 정책이 1인 부양자모델에서 2인 부양자모델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족문제의 해결책을 모색 중인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

Analysis of Differences in Family Problem Solving,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차이 분석)

  • Moon, Kyung-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77-381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WEPS) 15차 연도(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에 따라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에 대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고, 이를 장애인 복지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한국복지패널 15차 년도 전체패널 27,447명에서 2021년 현재 장애인으로 등록된 1,281명중 80세(1942년생) 이상 422명을 제외한 859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 따른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평균값이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양상으로 나타났으나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3개변인 모두에서 결혼 상태에 따른 평균의 차이는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배우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결혼 상태에 비해 가족관계가 원만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들의 경우 가족 간의 순기능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