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생활주기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Influences of Family Life Cycle Stages and Perceived Time Pressure on Role Conflict in Housewife-Teachers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교직주부의 시간제약지각이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

  • Jang, Yoon-Ok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175-186
    • /
    • 1994
  • 본 연구는 교직주부에 있어서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시간제약지각이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대구시에 소재하는 중.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으며 배우자와 자녀가 일상생활을 함께 하는 기혼여교사 570명이고, 조사방법은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요인분석 MANOVA, 그리고 사후검증법으로 $Scheff\'{e}\;test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가족생활주기가 부모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제약지각에 따라 다르다. 둘째, 가족생활 주기에 따라 역할갈등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시간제약지가에 따라 역할갈등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Travel Behavior and Destination Choice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관광지 선택행동의 실증분석)

  • Sim, Sang-Wha;Kim, Wol-Ho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1
    • /
    • pp.149-171
    • /
    • 1998
  •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Tourist Market Segmentation is to find descriptive variables which can describe the changes of tourist demand properly. There are many descriptive variables. Among them, vital statistical variables were proved to be effective. The strongest variable but which was studied much less is the Family Life Cycl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Life Cycle and Travel Behavior of Destination Choice. In this study, I will verify the validity of Family Life Cycle as a descriptive variable of Tourist Market Segmentation, and try to find the meaningful variable at each step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Life Cycle and Travel Behavior of Destination Choice, to verify the validity of Family Life Cycle as descriptive variable and to find the strategy to respond to the increase in quantity and diversity of quality of Tourist Market. The studies on the Family Life Cycle should be updat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as standard for Tourist Market Segmentation in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

  • PDF

한국 가족농 재생산체계의 위기

  • 권태환;장경섭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1-39
    • /
    • 1995
  • 한국의 농촌위기를 농업생산과 농민생활의 기초적 조직단위의 차원에서 살펴보면 문제의 핵심이 가족농의 재생산체계의 와해에 있음이 드러난다. 농촌가구의 재생산주기 단계별 분포를 볼 때, 이른바 축소기 및 해체기에 있는 가구의 비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형성기 및 확대기에 있는 가구의 비율은 급속히 감소함에 따라 한국의 가족농체제는 그 미시조직적 기반이 와해되어 가고 있음이 드러난다. 아울러 가족 재생산 주기의 각 단계인 양육 및 교육, 농가경제 계승과 혼인, 노후 부양 등의 과정에서 동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혼돈과 단절이 농촌의 기초조직인 농가의 존속 자체를 어렵게 만듦으로써 정상적 농가 없는 농촌의 총체적 퇴행이 나타나고 있다. 종합적으로 말해 가족농 재생산체계가 그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 모두에서 심각한 위기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해 볼 때, 한국 농촌의 현실은 기초 생산,생활조직의 차원에서 급격한 해체는 진행되고 있으나 적절한 재구조화(restructuring)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생산조직 차원에서의 농촌문제의 대처는 기존 농가 재생산 주기의 붕괴에 관한 다양하고 즉각적인 대증요법을 동원해 가족농 해체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보완적 조치로서 새로운 협업적 또는 기업적 경영체계의 확립에 관계된 사회적 필요조건들을 충족시키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 PDF

인구변동에 따른 사회보장

  • 이광찬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8 no.1
    • /
    • pp.1-19
    • /
    • 1985
  • 한국의 농촌위기를 농업생산과 농민생활의 기초적 조직단위의 차원에서 살펴보면 문제의 핵심이 가족농의 재생산체계의 와해에 있음이 드러난다. 농촌가구의 재생산주기 단계별 분포를 볼 때, 이른바 축소기 및 해체기에 있는 가구의 비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형성기 및 확대기에 있는 가구의 비율은 급속히 감소함에 따라 한국의 가족농체제는 그 미시조직적 기반이 와해되어 가고 있음이 드러난다. 아울러 가족 재생산 주기의 각 단계인 양육 및 교육, 농가경제 계승과 혼인, 노후 부양 등의 과정에서 동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혼돈과 단절이 농촌의 기초조직인 농가의 존속 자체를 어렵게 만듦으로써 정상적 농가 없는 농촌의 총체적 퇴행이 나타나고 있다. 종합적으로 말해 가족농 재생산체계가 그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 모두에서 심각한 위기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해 볼 때, 한국 농촌의 현실은 기초 생산,생활조직의 차원에서 급격한 해체는 진행되고 있으나 적절한 재구조화(restructuring)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생산조직 차원에서의 농촌문제의 대처는 기존 농가 재생산 주기의 붕괴에 관한 다양하고 즉각적인 대증요법을 동원해 가족농 해체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보완적 조치로서 새로운 협업적 또는 기업적 경영체계의 확립에 관계된 사회적 필요조건들을 충족시키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 PDF

Homemanagement Pattern, Communication & Colaboration - Centering on Families of Cheng Ju City -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 및 가사협조도 - 청주시 가정을 중심으로 -)

  • 오경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26-34
    • /
    • 1995
  • 본 연구는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도 및 가사협조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가정내일의 협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정관리자의 관리유형 규명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녀를 1명 이상 둔 청주시 주부 418명을 대상으로 1993년 12월 중순부터 1994년 1월초까지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자료는 SAS/PC program을 사용하여 Mean, F-test t-test, Duncan's 사후검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가정관리유형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부부의 교육수준, 가정생활주기였다. 2)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부연령과 교육수준, 가정생활주기, 자녀수, 가족형태였다. 3)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가사협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남편직업, 가정생활주기, 자녀수, 가족형태였다. 4)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 및 가사협조도 간에 관계를 경로분석하여 본 결과 가정관리유형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고 가사협조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부언하면 가정관리자가 인간중심적인 관리유형을 취할수록 가족 내 의사소통도가 높아지고 더불어 가사협조도도 증대된다.

  • PDF

농촌부부의 배우자역할 평가 및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양순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247-252
    • /
    • 2004
  • 우리사회에 이혼률이 급증하고(조이혼률 : 1990년 1.1건$\longrightarrow$2002년 3.0건), 가족생활주기 중에 학령기 부부의 결혼만족이 가장 낮다는 연구결과들(서동인ㆍ정현숙, 1994등)이 제기되면서 어느 때보다 가족관계 또는 부부관계의 질적인 향상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Mace(1979) 등은 가족향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부중심(couple-focused)이며 해동중심(action-oriented)이라고 하였다. 더 나가가 부부관계를 평가함에 있어서는 자기역할보다는 배우자역할 평가가 중요하다고 보고 (최규련, 1988; 서광희, 1992)되고 있다.

  • PDF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Family life (주거빈곤이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

  • Lim, Jae-hy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2 no.1
    • /
    • pp.279-304
    • /
    • 2011
  • The housing is basic need to human life, foundation of family lif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o control human life and acti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have various effects on the family life such as family lifestyle, relationship of family members and child development and health by family struc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housing poverty, defined as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s, excess housing expenditure and housing instability, affects the family responsibility burden,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third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analytic method used wa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the model fit had a considerable validity by inspecting the SE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ousing pover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amily responsibility burden, whil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family conflict action metho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health(subjective, mental, physical). The indirect effects on housing poverty had better effect by family conflict action method than effect by health, but the direct effects had the most.