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mily Stress and Family Resiliency's Effects on Family Adaptation - Elderly Family care Services Targets on -

가족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재가요양서비스 부양가족을 대상으로

  • 손병일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정민숙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3.08.26
  • Accepted : 2013.09.13
  • Published : 2013.09.28

Abstract

Home care services, this study dependent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stress, family adaptation through any route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the Gwangju JeonNam home care services for elderly dependents, a survey of 203 people was conducted. The study of home care services dependent family adaptation family stress family tension without affecting the direct communic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indirectly through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look more family stress, family resilience to adapt because it affects family adapt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defects to reduce family stress perspectiv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trengths of family resilience must be done in terms of the transition is proposed.

본 연구는 재가요양서비스 부양가족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어떤 경로를 통해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광주 전남 재가요양서비스 노인의 부양가족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가요양서비스 부양가족의 가족스트레스는 가족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가족탄력요인 중 의사소통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면 가족탄력성은 스트레스 보다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족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기존의 결점시각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가족탄력성의 강점관점으로 전환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성혜, 만성질환환자와 환자가족의심리적문제 및 갈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2.
  2. S. W. Poulshock and G. T. Deimling, "Families caring elders in residence: Issues in the measurement of burden," Journal of Gerontology, Vol.39, No.2, pp.230-239, 1984. https://doi.org/10.1093/geronj/39.2.230
  3. S. H. Zarit, P. A. Todd, and J. M. Zarit, "Subjective burden of husbands and wives as care giving: A longitudinal study," The Gerontologist, Vol.20, No.3, pp.260-266, 1986.
  4. M. Novak and C. Guest,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care giver burden inventory," The Gerontologist, Vol.29, No.6, pp.171-182, 1989.
  5. 이가옥, 이미진,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수발자의 정서적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0권, 제2호, pp.215-228, 2000.
  6. 박주영, 뇌졸중 노인 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이화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7. 강혜원, 소아암 환아 가족의 적응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 개념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3.
  8. 채명옥, "만성질환아 가족의 기능 회복력 측정 도구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연구, 제16권, 제2호, pp51-59, 2004.
  9. 이은희, 손정민, "가족탄력성이 만성질환아동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27권, pp.97-120, 2008.
  10. 김용희, 안정선, "장기요양서비스 이용노인 및 노인부양가족의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및 서비스 만족도", 한국노인복지학회, 제57권, pp.161-189, 2009.
  11. 백용운, 최수일,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 부양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9권, 제3호, pp.15-240, 2010.
  12. 이은희, "가족탄력모델을 이용한 정신분열병 가족의 부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1권, pp.173-200, 2000.
  13. H. I. McCubbin and M. A. McCubbin, "Typologies of resilient families: Emerging roles of social class and ethnicity," Family Relations, Vol.37, pp.247-254, 1993.
  14. G. H. S. Singer and L. E. Powers, "Families, disabiity, and empowerment," Paul H. Brookers Publishing Co, 1993.
  15. F. Walsh, "The concept of Family Resilience: Crisis and Challenge", Family Process, Vol.35, pp.261-281, 1996. https://doi.org/10.1111/j.1545-5300.1996.00261.x
  16. B. Keri and L. Marie, "A Conceptual Review of Family Resilience Factors," Journal of Family Nursing, Fed, Vol.14, No.1, 2008.
  17. F. Walsh, "Strengthening family framework : Innovative practice application," Family Relations, Vol.51, No.2, pp.130-137, 2002.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2.00130.x
  18. McCubbin, "Resiliency in families: A conceptual model off family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response tostress and crisis, In H. I. McCubbin, A. I. Thmpson & M. A. McCubbin, Famliy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ectice,"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1998.
  19. D. R. Hawley and L. Dehaan, "Towar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ng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s," Family Processes, Vol.35, pp.283-298, 1996. https://doi.org/10.1111/j.1545-5300.1996.00283.x
  20. 서명석, 장애인 형제의 사회적응에 관한 가족탄력성 효과,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1. L. Valentine and L. L. Feinauer, "Reality and myth in family life: Changes across generation," Journal of Psychotherapy and the family, Vol.4, pp.141-165, 1993.
  22. 이유리, 주보호제공자가인지한정신장애인의기여에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2008.
  23. 송순인, 정신장애인 가족스트레스와 가족적응 간의 가족탄력성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9.
  24.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25. 김유진, 김영희, "일상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23-142, 2009.
  26. C. B. Germain, Social Work Practice: People and Environment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27. 안영선, 전혜정,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가족탄 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5권, 제3호, pp.155-174, 2010.
  28. M. Rutter, "Psyc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ry, Vol.57, pp.316-331, 1987. https://doi.org/10.1111/j.1939-0025.1987.tb03541.x
  29. E. Werner, "High-risk children in youth and adulthood: A longitudinal study from birth to 32 yea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59, 1989.
  30. 이선애, 만성질환아동가족의 가족 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4.
  31. National Network for Family Resiliency, Understanding resiliency, 1996.
  32. 현은민, "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여성 한 부모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3권, 제4호, pp.59-84, 2008.
  33. S. Wolin and S. Wolin, The resilient self: How survivors of troubled families rise above adversity, New York: Villard, 1993.
  34. 기화, 정남운, "만성질환 아동을 둔 가족의 심리적 적응에 관한 가족탄력성 모형의 검증", 한국심리학회, 제9권, 제1호, pp.1-24, 2004.
  35. 이은희, 구정화, "가족탄력성이 한부모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1호, pp.61-80, 2009.
  36. H. I. McCubbin and A. I. Thompson, "Typologies of resilient families: Emerging roles of social class and ethnicity," Family Relation, Vol.37, No.3, pp.47-254, 1988.
  37. J. S. Rolland, Families, illness, and disablity: An integrative treatment model, NewYork: Basic Books, 1994.
  38. 정현주, "자폐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경로분석: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제13권, pp.89-110, 2008.
  39. 김미옥,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40. 구정화, 한 부모 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사회복지전공,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5.
  41. 윤수희, 가족탄력성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2. 정현주, 자폐성장애아동의 가족스트레스와사회 적응과의 관계: 가족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 효과 분석, 동신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09.
  43. 강효경, 유장순,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 조절효과 중심으로-", 초등상담연구, 제3권, pp.427-446, 2012.
  44. H. I. McCubbin and M. A. McCubbin, Resiliency in families: Aconceptual model of family adjustmen tand adaptation in response to stress and crisis. In H. MaCubbin, A. Thompson, & M. McCubbin(Eds.),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1996.
  45. 조혜련, 가족탄력성이 뇌졸중환자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46. H. I. McCubbin, A. E. Cauble, and J. M. Patterson, Family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Springfield, IL: Charls C. Thomas, 1982.
  47. H. I. McCubbin. and A. I. Thompson, Family Hardiness index(FHI). In H. I. McCubbin, A. I.Thompson, and M. A. McCubbin. Family asse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1986.
  48. 기화, 만성질환 아동 가족탄력성 모델검증:백혈병 환아 가족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9. 오승아, "장애아동 가족의 수입, 내구력, 누적 스트레스, 의사소통, 가족적응에 대한 구조모델검증", 대한가정학회, 제40권, 제9호, pp.175-189, 2002.

Cited by

  1. Burden and Needs of the Family Members of the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vol.14, pp.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421
  2.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ts Application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in Christian Universities vol.14, pp.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